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하 네거티브 공간의 잠재적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Potential Meanings of Subterranean Negative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focused on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created by excavating the material of the earth, as a counter method to constructed architecture employing additive materials. As a profound space that evokes the essence of humans and the earth, subterranean negative space is a worthwhile research subject, and this work attempted to discover the potential meanings of this space using aesthetic and semantic approaches to address fundamental issues of subtracted subterranean negative space. The concept of negative space in art and philosophy has been analyzed in previous research, and expandable meanings such as the space of potentiality, the space of transcendence, the space of relationship, and the space of perception have been abstracted. Based on these four themes, subterranean negative spaces beyond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landscape, and land art were selected and studied as cases, namely,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Roden Crater, Walter Benjamin Memorial, Vietnam Veterans Memorial, Double Negative, and Square Depression. These projec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criteria: space organization, design elements, and experiential elements. As a result, potential meanings of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as a space with expanded context, a space with unified relationship, a space with personalized experience, a space with absence and memory, a space with new relationship, a space with new perception, a space with inversion, a space with revelation, and a space with infinity were extracted. This study proposes not only a specific design method but also the potential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subterranean negative spaces.
      번역하기

      The research focused on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created by excavating the material of the earth, as a counter method to constructed architecture employing additive materials. As a profound space that evokes the essence of humans and the earth...

      The research focused on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created by excavating the material of the earth, as a counter method to constructed architecture employing additive materials. As a profound space that evokes the essence of humans and the earth, subterranean negative space is a worthwhile research subject, and this work attempted to discover the potential meanings of this space using aesthetic and semantic approaches to address fundamental issues of subtracted subterranean negative space. The concept of negative space in art and philosophy has been analyzed in previous research, and expandable meanings such as the space of potentiality, the space of transcendence, the space of relationship, and the space of perception have been abstracted. Based on these four themes, subterranean negative spaces beyond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landscape, and land art were selected and studied as cases, namely,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Roden Crater, Walter Benjamin Memorial, Vietnam Veterans Memorial, Double Negative, and Square Depression. These projec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criteria: space organization, design elements, and experiential elements. As a result, potential meanings of the subterranean negative space as a space with expanded context, a space with unified relationship, a space with personalized experience, a space with absence and memory, a space with new relationship, a space with new perception, a space with inversion, a space with revelation, and a space with infinity were extracted. This study proposes not only a specific design method but also the potential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subterranean negative sp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물질로 구축된 상징으로서의 공간과 상반되는 방식으로 땅을 파내고 물질을 소거함으로써 생성되는 지하네거티브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대지와 인간의 존재를 깨우치는 근원적 공간으로서 지하네거티브공간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지하네거티브공간의 조형적, 의미론적 분석을 통해 대지를 중심으로 공간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땅 위의 건축이라는 명제 대신 대지를 덜어낸 네거티브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그것이 지닌 잠재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론적 배경에서 예술과 철학에서 다루고 있는 네거티브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잠재성의 공간, 초월적 공간, 관계성의 공간, 지각의 공간으로 지하네거티브공간이 지닌 의미의 확장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건축, 조경, 대지미술 등의 장르 간 영역을 넘어서는 작품(911 메모리얼, 로덴 분화구 프로젝트, 발터 벤야민 기념환경, 베트남 참전 기념비, 더블 네거티브, 함몰된 정사각형)의 공간구성, 디자인요소, 경험요소의 분석을 통해 지하네거티브공간이 지닌 특수성과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확장된 맥락의 공간, 일체화된 관계성의 공간, 개인화된 경험 공간, 부재와 환기의 공간, 새로운 관계맺음의 공간, 새로운 지각의 공간, 반전된 공간, 드러냄의 공간, 그리고 무한의 공간과 같은 지하네거티브공간이 갖는 특수성과 효과, 그리고 그 잠재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네거티브공간이 가지는 구체적 디자인 방식뿐만 아니라 그 잠재적 의미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물질로 구축된 상징으로서의 공간과 상반되는 방식으로 땅을 파내고 물질을 소거함으로써 생성되는 지하네거티브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대지와 인간의 존재를 깨우치는 근원적 ...

      본 연구는 물질로 구축된 상징으로서의 공간과 상반되는 방식으로 땅을 파내고 물질을 소거함으로써 생성되는 지하네거티브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대지와 인간의 존재를 깨우치는 근원적 공간으로서 지하네거티브공간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지하네거티브공간의 조형적, 의미론적 분석을 통해 대지를 중심으로 공간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땅 위의 건축이라는 명제 대신 대지를 덜어낸 네거티브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그것이 지닌 잠재적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론적 배경에서 예술과 철학에서 다루고 있는 네거티브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잠재성의 공간, 초월적 공간, 관계성의 공간, 지각의 공간으로 지하네거티브공간이 지닌 의미의 확장적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건축, 조경, 대지미술 등의 장르 간 영역을 넘어서는 작품(911 메모리얼, 로덴 분화구 프로젝트, 발터 벤야민 기념환경, 베트남 참전 기념비, 더블 네거티브, 함몰된 정사각형)의 공간구성, 디자인요소, 경험요소의 분석을 통해 지하네거티브공간이 지닌 특수성과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확장된 맥락의 공간, 일체화된 관계성의 공간, 개인화된 경험 공간, 부재와 환기의 공간, 새로운 관계맺음의 공간, 새로운 지각의 공간, 반전된 공간, 드러냄의 공간, 그리고 무한의 공간과 같은 지하네거티브공간이 갖는 특수성과 효과, 그리고 그 잠재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네거티브공간이 가지는 구체적 디자인 방식뿐만 아니라 그 잠재적 의미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용순,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 1: 위상학" 미메시스 2010

      2 Rosalind Krauss, "현대 조각의 흐름" 예경 1997

      3 윤난지, "현대 조각 읽기" 한길아트 2012

      4 안성모, "현대 구축공간의 물성치환을 통한 가상성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13-221, 2009

      5 Jean Robertson,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6 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 살림 2006

      7 강학순, "존재와 공간 - 하이데거 존재의 토폴로지와 사상의 흐름" 한길사 2011

      8 봉일범, "잠재성의 차원" 시공문화사 2005

      9 조규현, "숭고함: Sublime과의 만남-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의 조각세계" Shuroop 2003

      10 Gilson Barreto, "미켈란젤로 미술의 비밀" 문학수첩 2008

      1 장용순,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 1: 위상학" 미메시스 2010

      2 Rosalind Krauss, "현대 조각의 흐름" 예경 1997

      3 윤난지, "현대 조각 읽기" 한길아트 2012

      4 안성모, "현대 구축공간의 물성치환을 통한 가상성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13-221, 2009

      5 Jean Robertson, "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1

      6 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 살림 2006

      7 강학순, "존재와 공간 - 하이데거 존재의 토폴로지와 사상의 흐름" 한길사 2011

      8 봉일범, "잠재성의 차원" 시공문화사 2005

      9 조규현, "숭고함: Sublime과의 만남-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의 조각세계" Shuroop 2003

      10 Gilson Barreto, "미켈란젤로 미술의 비밀" 문학수첩 2008

      11 곽문정,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을 통한 체험된 건축 공간 연구" 25 (25): 2005

      12 두산백과, "마이클 하이저"

      13 서용일, "마야 린의 생태적 조형의식과 표현형식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7

      14 이지윤, "런던-헤이워드의 20세기 마지막 선택, 루치오 폰타나" 1999

      15 조동범,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시좌: 조경 직능을 비춰보는 키워드들" 도서출판 조경 2006

      16 김종길, "대지미술을 보는 자연의 눈" 267 : 2010

      17 Michael Heizer, "in an interview with Julia Brown"

      18 Dalya Alberge, "Welcome to Tate Modern’s floor show"

      19 Brian Elliott, "Walter Benjamin, 건축과 철학" 스페이스타임 2012

      20 Richard Mabey, "The lie of the land"

      21 Oxford Dictionary, "Subterranean"

      22 Committee, "Square Depression by Bruce Nauman: A negative stage for self-awareness"

      23 Landzine, "Square Depression by Bruce Nauman"

      24 Bruce Nauman, "Square Depression" (142) : 2010

      25 Bruce Nauman, "Press Release"

      26 Doug Wheeler, "Press"

      27 Martin Heidegger, "Poetry, Language, Thought" Harper Perennial 2001

      28 Michael Govan, "Michael Heizer, North, East, South, West" Dia Art Foundation 2002

      29 John Coplans, "Doug Wheeler"

      30 Nicole Berry, "Anish Kapoor: “Memory” at the Guggenheim" Accessible Art 2009

      31 태현선, "Anish Kapoor / objects" Leeum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