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 협동조합의 조합원 가입동기,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 조합원의 조직 동일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먼저 '소비자 협동조합 조합원의 가입동기가 무엇인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49340
서울 :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 협동조합경영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650 판사항(21)
서울
v, 79 p. : 도표 ; 26 cm
지도교수: 이상훈교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소비자 협동조합의 조합원 가입동기,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 조합원의 조직 동일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먼저 '소비자 협동조합 조합원의 가입동기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소비자 협동조합의 조합원 가입동기,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 조합원의 조직 동일시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먼저 '소비자 협동조합 조합원의 가입동기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다루었다. 이를 Birchall and Simmons(2004)가 주장하는 '이중 인센티브 이론'(Mutual Incentives Theory)으로 해석하였다. 즉 조합원들은 집단 지향적 가입동기와 개인 지향적 가입동기로 인하여 협동조합에 가입한다. 그 다음에는 조합원 가입동기가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가 조합원의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소비자생활 협동조합 조합원이며, 활동가 조합원과 매장 조합원 각 170명씩 총 340명을 조사하였다. 표본은 편의표본 추출법으로 추출하였고, 설문지는 선행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18.0을 통해서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 회귀 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집단 지향적 가입동기는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개인 지향적 가입동기는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 지향적 가입동기인 외적 가입동기가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합원의 조직 관여도와 조합원의 조직 동일시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