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SS-board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3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ESS-board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을 방향성, 측면성, 거리지각, 크기지각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4명의 지적장애 아동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으로 M대학연계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2명의 아동을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은 경기도 소재 Y장애인복지관에서 장애정도와 분류에 따라 12명의 아동이 선정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신상기록부에 지적장애 등급으로 구분되며 만 8세부터 12세 사이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 수업으로 3개월 동안 총 12회 참여제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ESS-board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ESS-board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으며 복지관에서 일반적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참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적장애 아동에게 ESS-board 프로그램을 시행 하였을 때 공간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사전-사후검사 설계(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방향성은 비교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사후 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에서 시행된 ESS-board 프로그램이 방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집단별 거리지각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검사에서 측정된 실험집단의 점수는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세 번째,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나타난 집단별 크기지각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네 번째,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의 측면성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에서 측면성의 점수 차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에서 시행된 ESS-board 프로그램이 측면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ESS-board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한 사례로 평가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특수체육 프로그램 적용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ESS-board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을 방향성, 측면성, 거리지각, 크기지각으로 구분...

      본 연구는 ESS-board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적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을 방향성, 측면성, 거리지각, 크기지각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4명의 지적장애 아동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으로 M대학연계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12명의 아동을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은 경기도 소재 Y장애인복지관에서 장애정도와 분류에 따라 12명의 아동이 선정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신상기록부에 지적장애 등급으로 구분되며 만 8세부터 12세 사이의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 수업으로 3개월 동안 총 12회 참여제한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ESS-board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ESS-board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으며 복지관에서 일반적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참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적장애 아동에게 ESS-board 프로그램을 시행 하였을 때 공간관계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사전-사후검사 설계(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방향성은 비교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사후 검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에서 시행된 ESS-board 프로그램이 방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 사전검사에서 나타난 집단별 거리지각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검사에서 측정된 실험집단의 점수는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세 번째,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나타난 집단별 크기지각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네 번째,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의 측면성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에서 측면성의 점수 차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에서 시행된 ESS-board 프로그램이 측면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ESS-board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한 사례로 평가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특수체육 프로그램 적용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Ess-board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various spatial relationship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ategorically analyzed by directional perception, sidedness perception, distance perception, and size percept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24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test group was a group of 12 children participating in a physical activity program run by the M University. The comparison group was a group of 12 children chosen based on level and type of disability from the Y Disability community center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subjects had all been previously diagnosed and evaluat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ir medical history records, and were between the ages of 8 and 12. The test subjects participated in 60 minute physical activity sessions once a week, for 3 months for a total of 12 sessions, and whil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Ess-board program, the comparison group only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programs run at the community center.
      In this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ss-board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various sp
      번역하기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Ess-board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various spatial relationship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

      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of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Ess-board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various spatial relationship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ategorically analyzed by directional perception, sidedness perception, distance perception, and size percept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a total of 24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test group was a group of 12 children participating in a physical activity program run by the M University. The comparison group was a group of 12 children chosen based on level and type of disability from the Y Disability community center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subjects had all been previously diagnosed and evaluat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ir medical history records, and were between the ages of 8 and 12. The test subjects participated in 60 minute physical activity sessions once a week, for 3 months for a total of 12 sessions, and while the test group participated in the Ess-board program, the comparison group only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programs run at the community center.
      In this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ss-board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various s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