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한국교회 주일학교의 연합활동 발전과 장로교 사례 = The Development of Union Activities of Early Korean Church Sunday School and the Cases of Presbyterian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he birth rate is further decreasing, and it is true that Korean church is in trouble as it faces the COVID-19 era. While recognizing today's reality, this study tried to illuminate the history of the forefathers of faith, who established the Sunday School with their passion and prayer, conducted the Sunday School union movemen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even in a wasteland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year i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of Korea Church in 1922, so it is considered to be historical significance to look at Sunday school. I hope this study will help to broaden the Korean church's perception of Sunday school, and the revival of Sunday school will become a spark for the revival of Korean church agai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unday School in Korea, cooperative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e results have been achieved accordingly.
      In particular, since the General Council of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began in 1905, There have been active cooperation such as adopting Sunday School’s lessons and textbooks, linking with the World Sunday School Federation, domestic activities of Sunday school workers, the formation of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and successful hosting of the National Sunday School Competition held in 4 years.
      As the exampl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Sunday School Movement, we could find the passion and devotion of advanced people, as seen at the establishment of Jangdaehyeon Church’s Sunday School, Yeondong Church’s Childhood Sunday School and the Extension Sunday School at Gwangju Mission Station. These historical facts provide enough insight and challenge to today’s Korean church.
      번역하기

      Today, the birth rate is further decreasing, and it is true that Korean church is in trouble as it faces the COVID-19 era. While recognizing today's reality, this study tried to illuminate the history of the forefathers of faith, who established the S...

      Today, the birth rate is further decreasing, and it is true that Korean church is in trouble as it faces the COVID-19 era. While recognizing today's reality, this study tried to illuminate the history of the forefathers of faith, who established the Sunday School with their passion and prayer, conducted the Sunday School union movemen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even in a wasteland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year i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of Korea Church in 1922, so it is considered to be historical significance to look at Sunday school. I hope this study will help to broaden the Korean church's perception of Sunday school, and the revival of Sunday school will become a spark for the revival of Korean church agai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unday School in Korea, cooperative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e results have been achieved accordingly.
      In particular, since the General Council of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began in 1905, There have been active cooperation such as adopting Sunday School’s lessons and textbooks, linking with the World Sunday School Federation, domestic activities of Sunday school workers, the formation of the Korea Sunday School Association, and successful hosting of the National Sunday School Competition held in 4 years.
      As the exampl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Sunday School Movement, we could find the passion and devotion of advanced people, as seen at the establishment of Jangdaehyeon Church’s Sunday School, Yeondong Church’s Childhood Sunday School and the Extension Sunday School at Gwangju Mission Station. These historical facts provide enough insight and challenge to today’s Korean chu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출산율은 더욱 감소되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면서, 한국교회는 어려움에 처해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의 현실을 인식하면서도, 신앙의 선진들이 황무지와 같은 상황에서도 그들의 열정과 기도로 주일학교를 세우고, 주일학교 연합운동을 했으며, 한국교회의 성장의 토대를 놓았던 그 역사를 조명하고자 했다. 특별히 올해는 1922년 한국교회의 주일학교연합회가 창설된 지 100주년 되는 해라는 점에서 주일학교를 살펴보는 것은 역사적인 의미가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 연구가 주일학교에 대한 한국교회의 인식의 지평이 넓혀지고, 주일학교의 부흥이 다시 한국교회의 부흥의 불씨가 되는데, 미약하나마 일조했으면 한다.
      국내 주일학교가 도입되면서부터 연합활동은 왕성하게 전개 되었고, 그에 따르는 성과도 거둘 수 있었다. 특히 1905년 장감연합공의회가 시작되어 주일학교 공과 및 교재 채택, 세계주일학교연합회와의 연계 및 주일학교 전문사역자들의 국내 활동, ‘조선주일학교연합회’ 결성, 4년 만에 개최되었던 전국주일학교대회의 성공적 개최 등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다.
      주일학교운동의 장로교 사례로서 연동교회 유년주일학교와 광주 선교스테이션에서의 확장주일학교에서 보듯이 선진들의 열정과 헌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동교회 주일학교는 연동 어린이 전도대를 만들어 전도했다. 그리고 광주 주일학교는 교회가 없는 마을에 찾아가서 복음을 전하고 그곳에서 새로운 주일학교가 시작되었으며, 이윽고 교회로 발전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통찰과 도전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출산율은 더욱 감소되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면서, 한국교회는 어려움에 처해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의 현실을 인식하면서도, 신앙의 선진들이 황무지와 같...

      오늘날 출산율은 더욱 감소되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면서, 한국교회는 어려움에 처해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오늘날의 현실을 인식하면서도, 신앙의 선진들이 황무지와 같은 상황에서도 그들의 열정과 기도로 주일학교를 세우고, 주일학교 연합운동을 했으며, 한국교회의 성장의 토대를 놓았던 그 역사를 조명하고자 했다. 특별히 올해는 1922년 한국교회의 주일학교연합회가 창설된 지 100주년 되는 해라는 점에서 주일학교를 살펴보는 것은 역사적인 의미가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 연구가 주일학교에 대한 한국교회의 인식의 지평이 넓혀지고, 주일학교의 부흥이 다시 한국교회의 부흥의 불씨가 되는데, 미약하나마 일조했으면 한다.
      국내 주일학교가 도입되면서부터 연합활동은 왕성하게 전개 되었고, 그에 따르는 성과도 거둘 수 있었다. 특히 1905년 장감연합공의회가 시작되어 주일학교 공과 및 교재 채택, 세계주일학교연합회와의 연계 및 주일학교 전문사역자들의 국내 활동, ‘조선주일학교연합회’ 결성, 4년 만에 개최되었던 전국주일학교대회의 성공적 개최 등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다.
      주일학교운동의 장로교 사례로서 연동교회 유년주일학교와 광주 선교스테이션에서의 확장주일학교에서 보듯이 선진들의 열정과 헌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동교회 주일학교는 연동 어린이 전도대를 만들어 전도했다. 그리고 광주 주일학교는 교회가 없는 마을에 찾아가서 복음을 전하고 그곳에서 새로운 주일학교가 시작되었으며, 이윽고 교회로 발전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통찰과 도전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식, "한국장로교회와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2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2"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3 김양선, "한국기독교사연구" 기독교문사 1971

      4 이만열,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96

      5 김호욱, "한국교회의 국가와 사회 및 가정의 건전문화 형성을 위한 역할 연구(일제강점기의 『장년 만국통일 주일공과』 내용을 중심으로)" 26 : 178-204, 2013

      6 곽안전, "한국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70

      7 한춘기, "한국교회 교육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6

      8 손원영, "한국 초기 주일학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8) : 153-178, 2008

      9 윤춘병, "한국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한국감리교회사학회 2001

      10 강규찬, "평양노회지경각교회사기" 광문사 1925

      1 이영식, "한국장로교회와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2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2"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9

      3 김양선, "한국기독교사연구" 기독교문사 1971

      4 이만열,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96

      5 김호욱, "한국교회의 국가와 사회 및 가정의 건전문화 형성을 위한 역할 연구(일제강점기의 『장년 만국통일 주일공과』 내용을 중심으로)" 26 : 178-204, 2013

      6 곽안전, "한국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70

      7 한춘기, "한국교회 교육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6

      8 손원영, "한국 초기 주일학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8) : 153-178, 2008

      9 윤춘병, "한국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한국감리교회사학회 2001

      10 강규찬, "평양노회지경각교회사기" 광문사 1925

      11 "탐손 박사 강연회"

      12 "천여대표가 회집"

      13 "주일학교연합대운동"

      14 "주일학교대회 뎨 이일의 성황"

      15 정달빈, "주일학교 지도법" 대한기독교서회 1957

      16 곽안련, "주일학교 역사" 4 (4): 87-97, 1922

      17 곽안련, "주일학교 선생의게 아희의 충성" 12 (12): 47-50, 1930

      18 곽안련, "주일학교 선생의게" 15 (15): 50-52, 1933

      19 곽안련, "주일학교 선생의게" 14 (14): 41-45, 1932

      20 곽안련, "주일학교 선생의게" 14 (14): 48-50, 1932

      21 곽안련, "주일학교 선생의게" 14 (14): 49-52, 1932

      22 곽안련, "주일학교 선생들의게 영웅숭배심" 12 (12): 61-63, 1930

      23 "주일학교 대회"

      24 곽안련, "주일학교 교사" 5 (5): 129-151, 1923

      25 이눌서, "주일학교 공과" 11 (11): 36-46, 1929

      26 은준관, "주일교회학교 교육에 관한 연구" 27 : 37-70, 1985

      27 광주기독병원선교회 문서선교부, "제중원 편지1" 피디아이 2015

      28 "제3회 전조선주일학교대회"

      29 "제2회 전조선주일학교대회"

      30 "전조선주일학교대회"

      31 "전조선주일학교 연합회 개최"

      32 "전남주일학교대회"

      33 "장대현교회 소년회"

      34 "유년주일학교운동회"

      35 대한예수교장로회 연동교회, "연동주일학교 100년사(1907-2007)" 연동교회 역사위원회 2008

      36 연동교회, "연동주일학교 100년사" 연동교회 2008

      37 Underwood, L. H, "언더우드 한국에 온 첫 선교사" 기독교문사 1993

      38 차종순, "양림교회 100년사(1) 1904-1953" 서문당 2003

      39 Harry A. Rhodes, "미국 북장로교 한국 선교회사 Ⅰ" 연세대출판부 2009

      40 어도만, "만국주일학교 공과 약해" 12 (12): 53-62, 1930

      41 어도만, "만국주일학교 공과" 10 (10): 30-38, 1928

      42 어도만, "만국주일학교 공과" 10 (10): 34-41, 1928

      43 어도만, "만국주일학교 공과" 11 (11): 32-35, 1929

      44 조선혜, "노블 부인의 선교생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45 김득룡, "기독교교육원론"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6

      46 정정숙, "기독교교육사" 도서출판 베다니 2004

      47 정웅섭, "기독교 교육사" 한들출판사 2007

      48 嚴堯燮, "韓國基督敎敎育史小考" 大韓基督敎敎會 1959

      49 郭安連, "長老敎會史典彙集" 朝鮮耶蘇敎書會 1935

      50 郭安連, "長老敎會史典彙集" 조선야소교서회 1935

      51 한규무, "『the journal of Mattie Wilcox Noble 1892-1934』에 대한 소개" (15) : 20-22, 1994

      52 "「아희생활」 제4권 제11호"

      53 Scranton, M. F., "Woman’s Work in Korea" 1896

      54 Wilson, R. M., "The Sunday School Bus" 24 (24): 1928

      55 Wilson, R. M, "Sunday Schools at Kwangju" 21 (21): 1925

      56 Wilson, R. M., "Sunday School at the Leper Hospital" 14 (14): 1918

      57 Wilson, R. M., "Our Greatest Opportunity" 18 (18): 1922

      58 Wilson, R. M., "Notes From Kwang Ju" 9 (9): 1913

      59 Wilson, R. M, "Medical Work in Kwang Ju" 8 (8): 1912

      60 Swinehart, M. L., "Inside A Sunday School For Heathen Children" 11 (11): 1915

      61 Rhodes, Harry A.,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S.A. Vol.Ⅰ, 1884-1934"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Department of Education 1934

      62 Swinehart, M. L., "Heathen Children in Sunday Schools" 10 (10): 1914

      63 Wilson, R. M., "A Successful Sunday School" 8 (8): 1912

      64 Swinehart, M. L., "A Home Letter From Kwang Ju" 9 (9): 1913

      65 "3천 회원 집합, 주일교대회 개최"

      66 최재건, "1920년대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정책 전환 - 신교육령으로 인한 미국북장로교 선교부의 내부갈등을 중심으로 -" 15 : 83-143, 2008

      67 박명수, "1907년 대부흥과 초교파 연합운동" 13 : 50-79,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