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46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의 조절효과 김 민 정ㆍ이 창 현 연구 목적: 내현적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의 조절효과

      김 민 정ㆍ이 창 현

      연구 목적: 내현적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부부의사소통만족도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연구 대상 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부부의사소통만족도가 조절하였다. 셋째,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내현적자기애로 인해 낮은 결혼만족도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정서표현양가성 혹은 부부의사소통만족도를 포함한 개입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내현적자기애, 정서표현양가성, 부부의사소통만족도, 결혼만족도, 조절된 매개효과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injeung Kim* & Chang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injeung Kim* & Chang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verify whether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235 adul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implicit narcissism, marital satisfaction,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counseling settings when clients complain of low marital satisfaction due to implicit narcissism.




      Key Words: Implicit Narcissism,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 접수일: 2024년 4월 4일, 수정일: 2024년 4월 22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8일* 주저자, 성북구가족센터 전문상담사(First Author, Counselor, Seongbuk-Gu Family Center, Email: jayatina@naver.com)**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소장(Corresponding Author, Director, Hana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