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및 감정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on the Stress and Emotional Change of Emotional Labor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30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실시한 2박 3일형 다스림 치유캠프‘힐링 솔루션’에 참가한 상담사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상담사의 스트레스 해소와 긍정·부정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96.4%가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9세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스트레스 및 긍정·부정감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전체 스트레스는 사전 평균 39.31±23.42점에서 사후 평균 11.05±11.70점으로 감소하였다. 긍정감정에 관한 감정 변화는 사전 평균 23.18±6.56점에서 사후 평균 25.17±6.7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부정감정 변화는 사전 평균 15.81±6.76점에서 사후 평균 11.91±3.69점으로 감소하면서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상담사들의 스트레스 및 긍정·부정 감정 변화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상담사들의 스트레스 저감과 긍정 감정 향상, 부정감정 해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스트레스 위험에 노출된 감정노동자들을 위하여 적극적인 산림치유 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실시한 2박 3일형 다스림 치유캠프‘힐링 솔루션’에 참가한 상담사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2018년 4월부터 5월까지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실시한 2박 3일형 다스림 치유캠프‘힐링 솔루션’에 참가한 상담사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상담사의 스트레스 해소와 긍정·부정감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96.4%가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9세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스트레스 및 긍정·부정감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전체 스트레스는 사전 평균 39.31±23.42점에서 사후 평균 11.05±11.70점으로 감소하였다. 긍정감정에 관한 감정 변화는 사전 평균 23.18±6.56점에서 사후 평균 25.17±6.7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부정감정 변화는 사전 평균 15.81±6.76점에서 사후 평균 11.91±3.69점으로 감소하면서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상담사들의 스트레스 및 긍정·부정 감정 변화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숲에서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상담사들의 스트레스 저감과 긍정 감정 향상, 부정감정 해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스트레스 위험에 노출된 감정노동자들을 위하여 적극적인 산림치유 활동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d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reduction of stress of emotional labor workers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ased on the survey of 224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therapeutic camp ‘Healing Solution’conducted by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from April to May, 2018.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stress of counselors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In this research, 96.4% of the subjects were female, their mean age was 3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stress decreased from 39.31±23.42 to 11.05±11.70, the positive affection improved from 23.18±6.56 to 25.17±6.79, and the negative affection decreased from 15.81±6.76 to 11.91±3.69.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tress response index and the values of sub-domain such as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ymptoms, and anger symptoms. Moreover, all participant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This result verifies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tress of counselors and changing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to promote more activ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emotional labor workers exposed to a high level of stres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d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reduction of stress of emotional labor workers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ased on the survey of 224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therapeutic camp ‘Hea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d the effect of forest therapy program on reduction of stress of emotional labor workers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ased on the survey of 224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therapeutic camp ‘Healing Solution’conducted by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from April to May, 2018.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stress of counselors an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In this research, 96.4% of the subjects were female, their mean age was 3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stress decreased from 39.31±23.42 to 11.05±11.70, the positive affection improved from 23.18±6.56 to 25.17±6.79, and the negative affection decreased from 15.81±6.76 to 11.91±3.69.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tress response index and the values of sub-domain such as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ymptoms, and anger symptoms. Moreover, all participant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This result verifies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tress of counselors and changing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to promote more activ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emotional labor workers exposed to a high level of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엄판도, "자율신경계 반응의 측정을 통한 계곡, 임도, 그리고 도시 환경의 경관감상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 규명"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1-12, 2015

      3 최승미,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541-553, 2006

      4 박선아,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 43 (43): 43-51, 2015

      5 조현섭, "숲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게 미치는 치유 효과성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27-743, 2008

      6 이용주, "숲 걷기 명상이 중년 여성의 감정 상태 및 자기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19-25, 2015

      7 정원희, "산림환경 이용 빈도가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의료 및 상담서비스기관 종사자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129-136, 2014

      8 이연희, "산림풍경 유형에 의한 시각적 자극이 인체에 미치는 심리, 생리적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 17 (17): 65-71, 2014

      9 박석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의 스트레스와 긍정·부정감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606-614, 2017

      10 송초롱, "산림 내 호수 주변에서의 산책과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영향"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140-149, 2015

      1 이현희,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935-946, 2003

      2 엄판도, "자율신경계 반응의 측정을 통한 계곡, 임도, 그리고 도시 환경의 경관감상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 규명"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1-12, 2015

      3 최승미,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근로자 대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541-553, 2006

      4 박선아,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 43 (43): 43-51, 2015

      5 조현섭, "숲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게 미치는 치유 효과성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27-743, 2008

      6 이용주, "숲 걷기 명상이 중년 여성의 감정 상태 및 자기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19-25, 2015

      7 정원희, "산림환경 이용 빈도가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의료 및 상담서비스기관 종사자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103 (103): 129-136, 2014

      8 이연희, "산림풍경 유형에 의한 시각적 자극이 인체에 미치는 심리, 생리적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 17 (17): 65-71, 2014

      9 박석희,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교사의 스트레스와 긍정·부정감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606-614, 2017

      10 송초롱, "산림 내 호수 주변에서의 산책과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영향"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140-149, 2015

      11 김보균, "산림 걷기 운동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391-397, 2014

      12 성영태, "민원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 민원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3 (13): 183-210, 2014

      13 양은석, "단기간의 산림 명상 및 걷기운동이 혈압, 심박수, 자연살해세포 및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협회 13 (13): 31-40, 2011

      14 박인호, "감정노동자의 보호와 기업 등의 책임" 법학연구소 36 (36): 927-956, 2016

      15 박은정, "감정노동과 노동법" 한국노동연구원 16 (16): 55-85, 2016

      16 Ochiai 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therapy on middleaged males with high-normal blood pressure" 12 (12): 2532-2542, 2015

      17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 health guideline emotional labor worker"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2-, 2015

      18 Lee J., "Influence of forest therapy on cardiovascular relaxation in young adults" 2014

      19 Miyazaki Y., "Forest medicine research in japan, Nihon Eiseigaku Zasshi" 69 (69): 122-135, 2014

      20 Shin W.S., "Forest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benefits: The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rospect in korea" 15 (15): 38-47, 2010

      21 Li Q.,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15 (15): 9-17, 2010

      22 Lee J., "Effect of forest bathing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in young japanese male subjects" 125 (125): 93-100, 2011

      23 Jung W.H., "Effect of a forest therapy program and the forest environment on female workers' stress" 14 (14): 274-281, 2015

      24 Koh, K.B.,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39 (39): 707-719, 2000

      25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54 (54): 1063-1070, 1988

      26 이시경, "Ai Chi 수중운동 적용이 인체 스트레스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9 (9): 131-137, 2014

      2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Survey report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38-40, 2018

      28 김민섭, "12주간의 서킷저항운동과 수중운동이 과체중 중년여성의 노화관련 및 스트레스 호르몬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933-942, 2018

      29 최종환, "12주간의 산림걷기 운동이 중년여성의 기능적 체력,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 (20): 27-38,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림휴양학회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9 0.9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