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토라인과 초상권의 대립에 관한 연구 = 초상권 국내 판결사례와 영국 BBC와 IPSO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74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포토라인 상에서 미디어가 촬영한 영상물에 대한 보도의 권리와 그 제한에 대한 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토라인 상에선 미디어 취재대상이 아닌 일반 동행자의 초상권 보호와...

      본 논문은 포토라인 상에서 미디어가 촬영한 영상물에 대한 보도의 권리와 그 제한에 대한 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토라인 상에선 미디어 취재대상이 아닌 일반 동행자의 초상권 보호와 미디어의 보도를 둘러싼 법적 다툼에 대한 논리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1심판결은 포토라인이라는 공적 장소에서 보도 관심 대상이 아닌 일반인을 모자이크 등의 처리를 하지 않고 보도한 것은 부당하다고 언론사 패소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2심 판결에서 포토라인은 공적 영역으로 이미 그 자리에 주요 소환자에 대해 동행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나선 것, 마스크 등으로 스스로 신원을 가리는 등의 적극적 행위를 하지 않은 점을 인용, 언론사 승소 결정을 내렸다. 법적 다툼과 취재윤리 그리고 BBC 취재보도 가이드라인 등을 인용하여 법리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를 토대로 국내 방송영상 취재 가이드라인 개정 검토안의 기초가 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study the crucial conflicts between a right to taking pictures at the so-called ‘photo line,’ where journalists believe that taking photographs is allowed, and a civilian`s right of privacy that the coverage should be restricted. ...

      This paper is to study the crucial conflicts between a right to taking pictures at the so-called ‘photo line,’ where journalists believe that taking photographs is allowed, and a civilian`s right of privacy that the coverage should be restricted. The lower court ruled that civilians` right of privacy was violated. However, in August 2017, the high court reversed the original decision, stressing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nyone standing at the photo line can be report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of the ‘photo line’ and the legal principles that the two courts have applied differ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배경과 목적
      • 2. 초상권의 보호범위와 기존연구검토
      • 3. 쟁점
      • 3. 영국 독립언론규제기구 IPSO의 탄생과 초상권 보도강령
      • 4. 결론 및 제언
      • 1. 연구배경과 목적
      • 2. 초상권의 보호범위와 기존연구검토
      • 3. 쟁점
      • 3. 영국 독립언론규제기구 IPSO의 탄생과 초상권 보도강령
      • 4.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준영, "포토라인 준칙 제정1년, 현장적용의 현실과 문제점"

      2 김병길, "포토라인 운영에 대한 개선 방향 <포토라인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3 박건식, "저널리즘 측면에서 본 초상권 쟁점, 개인적 법익의 보호와 공익적 알권리: 초상권을 중심으로"

      4 류종현, "영상저널리즘의 초상권"

      5 이진국, "언론의 범죄보도와 형사법적 문제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9-195, 2002

      6 동세호,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소송의 경향과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70-381, 2016

      7 "수원지방법원 선고 92가 합9602호 판결"

      8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94가 합36754호 판결"

      9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93나31886호 판결"

      10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90가 합15896호 판결"

      1 나준영, "포토라인 준칙 제정1년, 현장적용의 현실과 문제점"

      2 김병길, "포토라인 운영에 대한 개선 방향 <포토라인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3 박건식, "저널리즘 측면에서 본 초상권 쟁점, 개인적 법익의 보호와 공익적 알권리: 초상권을 중심으로"

      4 류종현, "영상저널리즘의 초상권"

      5 이진국, "언론의 범죄보도와 형사법적 문제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9-195, 2002

      6 동세호,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소송의 경향과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70-381, 2016

      7 "수원지방법원 선고 92가 합9602호 판결"

      8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94가 합36754호 판결"

      9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93나31886호 판결"

      10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90가 합15896호 판결"

      11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87가 합6032호 판결"

      12 "서울민사지방법원 선고 82카 19623 판결"

      13 "서울남부지방법원 선고 2016가합101939 판결"

      14 "서울남부지방법원 선고 2016가합101939 판결"

      15 "서울고등법원 선고 사건 2016나2088859호 판결"

      16 "서울고등법원 선고 91나 64670호 판결"

      17 "서울고등법원 선고 89나 36528호 판결"

      18 양재규, "범죄기사에 대한 언론인과 법조인의인식 유형 및 그 특징에 대한 연구" (사)한국언론법학회 15 (15): 251-287, 2016

      19 윤호진, "박근혜 전 대통령은 반드시 '포토라인'에 서야하는 걸까"

      20 전평국, "미디어환경 격동기 시대의 포토라인 <포토라인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21 김성재,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재난보도 방향" 한국방송학회 2003 (2003): 89-112, 2003

      22 "대법원 선고 89도 1744호 판결"

      23 나준영, "다매체 경쟁시대 한-일의 포토라인 제도 비교를 통해 본 한국 포토라인 제도의 문제점 <포토라인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24 안상운, "TV 카메라 기자를 위한 초상권과 프라이버시권의 문제"

      25 IPSO, "Editors Code Of Practice" IPSO

      26 BBC, "Editorial Guidelines" BBC

      27 BBC, "Editorial Guidelines" BBC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