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혐오와 포털뉴스 = 네이버뉴스 범죄보도비율의 지역 간 차이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74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본적으로 범죄는 반사회적 일탈이기에 범죄뉴스는 범죄발생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털뉴스에서 흉악범죄를 다룬 기사들이 우리 사회의 각 ...

      기본적으로 범죄는 반사회적 일탈이기에 범죄뉴스는 범죄발생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털뉴스에서 흉악범죄를 다룬 기사들이 우리 사회의 각 지역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뉴스 유통원인 네이버뉴스 2016년 일 년 치 범죄뉴스 4,887건을 내용분석하고, 이를 경찰청이 내놓은 2016년 범죄통계와 대조했다. 그 결과, 인구대비 범죄발생비율과 비교했을 때 뉴스보도비율은 지역적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일단 제주지역은 인구대비 범죄발생비율이 가장 높았고 뉴스보도비율 또한 높았다. 무엇보다도 광주 · 전남 · 전북의 호남지역은 인구대비 범죄발생비율이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나 낮았지만, 뉴스보도비율은 압도적으로 높았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범죄뉴스의 기사제목에서 범죄발생지역이 명기되는 비율이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도 분석했는데, 기사제목에서 범죄발생지역이 명기되는 비율은 제주지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살인 · 살인미수 범죄유형에서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번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ime news may foste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the regions where the criminal activities take plac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how different regions in Korea are represented in crime news. Specifically, 4,887 crime news reports archived i...

      Crime news may foste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the regions where the criminal activities take plac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how different regions in Korea are represented in crime news. Specifically, 4,887 crime news reports archived in NAVER news in 2016 were content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fficial crime statistics from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data showed that news coverage rate wa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actual crime rate for some regions. Jeju’s crime rate was the highest and its news coverage rate was found the second highest. Surprisingly, Gwangju, Jeonnam, and Jeonbuk’s crime rates were low-to-moderate but their news coverage rates were found overwhelmingly high.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number of news reports revealing crime regions in their headlines. The ratio of headlines revealing crime regions was the highest for Jeju in terms of region and for homicide or attempted homicide in terms of crime type. Consequent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 문헌고찰 및 이론적 논의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논의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 문헌고찰 및 이론적 논의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종대, "한국 언론의 지역갈등 재생산 구조에 관한 연구" (13) : 7-32, 1999

      2 김훈순, "한국 언론의 젠더 프레임 - 범죄뉴스와 여성" 한국언론정보학회 27 : 63-91, 2004

      3 채영길, "한국 보수 언론 및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주노동자 재현과 갈등 은유 분석" 한국언론학회 58 (58): 210-237, 2014

      4 박정순, "커뮤니케이션과 지역감정" (25) : 35-74, 1990

      5 김병선, "차별과 역차별의 변주곡 :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영호남 신문에 나타난 지역주의 보도 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40-79, 2010

      6 김영호, "지역감정연구" 학민사 226-241, 1991

      7 김세철, "지역감정에 대한 언론인의 의식조사 연구: 영⋅호남지역 언론인을 중심으로" (29) : 69-102, 1993

      8 이동근, "주요 일간지의 상대적 위상: 지역감정과 공정성을 기준으로" 43 (43): 109-141, 1999

      9 홍지아, "젠더화된 폭력에 대한 뉴스 보도: 4개 언론사(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강남역 여성살인사건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3 (83): 186-218, 2017

      10 정태철, "제목 소비자의 증가와 신문 제목의 이해도" 33 : 203-228, 1995

      1 문종대, "한국 언론의 지역갈등 재생산 구조에 관한 연구" (13) : 7-32, 1999

      2 김훈순, "한국 언론의 젠더 프레임 - 범죄뉴스와 여성" 한국언론정보학회 27 : 63-91, 2004

      3 채영길, "한국 보수 언론 및 온라인 커뮤니티의 이주노동자 재현과 갈등 은유 분석" 한국언론학회 58 (58): 210-237, 2014

      4 박정순, "커뮤니케이션과 지역감정" (25) : 35-74, 1990

      5 김병선, "차별과 역차별의 변주곡 :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영호남 신문에 나타난 지역주의 보도 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40-79, 2010

      6 김영호, "지역감정연구" 학민사 226-241, 1991

      7 김세철, "지역감정에 대한 언론인의 의식조사 연구: 영⋅호남지역 언론인을 중심으로" (29) : 69-102, 1993

      8 이동근, "주요 일간지의 상대적 위상: 지역감정과 공정성을 기준으로" 43 (43): 109-141, 1999

      9 홍지아, "젠더화된 폭력에 대한 뉴스 보도: 4개 언론사(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의 강남역 여성살인사건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3 (83): 186-218, 2017

      10 정태철, "제목 소비자의 증가와 신문 제목의 이해도" 33 : 203-228, 1995

      11 이은택, "저널리즘의 이해" 한국방송통대학교 출판부 2006

      12 김형, "저널리즘 원칙으로 본 온라인 뉴스제목의 형식적 및 내용적 문제점 분석"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87-114, 2013

      13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14 조철래, "영호남 지역신문의 지역주의 보도 연구 : 2004년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510-542, 2009

      15 강상현, "영호남 지방신문에 나타난 대통령후보 이미지 비교" (2) : 105-138, 1992

      16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여론집중도조사 결과 발표"

      17 임준수, "신문은 편집이다" 나남출판사 1995

      18 한국편집기자협회, "신문, 세상을 편집하라 : 신문편집의 이론과 실제" 한국편집기자협회 2006

      19 이재영, "미디어의 살인사건 보도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0 (10): 215-240, 2014

      20 김세은, "다문화사회와 미디어의 재현- 외국인 노동자 보도 분석" 아시아여성연구원 1 (1): 39-73, 2008

      21 경찰청, "경찰범죄통계"

      22 오마이뉴스, "‘외국인 범죄와의 전쟁’ 제주도, 불법체류자만 8500명"

      23 Romer, D., "The treatment of persons of color in local television news: Ethnic blame discourse or realistic group conflict?" 25 : 286-305, 1998

      24 Entman, R. M., "The black image in the white mind: Media and race in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29, 2001

      25 Busselle, R., "Television viewing and perceptions about race differences in socioeconomic success" 46 : 265-282, 2002

      26 Armstrong, G. B., "TV entertainment, news, and racial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42 (42): 153-176, 1992

      27 Hartmann, P. G., "Racism and the mass media: A study of the role of the mass media in the formation of white beliefs and attitudes in Britain" Davis Poynter 1974

      28 Johnson, J. D., "Race, media, and violence : Differential racial effects of exposure to violent news stories" 19 : 81-90, 1997

      29 Oliver, M. B., "Race and crime in the news: Whites’ identification and misidentification of violent and nonviolent criminal suspects" 4 : 137-156, 2002

      30 Dixon, T. L., "Psychological reactions to crime news portrayals of Black criminals : Understanding the moderating roles of prior news viewing and stereotype endorsement" 73 : 162-187, 2006

      31 Gilliam Jr, F. D., "Prime suspects : The influence of local television news on the viewing public" 44 : 560-573, 2000

      32 Kinder, D. R., "Prejudice and politics: Symbolic racism versus racial threats to the good life" 40 : 414-431, 1981

      33 Hall, S., "Policing the crisis: Mugging, the state and law and order" Palgrave Macmillan 2013

      34 Dixon, T. L., "Overrepresentation and underrepresentation of African Americans and Latinos as lawbreakers on television news" 50 (50): 131-154, 2000

      35 Entman, R. M., "Modern racism and the images of blacks in local television news" 7 : 332-345, 1990

      36 Roskos-Ewoldsen, D. R.,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7-120, 2002

      37 Gerbner, G.,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3-67, 2002

      38 Kaid, L. L.,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behavior" Longman 197-217, 1989

      39 Wimmer, R. D.,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iion" Wadsworth 1997

      40 Sears, D. O., "Eliminating racism" Plenum Press 53-84, 1988

      41 Jamieson, K. H., "Dirty politics: Deception, distraction,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42 Dixon, T. L., "Crime news and racialized beliefs :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news viewing and perceptions of African Americans and crime" 58 : 106-125, 2008

      43 Gilliam Jr, F. D., "Crime in black and white : The violent, scary world of local news" 1 (1): 6-23, 1996

      44 Entman, R. M., "Blacks in the news : Television, modern racism and cultural change" 69 : 341-361, 1992

      45 Oliver, M. B., "African American men as “criminal and dangerous”: Implications of media portrayals of crime on the “criminalization” of African American men" 7 (7): 3-18, 2003

      46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