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입장벽이 낮은 여행업계의 특성상 중소여행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26290
서울 :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관광대학원 , 관광경영학과 , 2018. 6
2018
한국어
338.4791
서울
26cm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Job insecurity perceived by small travel company’s employee influencing job involvement : Moder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지도교수:안윤영
참고문헌: p.60-67
I804:11042-20000010329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진입장벽이 낮은 여행업계의 특성상 중소여행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
본 연구는 진입장벽이 낮은 여행업계의 특성상 중소여행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직원 수 100명 이하의 중소여행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돌린 결과 290부가 회수되었다. 중소여행사 직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가지고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이 낮아진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직무만족을 통제변수로 설정해 조절회귀분석을 통한 실증조사를 했다.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고용불안정이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직무몰입은 음(-)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음(-)의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낙관적희망의 양(+)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직무몰입의 음(-)의 효과를 해소하기 위해 직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차원에서 직원들이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업무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한다면,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며 결국 기업 차원에서도 높은 생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employment instability in the tourism industry as the number of small travel companies increases due to low entry barriers of the industry. This research analyzes moderation effect of employee’s posi...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employment instability in the tourism industry as the number of small travel companies increases due to low entry barriers of the industry. This research analyzes moderation effect of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lower job commitment caused by their perceived job insecurity.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by small travel company’s employee was analyzed moderation effect of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control.
Surveys were undertaken by 300 employees in the small travel companies which have fewer than 100 employees, and 290 employees answered.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shows that employees tend to have lower concentration on their works as their job insecurity is higher, an empirical analysis was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of employees in small travel companies, us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s a controlling variable.
The result of research, which are prove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negatively impacts job involvement of employees. Employees in the small travel companies showed lower commitment to their jobs as their job insecurity was higher. Second, self-efficacy and optimism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leviated abov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employees who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ended to have higher job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increa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s effective to lower negativ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panies should provide work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work with stability with methods such as regular job training. The effort on the company level will lead to higher job commitment of employees, which consequently improves service to customers and higher productivi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