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동은 대안성장전략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 산별체제의 구축을 위한 시론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저성장과 양극화에 직면한 한국경제는 소득(임금)주도성장에 기반을 둔 새로운 성장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략은 새로운 성장전략의 주체로 ‘개혁적인 정권’을 상정하는데 그침으로써 아래로부터의 지지와 동원을 끌어낼 수 있는 주체를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산별체제가 새로운 성장전략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를 탐색한다.
      이 글은 노조가 대안성장전략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산별체제로 이행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산별체제는 산별노조 조직을 기반으로 산별교섭체제, 중위 차원의 사회적 대화, 그리고 기업차원의 공동결정제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산별체제는 사회적 연대를 축으로 하는 사회운동 노조주의를 그 이념으로 삼는다. 이런 산별체제는 연대임금의 추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그리고 복지사회 건설의 주축이됨으로써 새로운 성장전략을 아래로부터 뒷받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조의 연대적 노력 이외에도 ‘노동배제의 정치’를 ‘노동포괄의 정치’로 전환할 수 있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필요로 하며 그 매개고리는 정치다. 권력변화의 시기를 맞이하여 이 글은 산별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아래로부터의 참여가 대안적인 성장전략을 실현시키는 주체임을 주장한다.
      번역하기

      저성장과 양극화에 직면한 한국경제는 소득(임금)주도성장에 기반을 둔 새로운 성장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략은 새로운 성장전략의 주체로 ‘개혁적인 정권’을 상정하는데 그...

      저성장과 양극화에 직면한 한국경제는 소득(임금)주도성장에 기반을 둔 새로운 성장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전략은 새로운 성장전략의 주체로 ‘개혁적인 정권’을 상정하는데 그침으로써 아래로부터의 지지와 동원을 끌어낼 수 있는 주체를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산별체제가 새로운 성장전략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를 탐색한다.
      이 글은 노조가 대안성장전략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산별체제로 이행할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산별체제는 산별노조 조직을 기반으로 산별교섭체제, 중위 차원의 사회적 대화, 그리고 기업차원의 공동결정제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산별체제는 사회적 연대를 축으로 하는 사회운동 노조주의를 그 이념으로 삼는다. 이런 산별체제는 연대임금의 추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그리고 복지사회 건설의 주축이됨으로써 새로운 성장전략을 아래로부터 뒷받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조의 연대적 노력 이외에도 ‘노동배제의 정치’를 ‘노동포괄의 정치’로 전환할 수 있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필요로 하며 그 매개고리는 정치다. 권력변화의 시기를 맞이하여 이 글은 산별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아래로부터의 참여가 대안적인 성장전략을 실현시키는 주체임을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economy, facing economic stagnation and polarization, pursues the alternative growth strategy based on income (wage)-led growth. However, this strategy implicitly presumes ‘the progressive government’ as its principal agent. As a result, it fails to mobilize the support and participation from the bottom. This essay explores whether the industrial union system can become a driving force behind new growth strategy.
      Korea’s labor movement, mainly based on collective bargaining system at enterprise level, has been focusing on wage maximization strategy. However, under economic stagnation and polarization, labor movement is in jeopardy due to the decline of unionization rate, reduction in scope of collective agreements, and social isolation. This essay states that in order for trade unions to become the driving force of alternative growth strategy, it needs to transform into an industrial union system. The industrial union system contains industrial bargaining, social dialogue at industry level, and codetermination system at enterprise level. And it postulates social movement unionism based on social solidarity as its identity. Through the industrial union system, trade unions pursue solidarity wage, the creation of decent works and welfare society.
      In addition to the solidarity activities of trade unions, it needs political participation of unions which realizes ‘the politics of labor inclusion’. In conclusion, it reveals industrial system of trade unions can be a main agent of the alternative growth strategy in Korea.
      번역하기

      The Korean economy, facing economic stagnation and polarization, pursues the alternative growth strategy based on income (wage)-led growth. However, this strategy implicitly presumes ‘the progressive government’ as its principal agent. As a result...

      The Korean economy, facing economic stagnation and polarization, pursues the alternative growth strategy based on income (wage)-led growth. However, this strategy implicitly presumes ‘the progressive government’ as its principal agent. As a result, it fails to mobilize the support and participation from the bottom. This essay explores whether the industrial union system can become a driving force behind new growth strategy.
      Korea’s labor movement, mainly based on collective bargaining system at enterprise level, has been focusing on wage maximization strategy. However, under economic stagnation and polarization, labor movement is in jeopardy due to the decline of unionization rate, reduction in scope of collective agreements, and social isolation. This essay states that in order for trade unions to become the driving force of alternative growth strategy, it needs to transform into an industrial union system. The industrial union system contains industrial bargaining, social dialogue at industry level, and codetermination system at enterprise level. And it postulates social movement unionism based on social solidarity as its identity. Through the industrial union system, trade unions pursue solidarity wage, the creation of decent works and welfare society.
      In addition to the solidarity activities of trade unions, it needs political participation of unions which realizes ‘the politics of labor inclusion’. In conclusion, it reveals industrial system of trade unions can be a main agent of the alternative growth strategy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저성장·양극화체제와 ‘노동 없는 민주주의’
      • Ⅲ. ‘한국형 연대임금정책’은 가능한가
      • Ⅳ. 노동조합은 복지동맹의 주력군이 될 수 있는가?
      • 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저성장·양극화체제와 ‘노동 없는 민주주의’
      • Ⅲ. ‘한국형 연대임금정책’은 가능한가
      • Ⅳ. 노동조합은 복지동맹의 주력군이 될 수 있는가?
      • Ⅴ. 산별체제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