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박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관련요인의 만성 및 급성 효과 = Chronic and Acute Effects of Work-related Factors on Heart Rate Vari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6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업장 근로자의 연령증가로 인해 작업관련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만성적으로 저하된 심박변이는 심혈관계 질...

      목적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업장 근로자의 연령증가로 인해 작업관련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만성적으로 저하된 심박변이는 심혈관계 질환의 단일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박변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해요인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급 만성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자동차 제조업체의 85명을 대상으로 오전 오후의 심박변이를 측정하였다 작업환경요인은 물리적 환경요인(소음 온도) 화학적 환경요인(산화철분진 중금속 금속가공유 혼합유기용제) 정신사회적요인(직무스트레스) 육체적 작업부하(상대심박비 손목의 근육활동도와 반복빈도) 등으로 나누어서 측정을 하였다 심박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변수를 보정한 후 HRV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관련 요인의 항목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만성적인 자율신경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오전의 심박변이를 분석하였고 급성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오전의 심박변이지표를 보정한 후 오후의 심박변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는 SAS (version 9.1)를 이용하였다
      결과 소음 및 고온 작업자에서 작업 후 자율신경계의 과활동성이 관찰되었으며 오전의 심박변이가 저하되어 있었다 금속가공유에 의해서는 노출 후 부교감신경의 활동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갈등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심박변이가 만성적으로 저하되어 있었다 육체적 작업부하가 증가할수록 작업 후의 심박변이가 저하되는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일부 오전의 심박변이 지표도 낮아져 있었다.
      결론 물리적 환경요인 화학적 환경요인 정신사회적 요인과 육체적 작업부하 모두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작업관련요인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만성 급성 영향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과거의 노출 또는 만성적 노출에 의해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위험인자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노출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현시점에서 작업환경개선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one of the serious risk factors for heart diseases We evaluated the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work related factors on HRV. Methods The five minute HRV of 85 male workers from an automobile assembl...

      Objectives Reduc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one of the serious risk factors for heart diseases We evaluated the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work related factors on HRV.
      Methods The five minute HRV of 85 male workers from an automobile assembly factory were measured at 9 A.M (before-work) and at 5 P.M (after work) The workplace noise, temperature and physical workload levels were measured as work related factors. We postulated that the HRV measured at before work represents the chronic effects and the HRV. measured at after-work represents the acute effects of work related factors We used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adjusting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or the morning HRV.
      Results The subjects exposed to noise or a hot environment showed increased HRV in the afternoon and decreased HRV in the morning. Machine oil and interpersonal conflict decreased the HRV in the morning. but other chemicals did not show any effect on the HRV. A physical workload decreased the HRV in both the morning and afternoon.
      Conclusion The physical and chemical environment psychosocial stress and a physical workload may affect the autonomic nerve syst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