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삶의 질 분석 모형 = 사회통계지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73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 regression models of quality of life are developed using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2004-06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Life satisfaction, housing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explained by various measurable socio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which is the first attempt in QOL research areas in Korea. Relationships among life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are strong. Statistical treatment of the data indicate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Neighbourhood satisfaction is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번역하기

      Multi regression models of quality of life are developed using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2004-06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Life satisfaction, housing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

      Multi regression models of quality of life are developed using data from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2004-06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Life satisfaction, housing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explained by various measurable socio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which is the first attempt in QOL research areas in Korea. Relationships among life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are strong. Statistical treatment of the data indicate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neighbourhood satisfaction. Neighbourhood satisfaction is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론
      • 4. 16개 시도의 삶의 질 모형 구축
      • Abstract
      • 1. 서론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론
      • 4. 16개 시도의 삶의 질 모형 구축
      •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2 조진상, "지속가능한 개발전략과 새로운 도시의 건설" 1999

      3 국토연구원, "제 4차 국토종합계획(안), 1999.7" 국토연구원 1999

      4 이현송,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3 (23): 91-117, 2000

      5 김효화, "서울시 삶의 질 변화에 관한 사회지리학적 연구" 49 : 81-94, 2005

      6 김정태, "삶의 질의 지역간 상대적 효과분석: 공간연계성 및 도시화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9 (9): 652-668, 2005

      7 박현옥,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일상생활환경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충남 홍성군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5 (15): 83-94, 2006

      8 이광국, "삶의 질 지수와 적정인구규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자치구단위를 중심으로 -" 22 : 137-151, 2004

      9 이주형, "삶의 질 분석을 통한 도시 개발 효과에 관한 연구-전국 74개 도시를 중심으로" 13 (13): 91-100, 1997

      10 이재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13 (13): 1-10, 2007

      1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2 조진상, "지속가능한 개발전략과 새로운 도시의 건설" 1999

      3 국토연구원, "제 4차 국토종합계획(안), 1999.7" 국토연구원 1999

      4 이현송,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3 (23): 91-117, 2000

      5 김효화, "서울시 삶의 질 변화에 관한 사회지리학적 연구" 49 : 81-94, 2005

      6 김정태, "삶의 질의 지역간 상대적 효과분석: 공간연계성 및 도시화도를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9 (9): 652-668, 2005

      7 박현옥,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일상생활환경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충남 홍성군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5 (15): 83-94, 2006

      8 이광국, "삶의 질 지수와 적정인구규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자치구단위를 중심으로 -" 22 : 137-151, 2004

      9 이주형, "삶의 질 분석을 통한 도시 개발 효과에 관한 연구-전국 74개 도시를 중심으로" 13 (13): 91-100, 1997

      10 이재하,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13 (13): 1-10, 2007

      11 하혜수, "도시정부의 ‘삶의 질’ 결정요인분석" 30 (30): 81-95, 1996

      12 최열, "대도시 삶의 질과 토지이용간의 상관분석" 36 (36): 113-127, 2001

      13 이태종, "광역생활권내 자치단체간 ?삶의 질?의 비교 평가" 서울행정학회 16 (16): 211-229, 2005

      14 이순묵, "공변량구조분석" 성원사 1990

      15 이봉구, "강원랜드 카지노 개발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7 (27): 289-309, 2004

      16 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quality-of-life index"

      17 서울특별시, "2005 서울 서베이"

      18 박종순, "2000년 서울시 행정동별 삶의 질 지표에 대한 연구" 국토연구원 50 : 77-9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