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역사는 문원덕 선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문원덕 선생은 1894년 태안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하신 문장로 대접주의 손자로 부친이신 문병석 선생까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역사는 문원덕 선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문원덕 선생은 1894년 태안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하신 문장로 대접주의 손자로 부친이신 문병석 선생까지...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역사는 문원덕 선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문원덕 선생은 1894년 태안지역의 동학농민혁명을 주도하신 문장로 대접주의 손자로 부친이신 문병석 선생까지 3대가 모두 동학을 통한 민족운동과 항일운동을 이은 인물이다. 또한 연구자 역시 부친이신 문원덕 선생의 딸로 아버지와 함께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의 선양사업을 시작해 온지가 벌써 50년에 이르고 있다. 태안군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은 먼저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을 위한 조직체를 구성하는 것으로부터였다. 유족회와 동학농민혁명군의 추모탑건립위원회를 발족하였고 기념사업회도 출범시켰다. 또한 기념탑 건립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선양 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기념관 건립을 실시하여 내년인 2021년 개관을 앞두고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의 참여자 명단 확보와 관련 기록물 발간, 선양사업 등을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참여자와 가해자가 모두 화해와 상생의 길로 함께 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과 민뿐 아니라 학계에서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왜곡된 역사는 시정되어야 한다. 비록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은 좌절되었지만 이후의 3.1 독립혁명과 항일운동, 4.19 혁명, 이후의 민주화운동의 든든한 토대가 되었다. 문제는 앞으로 이같이 훌륭한 혁명정신을 이어받아 후손들이 잘 실천하고 후대에도 계속 전승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ve project in Taean-gun began with Moon Won-deok. Moon Won-deok is the grandson of Moon Jang-ro, who l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aean in 1894. He is the successor of the national move...
The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ve project in Taean-gun began with Moon Won-deok. Moon Won-deok is the grandson of Moon Jang-ro, who le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aean in 1894. He is the successor of the national movement through Donghak and the anti-Japanese movement, including his father, Moon Byung-seok. In addition, the researcher is also the daughter of his father, Moon Won-deok, and has been carrying on the Commemoration Project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aean-gun for 50 years with his father. Taean-gun’s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first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fo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Taean-gun’s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first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fo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 The Bereaved Family Association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ary Army commemorative tower construction committee was launched, and a commemorative project group was launched.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a memorial tower was carried out to carry out a specific Commemoration project. In the end, the memorial hall was built and is about to open next year, 2021. In addition, it has secured a list of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ublished related records, and conducted the Commemoration project. However, in the end, both the participant and the perpetrator must go along the path of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To this end, not only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but also the academia must provide help. Above all, the distorted histor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ust be corrected. In the future, we must take over this great revolutionary spirit and make efforts so that our descendants can practice it well and continue to pass on it to the future gener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천도교회사초고"
2 채길순, "새로 쓰는 동학기행1" 모시는사람들 2012
3 태안군 충남역사문화원, "북접일기" 2006
4 표영삼, "보은 척왜양창의 운동" 1993
5 황현, "동학란(동비기략초고)" 을유문화사 1985
6 갑오동학농민혁명 태안군 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과 교장바위" 2006
7 표영삼, "동학 2" 통나무 2005
8 임형진, "내포지역의 동학 유입 경로와 조직화 과정" 동학학회 (29) : 59-98, 2013
9 표영삼, "꺼지지 않는 들불 동학" 동학민족통일회 2009
10 "東學道宗繹史"
1 "천도교회사초고"
2 채길순, "새로 쓰는 동학기행1" 모시는사람들 2012
3 태안군 충남역사문화원, "북접일기" 2006
4 표영삼, "보은 척왜양창의 운동" 1993
5 황현, "동학란(동비기략초고)" 을유문화사 1985
6 갑오동학농민혁명 태안군 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과 교장바위" 2006
7 표영삼, "동학 2" 통나무 2005
8 임형진, "내포지역의 동학 유입 경로와 조직화 과정" 동학학회 (29) : 59-98, 2013
9 표영삼, "꺼지지 않는 들불 동학" 동학민족통일회 2009
10 "東學道宗繹史"
11 "東學史"
12 "天道敎書"
13 "天道敎創建史"
14 "侍天敎宗譯史"
묵암 이종일과 동학, 천도교, 그리고 3ㆍ1독립만세운동의 연속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5 | 0.797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