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FTA 연구가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연구대상은 KCI에서 검색어 “FTA”로 검색된 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52292
2015
-
FTA Research ; Research Topic ; Research Method ; Data Analysis ; FTA연구 ; 연구주제 ; 연구방법 ; 자료분석방법
320
KCI등재
학술저널
71-90(2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FTA 연구가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연구대상은 KCI에서 검색어 “FTA”로 검색된 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FTA 연구가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연구대상은 KCI에서 검색어 “FTA”로 검색된 논문 중 학술지의 중분류 기준이 무역학에 속하는 논문 수 상위 8대 학술지 관세학회지 , 통상정보연구 , 무역학회지 , 무역연구 , 국제통상연구 , 국제상학 , e-비즈니스연구 , 무역상무연구 의 340편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5년 7월 현재 한국의 FTA 체결현황을 기초로 분류체계를 수립하였으며, 이 분류체계로 분류한 논문들의 분석결과와 근거의 추론은 3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결과: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근 10년간 FTA에 대한 연구가 급격하게 증가 되어왔다. 2) FTA가 체결된 시기에 상관없이 최근 체결된 한-미, 한-EU, 한-중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3) FTA 양국의 체결과 관련하여 발효, 타결, 협상 등과 관련한 이슈가 제기될 때 연구도 유사한 시기에 활발히 진행되었다. 4) 한국(지역)에서의 연구도 다양한 지역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5)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문헌고찰이 다수 이며, 그 다음 계량경제학모형, 설문분석 순이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FTA와 관련 연구들의 연대기적 변화와 발전방향에 대해 조망하고 향후 학문적인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 첫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추후 연구에는 FTA에 실제적으로 투영될 수 있는 과정과 결과 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research trend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FTA study. Composition/Logic: Study objects are total 340 papers in top 8 academic journals about trade as second criterion of jo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research trend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FTA study.
Composition/Logic: Study objects are total 340 papers in top 8 academic journals about trade as second criterion of journals when search for “Free Trade Agreement (FTA) in Korea Citation Index (KCI);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Korea Trade Review ,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dustry Studies , Korea International Commercial Review , The e-Business Stud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erce & Law Review . For the analysis, a classification system is established based on the present condition of FTA signed by Korea until July 2015, the analysis result of these paper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system and inferences are in Chapter 3 with details.
Findings: The followings are the analysis results. 1) Studies on FTA have risen consistently over the past decade. 2)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FTAs between Korea-U.S., Korea-EU, Korea-China, independent of the time. 3) Studies on FTA were carried on actively when there were issues related to FTA made, agreed and negotiated. 4)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Korea (region) in many countries. 5) Many studies were using literature review, econometrics model and questionnaire analysis in the order.
Originality/Value: This is the first study to overview the historic change and development of studies related to FTA by Korea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academic developments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next studies need to approach the process and results for application to FTA in depth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귀, "한국의 FTA 10년 평가와 향후 정책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99, 2014
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으로 수출기업의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쉬워진다" 산업통상자원부 2015
3 이주성, "한-중미 FTA와 우리기업 진출기회" KOTRA 1-59, 2015
4 KOTRA 중국사업단, "한-중 FTA 업종별 효과와 활용 시사점" KOTRA 1-86, 2015
5 박지은, "주요국 FTA 추진 현황과 2015년 전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39, 2015
6 이혜연, "무역업계가 바라본 新FTA 추진전략"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8, 2015
1 김영귀, "한국의 FTA 10년 평가와 향후 정책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99, 2014
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으로 수출기업의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쉬워진다" 산업통상자원부 2015
3 이주성, "한-중미 FTA와 우리기업 진출기회" KOTRA 1-59, 2015
4 KOTRA 중국사업단, "한-중 FTA 업종별 효과와 활용 시사점" KOTRA 1-86, 2015
5 박지은, "주요국 FTA 추진 현황과 2015년 전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39, 2015
6 이혜연, "무역업계가 바라본 新FTA 추진전략"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1-18, 2015
An Empirical Study on uTrade Hub Using Performance of Export-Import Small & Medium Enterprise
How to Overpass the Chasm for the Diffusion of Digital Contents in Global Sale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4-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Electronic Trade Institute -> Korea E-Trade Research Institut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 | 0.485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