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연구는 한국정쟁에서 1962년에 이르는 시기의 미확인 한국 출판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중심 시기인 1950년대는 한국전쟁으로부터 출발하여 1960년 4·19혁명으로 이어지는 혼란의 연대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98274
2009
-
300
KCI등재
학술저널
205-241(37쪽)
3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연구는 한국정쟁에서 1962년에 이르는 시기의 미확인 한국 출판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중심 시기인 1950년대는 한국전쟁으로부터 출발하여 1960년 4·19혁명으로 이어지는 혼란의 연대였...
본연구는 한국정쟁에서 1962년에 이르는 시기의 미확인 한국 출판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중심 시기인 1950년대는 한국전쟁으로부터 출발하여 1960년 4·19혁명으로 이어지는 혼란의 연대였다. 이 시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분은 6·25가 진행되는 1950~1953년까지이고, 둘째 부분은 1953년 이후 전후 회복기에서 산업화 시대의 초입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해당 시기는 한국 근현대사상 더없는 혼란기였다고 볼 수 있다. 반세기에 걸친 일제의 강압적 통치에서 벗어난 지 얼마 안 되어 독립국가로서의 체제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시기일뿐더러, 좌우 이념의 대립에 따른 사회적 혼란도 끊이지 않은 시기였다. 그에 따라 우리 출판에 대한 통계는 지극히 불비하였다. 좌우 이념의 대립에 따라 납본 절차를 제대로 밟지 않은 이념 서적들도 적지 않았고, 지방이나 문중에서 출판된 도서들 가운데에는 제대로 통계에 잡히지 않은 책들이 적지 않다. 또한 출판사를 거치지 않고 사가본(私家本) 형태로 출간된 책들도 상당수 존재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당시 사정을 기록하고 있는 몇몇 연감과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는 한편, 당시 발간된 신문이나 장기 간행물들 가운데 나타난 미등록 도서들을 점검하는 한편, 고서점이나 소장자들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등의 방법으로 미확인 출판물들을 추적하고자 한다. 등록 출판물의 규정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64년에 발간한 『한국서목』을 기준으로 하고, 여기에서 누락된 출판물들을 수집 정리하고자 한다. 본연구에서는 납본과 통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교과서 분야를 제외하고 단행본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에서 1962년도에 이르는 한국의 출판 상황을 살펴보는 한편, 당시 출판되어 우리 국민들에게 적잖은 정신적 영향을 끼치고도 우리 출판유산으로 등재되지 못하고 있는 출판물들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상당한 출판 유산이 역사적 기록으로 등재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미등록 출판물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동족상잔에 따르는 혼란 상황과 휴전 후 그 수습 과정에 따르는 열악한 제반 경제 여건 및 지식욕이 팽배한 가운데 미등록되거나 소량의 부수를 출판하여 연구 집단 등에서 활용한 출판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다음으로, 미등록 출판사들이나 지방 소재 출판사에서 간행된 도서들이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중본, 사가본 등 정식 출판 절차를 거치지 않고 출판된 도서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들 도서들은 해방 조국을 새롭게 건설하는 데 초석이 된 귀중한 문화 유산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새삼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문화 역량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출판 탄압 조치에 따른 금서(禁書) 처분 및 그에 따르는 납본 회피 등으로 다수의 양서가 미확인 출판물로 남는 결과를 낳았음을 확인하였다. 본연구에서는 각급 도서관 및 고서점, 소장자들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하여 한국전쟁기에 104종, 휴전 후 1950년대 말까지 202종, 이후 1962년까지 37종 등 총 343종의 가치 있는 미확인 출판물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그 체재나 내용이 우리 출판 유산으로 새롭게 등재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출판은 우리 국민들에게 정신적 푯대가 되어 왔음은 물론, 당시의 상황을 기록하고 후대에 전승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있는 문화 유산임을 재삼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the publications status of Korea from 1950 Korean War to the year 1962. That period was the most confusional age on Korean modern history. The central period, 1950 epoch is a confusional era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the publications status of Korea from 1950 Korean War to the year 1962. That period was the most confusional age on Korean modern history. The central period, 1950 epoch is a confusional era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4·19 revolution.
Over half century, as Japanese high-handed domination, liberation Korea was not ready for an independent country. Also, social confusion that followed conflict of the ideology. Because this condition, publshing statistics was extremely defective. At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some yearbooks that has recorded the circumstances of those days, and have investigated established research works. And I have surveyed newspapers and periodical publications, visited old bookstores. Through these methods I have persuited unconfirmed Korean publishing products of 1950-1962 Period.
At this study, registration rules of publications is followed to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1945-1962 that published by National Central Library Seoul, Korea on 1964. Through this study, we have found 104 sorts of separate volumes in the Korean war period. And 202 sorts in the war to 1959, 37 sorts in 1960-1962 period, new ones are recovered. Total 343 sorts of separate volumes are reconfirmed as our historical publishing hereditament. Types of unconfirmed publishing products are as follows. Forst, some of theirs are left wing books that is not presented specimen copies for censorship because extreme conflict between left wings and right wings. And there are some matters from unregistered publishers and local publishers. Finally, publishied by local families and by individuals are also sorts of these types. These books was foundation stones that have established liberation country, our precious culture hereditaments. Through these new publishing matters we have confirmed that our exellant cutural capabi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몽구, "해방 이후 한국전쟁 이전 시기 미확인 출판물 연구" 한국출판학회 34 (34): 101-138, 2008
2 백운관, "한국출판문화 변천사" 타래 1992
3 전영표, "한국출판론(2판)" 대광문화사 1991
4 조성출, "한국인쇄출판 백년" 보진재 1997
5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1982
6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서목(1945-1962)" 1964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8 정옥희, "한국동란의 보도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0
9 이만열,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10 이덕주, "한국기독교 문서운동 100년" 기독교문사 1987
1 박몽구, "해방 이후 한국전쟁 이전 시기 미확인 출판물 연구" 한국출판학회 34 (34): 101-138, 2008
2 백운관, "한국출판문화 변천사" 타래 1992
3 전영표, "한국출판론(2판)" 대광문화사 1991
4 조성출, "한국인쇄출판 백년" 보진재 1997
5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1982
6 국립중앙도서관, "한국서목(1945-1962)" 1964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8 정옥희, "한국동란의 보도 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0
9 이만열, "한국기독교문화운동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10 이덕주, "한국기독교 문서운동 100년" 기독교문사 1987
11 全泳杓, "한국 출판론" 大光文化社 1987
12 이명희, "한국 전시출판 상황에 관한 연구-1950년 6월부터 1953년 7월까지-" 중앙대학교 신문송대학원 1994
13 노혜경, "한국 이념 출판물의 생성과 발전에 대한 연구" 경희대신문방송대학원 1993
14 부길만, "한국 도서출판물 유통에 관한 사적 고찰: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중앙대신문방송대학원 1991
15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개론(하)" 세영사 1987
16 이장추, "제5공화국의 출판통제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1990
17 부산일보사, "임시수도 천일"
18 李鎔結, "우리나라 출판문화행정의 역사적 고찰" 서울대행정대학원 1988
19 이두영, "우리 출판 100년" 현암사 2001
20 강만길,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창작과비평사 1994
21 조대형, "미군정기의 출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4
22 이종국, "대한교과서사: 1948~1998"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23 황종수, "나의 출판 소화" 1990
24 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97
25 韓우劤, "韓國通史" 을유문화사 2001
26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現代史" 탐구당 1982
27 千惠鳳, "韓國書誌學" 민음사 1995
28 조상호, "韓國出版의言論的 機能과 時代的 役割에 관한 硏究" 한양대 대학원 1997
29 안춘근, "韓國出版文化史大要" 청림출판 1987
30 안춘근, "韓國出版文化史大要" 청림출판 1987
31 千惠鳳, "韓國典籍印刷史" 汎友社 1990
32 조선출판문화협회, "出版大鑑" 대한출판문화협회 1949
33 대한출판연감사, "4290 출판연감" 1957
34 대한출판문화협회, "1963 出版年鑑" 1963
35 진덕규, "1950년대의 인식" 한길사 1981
36 이종국, "1945년의 출판 실태에 대한 고찰" 1988
2000년대 한일 베스트셀러 동향과 문화유입 현황에 대한 고찰
도서 추천 주체의 공신력과 메시지 특성이 도서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1 | 0.7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