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Time Course of the Effects of Nitric Oxide on Voluntary Wheel Running Behavior following Restraint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9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동인행동(motivational behavior) 변화에 대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영향을 자발적인 쳇바퀴 운동(voluntary wheel running)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생쥐에 매일 3시간씩 ...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동인행동(motivational behavior) 변화에 대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영향을 자발적인 쳇바퀴 운동(voluntary wheel running)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생쥐에 매일 3시간씩 결박스트레스(restraint stress)를 가한 후 2주 동안 자발적인 운동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결박스트레스에 의하여 초기 1일에서부터 7일째까지 자발적인 운동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8일 이후에는 스트레스 처치 이전(0일)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에 대한 일산화질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산화질소의 전구물질인 L-arginine과 NO synthase의 억제제인 N-nitro-L- arginine methyl ester (L-NAME)을 결박 스트레스 후 복강 주사 하여 각각의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NAME 투여군에서 1일에서 3일째에 자발적인 운동의 감소가 유도되었다. 결박 스트레스 후 L-arginine을 투여한 군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한 초기 자발적 운동의 감소가 억제되었다. 반면, 결박 스트레스 후 L-NAME 투여군에서는 스트레스 후의 초기 자발적인 운동의 감소가 계속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스트레스가 동인행동의 감소 현상를 초기에 유발 할 수 있고, 이러한 감소 현상은 스트레스에 의한 일산화질소 변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일산화질소의 전구체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volvement of nitric oxide (NO) in stress-induced motivational behavior change in mice was evaluated using voluntary wheel running in the cage. The effects of daily restraint stress on voluntary running were followed for two weeks. Daily restrain...

      The involvement of nitric oxide (NO) in stress-induced motivational behavior change in mice was evaluated using voluntary wheel running in the cage. The effects of daily restraint stress on voluntary running were followed for two weeks. Daily restraint stress for 3 hours reduced voluntary running from Day 1 to Day 7. The effects of the NO precursor, L-arginine, and the NO synthase inhibitor, N-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on voluntary running were also observed for two weeks. In the L-NAME-treated group, voluntary running decreased on Days 1 to 3 compared to the baseline level (Day 0; voluntary running levels before stress). Treatment with L-arginine following restraint stress markedly sustained the voluntary running activity to basal level, whereas treatment with L-NAME following restraint stress prolonged the decrease in voluntary running induced by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 may protect against stress-induced motivational behavioral change. (Korean J Str Res 2009;17:277∼284)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