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파장 열영상을 이용한 계란 기실 비파괴 측정 =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Egg Air Cell using Longwave Infrared Thermal Imag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8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ize of an air cell in an egg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its freshness and is often used as a grading index. Currently, the Haugh Unit (HU) test is the most common method for evaluating egg freshness; however, it is destructive and time-consuming, and not all eggs can be tes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evaluating egg quality, non-destructive measurement methods have been explored. In this study, a longwave infrared thermal imaging method was used to predict HU by measuring air cell size. After performing image enhancement by forcing airflow through fans, the thermal image of the egg air cell was used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air volume of the ce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ze of the air cell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t all tested temperatures (5, 15, and 25℃). Fur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size and actual volume of the air cell was evaluated using an R² value of 0.946 and SEP of 0.028%.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non-destructive egg air cell measurement method has the potential to be a rapid and accurate prediction tool for egg freshness, suggesting that this method is a suitable alternative to the destructive HU measurement method.
      번역하기

      The size of an air cell in an egg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its freshness and is often used as a grading index. Currently, the Haugh Unit (HU) test is the most common method for evaluating egg freshness; however, it is destructive and time-consumin...

      The size of an air cell in an egg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its freshness and is often used as a grading index. Currently, the Haugh Unit (HU) test is the most common method for evaluating egg freshness; however, it is destructive and time-consuming, and not all eggs can be test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evaluating egg quality, non-destructive measurement methods have been explored. In this study, a longwave infrared thermal imaging method was used to predict HU by measuring air cell size. After performing image enhancement by forcing airflow through fans, the thermal image of the egg air cell was used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air volume of the ce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ze of the air cell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t all tested temperatures (5, 15, and 25℃). Furth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lculated size and actual volume of the air cell was evaluated using an R² value of 0.946 and SEP of 0.028%.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non-destructive egg air cell measurement method has the potential to be a rapid and accurate prediction tool for egg freshness, suggesting that this method is a suitable alternative to the destructive HU measurement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계란의 신선도 평가 방법은 호우유닛(Haugh Unit, HU) 검사이지만, 파괴적이고 측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전수 검사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비파괴적인 신선도 측정방법으로 계란 둔단부 내에 위치하는 기실의 크기를 측정하여 신선도를 판단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비파괴 측정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계란 기실의 비파괴적 측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파장 대역(8~14μm)에서 작동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강제 공기 유동 방식을 융합하여 계란의 기실 크기를 비파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실의 크기는 계란의 저장 온도(5℃, 15℃, 25℃)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구축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계란 기실의 크기를 비파괴적으로 예측하였을 때, 실제 기실 크기와의 상관관계가 R²=0.946, SEP=0.02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열화상 및 강제 공기 유동 방식을 활용했을 때, 신선도 지표 중 하나인 계란 기실 크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파괴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현재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계란의 신선도 평가 방법은 호우유닛(Haugh Unit, HU) 검사이지만, 파괴적이고 측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전수 검사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비파괴적인 신...

      현재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계란의 신선도 평가 방법은 호우유닛(Haugh Unit, HU) 검사이지만, 파괴적이고 측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전수 검사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비파괴적인 신선도 측정방법으로 계란 둔단부 내에 위치하는 기실의 크기를 측정하여 신선도를 판단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비파괴 측정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계란 기실의 비파괴적 측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파장 대역(8~14μm)에서 작동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강제 공기 유동 방식을 융합하여 계란의 기실 크기를 비파괴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실의 크기는 계란의 저장 온도(5℃, 15℃, 25℃)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구축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계란 기실의 크기를 비파괴적으로 예측하였을 때, 실제 기실 크기와의 상관관계가 R²=0.946, SEP=0.02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열화상 및 강제 공기 유동 방식을 활용했을 때, 신선도 지표 중 하나인 계란 기실 크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파괴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재중 ; 김현주 ; 전승엽 ; 박병석 ; 김선만 ; 김희수 ; 조철훈, "파각란 및 혈란 자동검란기기 검출 신뢰도 검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69-75, 2013

      2 이홍석 ; 김대용 ; 라리트 칸드팔 ; 이상대 ; 모창연 ; 홍순중 ; 조병관, "가시광 및 근적외선 전투과 스펙트럼을 이용한 갈색 혈란 비파괴선별 방법 개발" 한국비파괴검사학회 34 (34): 31-37, 2014

      3 P. R. Wiederhold, "Water vapor measurement:methods and instrumentation" CRC press 1-384, 2012

      4 United Stat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USDA Egg-Grading Manual" Independently Published 1-54, 2020

      5 J. H. Vondell, "The effects of humidity on eggs and cases" 40 (40): 698-701, 1961

      6 S. K. Lee, "The Standard Requirements and Regulations of Egg Containing Foreign Material(Blood and Meat Spots)in the World" 4 (4): 2-6, 2015

      7 A. Brodacki, "Selected quality traits of table eggs depending on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121 (121): 2016-2026, 2019

      8 D. F. Hoyt, "Practical methods of estimating volume and fresh weight of bird eggs" 96 (96): 73-77, 1979

      9 김태정 ; 김선정 ; 이동구 ; 이정호 ; 이영석 ; 황헌 ; 최선, "PLC제어와 영상처리를 이용한 계란의 비파괴 신선도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2 (12): 162-169, 2019

      10 D. Park, "Nondestructive egg Haugh unit measur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rmal image analysis" 169-, 2022

      1 노재중 ; 김현주 ; 전승엽 ; 박병석 ; 김선만 ; 김희수 ; 조철훈, "파각란 및 혈란 자동검란기기 검출 신뢰도 검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69-75, 2013

      2 이홍석 ; 김대용 ; 라리트 칸드팔 ; 이상대 ; 모창연 ; 홍순중 ; 조병관, "가시광 및 근적외선 전투과 스펙트럼을 이용한 갈색 혈란 비파괴선별 방법 개발" 한국비파괴검사학회 34 (34): 31-37, 2014

      3 P. R. Wiederhold, "Water vapor measurement:methods and instrumentation" CRC press 1-384, 2012

      4 United Stat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USDA Egg-Grading Manual" Independently Published 1-54, 2020

      5 J. H. Vondell, "The effects of humidity on eggs and cases" 40 (40): 698-701, 1961

      6 S. K. Lee, "The Standard Requirements and Regulations of Egg Containing Foreign Material(Blood and Meat Spots)in the World" 4 (4): 2-6, 2015

      7 A. Brodacki, "Selected quality traits of table eggs depending on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121 (121): 2016-2026, 2019

      8 D. F. Hoyt, "Practical methods of estimating volume and fresh weight of bird eggs" 96 (96): 73-77, 1979

      9 김태정 ; 김선정 ; 이동구 ; 이정호 ; 이영석 ; 황헌 ; 최선, "PLC제어와 영상처리를 이용한 계란의 비파괴 신선도 측정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2 (12): 162-169, 2019

      10 D. Park, "Nondestructive egg Haugh unit measur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rmal image analysis" 169-, 2022

      11 H. Ghorbani, "Mahalanobis distance and its application for detecting multivariate outliers" 34 (34): 583-595, 2019

      12 D. Kim, "Keeping up with the issue-Mandatory labeling of egg laying dates and selective packaging" 51 (51): 124-125, 2019

      13 S. -C. Yoon, "Improved modified pressure imaging and software for egg micro-crack detection and egg quality grading" 28 (28): 283-293, 2012

      14 V. M. Nakaguchi, "Fast and Non-Destructive Quail Egg Freshness Assessment Using a Thermal Camera and Deep Learning-Based Air Cell Detection Algorithms for the Revalidation of the Expiration Date of Eggs" 22 (22): 7703-, 2022

      15 A. Fernandez-S, "Electronic system for the detection of chicken eggs suitable for incubation through image processing" 208-218, 2019

      16 R. Ibrahim, "Egg’s grade classification and dirt inspection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2 : 978-988, 2012

      17 J. P. Jacob, "Egg quality,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24 : 2000

      18 B. Kamel, "Egg quality as affected by storage and handling methods" 3 (3): 261-273, 1980

      19 T. Muthia, "Egg Characteristic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Based on Image Processing" 2022 : 1-5, 2022

      20 H. E. Samli, "Effects of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on egg quality in old laying hens" 14 (14): 548-553, 2005

      21 M. Grashorn,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egg quality" 50 : 22-27, 2016

      22 Yu Chi Liu ; Ter Hsin Chen ; Ying Chen Wu ; Fa Jui Tan,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stripe-marked and cracked eggs during storage"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30 (30): 1013-1020, 2017

      23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Detailed standards for livestock product grading" Independently Published 29-, 2013

      24 B. Narin, "Crack on eggshell detection system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 1-6, 2018

      25 Science of Cooking, "Anatomy of a Chicken Eg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