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Chnages in Family and Directions of Family Welfare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0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Healthy Family Act' in relation to curren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suggested a preliminary discussion on future directions of Korean family welfare policy by comparison to Western experiences. The paper examined the crisis...

      This paper examined 'Healthy Family Act' in relation to curren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suggested a preliminary discussion on future directions of Korean family welfare policy by comparison to Western experiences. The paper examined the crisis of the family discourse in relation to changes in Korean family structures and western family discussions which forms the basis of the Korean Family Act, and pointed out major discrepancies of Healthy Family Act and the crisis of the family discourse. The crisis of the family discourse masks the reality of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therefore the Healthy Family Act which rests upon the discourse has its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the reality. Future directions of Korean family policy should go beyond the Healthy Family Act to acknowledge diverse aspects of families. First, family policies that address both socialization of reproductive labor as well as active labor market is essential. Second, family policies should consider the contradiction between individual (women's) interst and families' interest. Third, family policies should respond to the difference. Lastly, family policies should address the roles of family policies in process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welfare st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가족의 변화에 대한 건강가정기본법의 인식과 대응방식을 서구사회의 경험과 대비를 통해 검토함으로써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수행 했다. 먼저 건강...

      본 논문은 가족의 변화에 대한 건강가정기본법의 인식과 대응방식을 서구사회의 경험과 대비를 통해 검토함으로써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수행 했다. 먼저 건강가정기본법과 법의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는 ‘가족의 위기’ 담론을 한국 가족의 변화 모습과 서구의 경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건강가정기본법과 ‘위기’ 담론의 주요한 모순점에 대해 지적했다. ‘위기’ 담론은 가족의 변화의 현실을 왜곡하고 있으며 위기 담론에 근거한 건강가정기본법은 가족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가족정책의 방향은 건강가정기본법을 넘어서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책대안이 무엇보다도 가족의 가치, 기능, 형태 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과 보편주의에 근거해야한다. 가족정책이 가족의 다양성과 보편주의에 근거한다면 다음 문제는 구체적 가족정책 내용의 원칙과 방향을 규정하는 것이다. 첫째, 서구의 대응을 되짚어 볼 때 재생산 노동의 사회화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이라는 직장과 가정의 양립정책 없이 당면한 저출산과 빈곤문제는 완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개별 시민으로서 여성과 집단으로서 가족의 이해의 모순을 어떻게 해소․완화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내와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외적으로는 가족정책을 둘러싼 한국가족과 구성원의 이해가 서구유럽 가족과 구성원의 이해와 일치하는가의 문제와 내적으로는 계급적․계층적 차이에 관계없이 한국가족의 이해가 보편적 틀로 포괄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답을 내오는 것이다. 끝으로 한국복지국가의 발전과정에서 가족정책이 가지는 지위와 역할을 규명해내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섭, "한국사회는 핵가족화하고 있는가 가족정책의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 39 : 191-195, 1993

      2 장미경,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문화과학사 1999

      3 라마자노글루, 캐롤린,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문예출판사 1997

      4 김성천, "참여정부 가족정책의 기본 구성요소의 분석과 발전방향 모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2) : 36-63, 2003

      5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 신분상승과 가부장제문화" 한울아카데미 2003

      6 여성부, "전국가족조사 통계표 및 해설자료" 여성부 2003

      7 인구고령사회대책팀,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 2004

      8 장지연, "저출산, 고령화 무엇이 문제인가?" 2003

      9 윤홍식, "저소득 모자가구에 대한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빈곤감소 효과" (16) : 131-172, 2003

      10 장혜경, "외국의 가족정책과 한국의 가족정책 및 전담부서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2

      1 장현섭, "한국사회는 핵가족화하고 있는가 가족정책의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 39 : 191-195, 1993

      2 장미경,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문화과학사 1999

      3 라마자노글루, 캐롤린,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문예출판사 1997

      4 김성천, "참여정부 가족정책의 기본 구성요소의 분석과 발전방향 모색"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2) : 36-63, 2003

      5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 신분상승과 가부장제문화" 한울아카데미 2003

      6 여성부, "전국가족조사 통계표 및 해설자료" 여성부 2003

      7 인구고령사회대책팀,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전략" 2004

      8 장지연, "저출산, 고령화 무엇이 문제인가?" 2003

      9 윤홍식, "저소득 모자가구에 대한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빈곤감소 효과" (16) : 131-172, 2003

      10 장혜경, "외국의 가족정책과 한국의 가족정책 및 전담부서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2

      11 금재호, "여성노동시장의 현상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1

      12 이미경, "신자유주의적 ‘반격’하에서 핵가족과 ‘가족의 위기’" 공감 1999

      13 액커, 존, "스웨덴의 여성, 가족, 공공정책. 복지국가와 여성정책" 새물결 231-251, 2000

      14 박병현, "빈곤의 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32) : 45-67, 1997

      15 김연명, "비정규 노동자의 사회복지 배제와 그 대책,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복지: 비정규 근조자의 사회적 보호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인간과 복지 391-424, 2003

      16 미야모토 타로, "복지국가 전략 스웨덴 모델의 정치경제학" 논형. 2003

      17 강이수, "변화하는 노동시장과 여성노동자 경제와 사회" (51) : 10-37, 2001

      18 푸코, 미셜, "담론의 질서"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19 조순경, "경제위기와 고용평등의 조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97-325, 2000

      20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이전의 역할" 56 (56): 5-28, 2004b

      21 정민자,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의 입법방향과 내용" 대한가정학회 41 (41): 163-177, 2003

      22 "건강가정기본법 제정경과, 쟁점, 한계에 대한 검토" 99-123, 2004a

      23 대한민국 국회, "건강가정기본법"

      24 김인숙, "가족지원기본법(안) 제정의 배경과 내용" 국회헌정기념관. 1-20, 2003

      25 양옥경, "가족의식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방향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13 (13): 29-55, 2001

      26 기틴스, 다이애너, "가족은 없다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 일신사 1997

      27 변화순, "가족과 결혼의 사회학" 1990[1987]

      28 Becker,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29 Weitzman, "The unexpected social and economic consequences for women and children in America" The Free Press tion : 1985

      30 U.S. Bureau of the Census, "The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1995" U.S. Department of Commerce, Economics and Statistics Administration 2003

      31 Gauthier, A, "The state and the family: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polici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2 Lino,M, "The economics of single parenthood: Pas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20 : 99-114, 1995

      33 Teachman, J. D.,, "The changing demography of America's families" 62 : 1234-1246, 2000

      34 Meisaari-Polsa, T, "Sweden: A cases of solidary and equality" Clarendon Press 302-347, 1997

      35 Hirdman, Y, "State policy and gender contracts: The Swedish experience" Routledge. 36-46, 1998

      36 Morissens, A, "Solo mothers and poverty: Do policies matter? A comparative case study of Sweden and Belgium" 1999

      37 OECD, "Society at a glance: Social indicators. www.oedc.org/els/social Parsons" The Free Press of Glencoe 2002

      38 Christopher, K, "Single motherhood, employment, or social assistance: Why are U.S. women poorer than women in other affluent nations?" Syracuse University (285) : 2001

      39 Drew, E, "Re-conceptualising families" Routledge. 11-26, 1998

      40 Vosler, N. R, "New approaches to family practice: Confronting economic stress" Sage Publications confronting eco (confronting eco): 1996

      41 Sleebos, J, "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ntu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s" 15 : 2003

      42 In Kamerman, "Government and families in fourteen count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819-48

      43 Sainsbury, "Gendering dimensions of welfare states" Sage publications 1994

      44 Harding, L, "Family, state, & social policy" Macmillan Press 1996

      45 Saraceno,C, "Family change, family policies and the restructuring of welfare" OECD (21) : 81-100, 1997

      46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Divorce rates in selected developed countries" 2002

      47 Brown, S, "Cohabitation versus marriage: A comparison of relationship quality" 58 : 668-678, 1996

      48 Garbarino, J, "A vision of family policy for the 21st century" 52 : 197-203, 1996

      49 Esping-Andersen, G., "A new gender contract: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68-95, 2002

      50 오치아이 에미코, "21세기 가족에게" 양서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2.02 2.30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