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션컬렉션 및 광고 메이크업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2000년대 스모키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Revealed in Fashion Collections and Advertisements -Focused on Smoky Make-up in 200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5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fashion makeup that has been becoming more and more influential in the fashion collection, which is a leading fashion trend, Among others, smoky makeup, which may be a representative style of Goth makeup appearing to satisfy the emotional needs of people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introduced to deliver experimental and strong impressions in various fashion collections beginning in the 2000s. As a makeup well-suited to the pursuit of diverse images in a revival style, smoky makeup has been used in many collections, cosmetics and clothing advertisements. Smoky makeup can express a variety of images including the masculine image, sexy female image, punk image, decadent image, and futuristic image.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smoky makeup may be classified as a style that emphasizes thick and clear eye lines, a style that underpins eye holes on which colors were spread up to the eye hole area, a style that stresses eyes which are colored wide crosswise, a style that accentuates the entire eye area, and a style that puts emphasis on the underlines of the eyes.
      번역하기

      It is fashion makeup that has been becoming more and more influential in the fashion collection, which is a leading fashion trend, Among others, smoky makeup, which may be a representative style of Goth makeup appearing to satisfy the emotional needs ...

      It is fashion makeup that has been becoming more and more influential in the fashion collection, which is a leading fashion trend, Among others, smoky makeup, which may be a representative style of Goth makeup appearing to satisfy the emotional needs of people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introduced to deliver experimental and strong impressions in various fashion collections beginning in the 2000s. As a makeup well-suited to the pursuit of diverse images in a revival style, smoky makeup has been used in many collections, cosmetics and clothing advertisements. Smoky makeup can express a variety of images including the masculine image, sexy female image, punk image, decadent image, and futuristic image.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smoky makeup may be classified as a style that emphasizes thick and clear eye lines, a style that underpins eye holes on which colors were spread up to the eye hole area, a style that stresses eyes which are colored wide crosswise, a style that accentuates the entire eye area, and a style that puts emphasis on the underlines of the ey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안화, "현대패션쇼의 대중문화적 특성:1990년대중반이후 기성복컬렉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2 양진희,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2001

      3 장미숙,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드 경향에 관한 연구: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1999

      4 공차숙, "하위문화에 나타난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분석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2

      5 이승주, "패션쇼에 나타난 메이크업 트렌드 이미지에관한 연구:2001~2005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6 김지영, "패션쇼 Scenografia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2002~2006국제 4대 컬렉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 2006

      7 이윤정, "크리스찬 디올 패션과 광고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8 나수임, "의류광고의 기호학적 분석(1): 클래식이미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디자인연구소 4 (4): 82-, 1996

      9 최은지, "아방가르드 패션을 위한 메이크업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99

      10 Jarnow, Jeannette A, "복식산업론" 경춘사 1991

      11 한보라, "메이크업에 나타난 고스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2002~2006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7

      12 "네이버 이미지 검색"

      13 "www.style.com"

      14 "www.clio.co.kr"

      15 "www.Givancy.com"

      16 "vogue korea"

      17 "L’official korea"

      18 "HAIR GRAPH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3-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Korean Beauty Society ->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7 0.63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