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과 군산시의 지원을 받아 군산대학교와 지역학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진행해 온 ‘시민인문강좌’ 사업은 지난 2년간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3453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연구재단과 군산시의 지원을 받아 군산대학교와 지역학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진행해 온 ‘시민인문강좌’ 사업은 지난 2년간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미...
한국연구재단과 군산시의 지원을 받아 군산대학교와 지역학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진행해 온 ‘시민인문강좌’ 사업은 지난 2년간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미루어 보건대, 이러한 시민들의 참여의지는 이 사업의 유의미성과 지속성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되기에 모자라지 않다는 판단을 내릴 충분한 근거가 되어주었다. 지난 2년은 군산의 역사를 중심에 두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고찰하는 가운데 현재의 군산을 낳은 기원을 탐색하는 여정이었다. 그 과정에서 군산이 ‘일본이 만든 도시’라는 역사적 오해를 해소하는 한편 군산시민들이 지역공동체를 아끼고 사랑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연구자들의 고뇌가 놓여 있었다. 자신이 살아왔으며 살고 있는 곳의 과거와 현재를 확인하고자하는 여정이었던 것이다.
이제 필요한 것은, 그리고 남은 과제는 어떻게 미래를 열어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데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시민인문강좌’가 할 수 있는 역할이란 너무도 분명하다. 시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것, 그리고 이곳을 육체적ㆍ정신적 고향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꿈을 꾸게 하는 일이다. 지역학의 시작은 지역을 사랑하는 데서부터 비롯하며 그러한 관심은 그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역학이야말로 세계화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항구가 있고, 공항이 있고 새만금이 있는 군산은 세계화의 초석이 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지역학은 한 지역의 국제적인 도약에 그치지 않고 국가적인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다. 바로, 그 시작을 군산이, 군산의 지역학이, ‘시민인문강좌’가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시민인문강좌’의 주제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과 ‘문화콘텐츠’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이 군산이 그려가야 할 꿈이라면 ‘문화콘텐츠’는 방법론이다. 지역이 지닌 장점을 특성화하여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한 지역의 세계화를 이끌기 위해서 시민이 주축이 되어 그 지역의 문화콘텐츠를 이끌어가자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군산의 과거를 기억하고 현실을 직시하며 미래의 지평을 열어가기 위한 시민의 꿈이 ‘시민인문강좌’에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사업팀에서는 앞서 제기한 두 주제를 ① ‘군산학과 문화콘텐츠’와 ② ‘시민과 함께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으로 구체화했다. 따라서, 강의내용과 강사진도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구성했다. 그동안은 강의의 내용이 군산의 역사에 무게를 두고 진행되었다면 이번에는 역사, 정치, 경제만이 아니라 문학, 예술, 문화콘텐츠 등이 두루 고려되어 강의내용과 강사진이 구성되었다. 실제적인 강의의 진행은 ①과 ②의 섹션별로 각각 두 개의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총 4개의 강좌가 마련되었다.
이번 사업이 진행되는 지자체 산하 평생학습관과 기타 각급 도서관은 지역주민들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곳으로 강좌의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면서도 전문성과 대중성이 두루 고려된 군산학 및 인문학강좌가 ‘찾아가는 서비스’로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본 강좌는 시민인문강좌지원 사업의 목적과 부합한다. 구체적인 강의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군산학 강좌1 - 군산학과 문화콘텐츠(입문반) : ① 군산, 왜 알아야 하는가? ② 문화유산으로 본 군산의 역사이야기 ③ 군산은 어떻게 변화하고 어떻게 발전하였을까? ④ 지명유래와 함께하는 군산이야기 ⑤ 군산의 옛날이야기-전설, 설화를 중심으로 ⑥ 시민과 함께하는 현장 탐방학습 ⑦ 사진으로 보는 군산의 삶과 풍경 ⑧ 군산 소설문단의 역사적 계보 ⑨ 문학으로 본 군산
2) 군산학 강좌2 - 군산학과 문화콘텐츠(심화반) : ① 개항 이후 군산 사람들의 발자취 ② 근대 건축문화유산으로 살펴 본 군산의 모습 ③ 군산 제과 제빵의 역사적 계보 ④ 군산의 극장과 공연문화 ⑤ 시민과 함께하는 문학기행 ⑥ 군산 시문단의 역사적 계보 ⑦ 군산을 빛낸 시인들(1) : 고은 ⑧ 군산의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 ⑨ 한국 영화에 비친 군산의 모습
3) 인문학 강좌1 - 시민과 함께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 ① 환경운동이란? ② 판소리에 빠지다, 판소리의 아름다움 ③ 전북 지역의 방언과 문화 ④ 효과적인 영어 조기 교육 ⑤ 언어와 뇌, 그리고 마음 ⑥ 연극아카데미 ⑦ 문학아카데미
4) 인문학 강좌 2 - 이공계 청소년과 함께하는 인문학 강좌 : ① 역사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② 문학고전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③ 나를 찾아가는 문학 여행 ④ 나의 이야기 쓰기와 말하기 ⑤ 행복한 시 읽기 ⑥ 청소년의 불안과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