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소송은 공동소송인 사이에 합일확정의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공동소송인사이에 합일확정이 요구되어 상반된 판결이 내려질 수 없는 필수적 공동소송과 공동소송인 사이에 상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공동소송은 공동소송인 사이에 합일확정의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공동소송인사이에 합일확정이 요구되어 상반된 판결이 내려질 수 없는 필수적 공동소송과 공동소송인 사이에 상반...
공동소송은 공동소송인 사이에 합일확정의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공동소송인사이에 합일확정이 요구되어 상반된 판결이 내려질 수 없는 필수적 공동소송과 공동소송인 사이에 상반된 판결이 내려질 수 있는 통상의 공동소송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토지의 소유자라고 주장하는 원고가 그 토지를 분할하여 점유하고 있는 2명의 공동피고를 상대로 토지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하는 경우 피고들의 소송관계는 통상의 공동소송이다. 제1심과 제2심의 수소법원이 원고의 토지 소유권과 피고들의 무단점유를 인정하여 원고 전부승소판결을 하고, 이에 대하여 피고 중 한 사람만상고를 제기하고 다른 피고는 제2심 판결을 받아들이고 상고를 제기하지 않았는데, 상고심에서 원고의 토지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파기환송판결을 하고 환송후 항소심에서 해당 피고에 대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그 판결이 확정된 경우, 제1 심 및 제2심에서 공동소송인이었던 피고들 사이에 상반된 확정판결이 존재하고 이는유효하다.
그런데 상고를 포기하여 패소확정된 위 피고에 대한 확정판결은 원고의 토지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인정한 실체법상 부당한 판결임은 분명하다. 특히, 위 피고의 경우에는 법원의 판결을 존중하고 상고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점,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로부터 다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받게 된다는 점에서 법적으로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에서 통상공동소송인으로서 다른 공동소송인과 상반된 판결을 받고 그 판결의 결과가 실체법에 반하여 부당한 판결이라고 인정되는 경우, 그 피고를 구제할 수 있는 법리를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먼저 부당판결이 당연무효인지 문제될 수 있으나, 변론을 거쳐 확정된 판결은 그 내용이 실체법에 반하는 부당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상소나 재심에 의하여 취소되지 않는한 무효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민사소송법의 기본법리인바, 공동소송인 사이에 상반된부당판결의 유효성에 관한 법리적 근거 및 그 예방책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부당판결을 받은 피고를 구제하기 위하여 재심에 의하여 그 판결의 취소를 구할수 있는지, 부당판결의 집행력의 배제를 청구이의의 소로써 구할 수 있는지 등 절차법상 구제방법에 관하여 검토하고, 실체법상으로도 그 피고가 원고를 상대로 불법행위에기한 손해배상청구 또는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itigation is classified into ordinary co-litigation in which conflicting judgment between co-litigants can be and indispensable co-litigation in which conflicting judgment between co-litigants cannot be, categorized according by whether the object...
Co-litigation is classified into ordinary co-litigation in which conflicting judgment between co-litigants can be and indispensable co-litigation in which conflicting judgment between co-litigants cannot be, categorized according by whether the objects of a lawsuit are to be unitedly decided on all co-litigant or not.
For example, when a plaintiff asserting land ownership claims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of rent fee against two co-defendants who partitively possess the land, the litigation relationship between co-defendants is ordinary co-litigation. If courts which had accepted a lawsuit at the first trial and the second trial decided in favor of the plaintiff recognizing the plaintiff's land ownership and defendants' possession without permission, and only one of defendants appealed while the other does not, accepting the judgment, and the trial on the appeal remanded after reversal for a reason why it could not recognize the plaintiff's land ownership and the court to which the case has been remanded dismissed the plaintiff's claim and it was confirmed, there are two valid judgment conflicting each other between two defendants who were co-litigants at the first and second trial.
However, the confirmed judgment to the defendant who renounced right to appeal is clearly unreasonable, as it recognizes the plaintiff's compensation for unjust enrichment notwithstanding denying the plaintiff's land ownership. Specifically, regarding that he did not appeal respecting the court's judgment, that he can encounter another lawsuit from the genuine land owner claiming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t is required to protect the defendant by the law.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legal principles to relieve him, like in case that one of ordinary co-litigants receives a judgment conflicting the other litigant and considered unjus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unjust judgment is invalid or not.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ivil Procedure Act, confirmed judgment after arguments is still valid even if it is unjust violating the substantial law, without withdrawal by an appeal or a retrial. Therefore, legal basis on validity and precautions of unjust judgment conflicting between co-litigants is to be reviewed.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s the remedies in procedure laws about whether the judgment can be withdrew by the retrial to relief the defendant, whether the defendant can claim opposing execution to exclusive the executive force of the unjust judgment. Further-more, it reviews whether the defendant is able to claim the compensation for torts or unjust enrichment against the plaintiff in substantial law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일, "확정판결의 편취와 부정이용에 대한 청구이의에 의한 구제론비판" 한국사법행정학회 Ⅴ : 2002
2 최세모, "확정판결의 집행과 불법행위의 성립" 법원도서관 (19) : 1992
3 이재환, "확정판결의 집행과 부당이득반환청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와의 관계" 법원도서관 (24) : 1995
4 이공현, "확정판결의 부당취득과 청구이의" 민사판례연구회 7 : 1985
5 황형모, "확정판결의 부당집행에 대한 구제수단" 부산판례연구회 8 : 1988
6 지원림, "확정판결에 기한 강제집행과 불법행위" 박영사 16 : 1994
7 김병하, "편취판결의 구제책" 대한민사법학회 (창간) : 1991
8 강현중, "편취판결의 구제방법에 관한 고찰" 법원도서관 20 : 1989
9 장석조, "판결의 편취와 절차적 기본권" 법조협회 46 (46): 1997
10 권혁재, "판결의 집행에 있어서 권리남용 법리의 적용요건" 대한변호사협회 (431) : 75-98, 2013
1 김상일, "확정판결의 편취와 부정이용에 대한 청구이의에 의한 구제론비판" 한국사법행정학회 Ⅴ : 2002
2 최세모, "확정판결의 집행과 불법행위의 성립" 법원도서관 (19) : 1992
3 이재환, "확정판결의 집행과 부당이득반환청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와의 관계" 법원도서관 (24) : 1995
4 이공현, "확정판결의 부당취득과 청구이의" 민사판례연구회 7 : 1985
5 황형모, "확정판결의 부당집행에 대한 구제수단" 부산판례연구회 8 : 1988
6 지원림, "확정판결에 기한 강제집행과 불법행위" 박영사 16 : 1994
7 김병하, "편취판결의 구제책" 대한민사법학회 (창간) : 1991
8 강현중, "편취판결의 구제방법에 관한 고찰" 법원도서관 20 : 1989
9 장석조, "판결의 편취와 절차적 기본권" 법조협회 46 (46): 1997
10 권혁재, "판결의 집행에 있어서 권리남용 법리의 적용요건" 대한변호사협회 (431) : 75-98, 2013
11 이재성, "판결의 부당집행과 청구이의" 한국사법행정학회 (288) : 1984
12 조수현, "통상의 공동소송에서의 주장공통의 원칙" 법원도서관 (21) : 1994
13 최성호, "통상공동소송인의 변론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31) : 137-164, 2010
14 민일영, "청구이의의 소에 관한 실무상 문제점" 법원도서관 35 : 1987
15 곽윤직, "채권각론" 박영사 2007
16 장석조, "집행절차에 있어서의 채무자 보호" 법원도서관 71 : 1996
17 김상원, "주석 신민사소송법(Ⅶ)" 한국사법행정학회 2004
18 오시영, "재심의 소의 재심사유와 소송물에 대한 검토" 서울지방변호사회 34 : 2004
19 김도형, "실체적 권리관계에 반하는 확정판결의 집행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불법행위의 성립 및 청구이의의 소를 중심으로-" 대전지방법원 7 : 2006
20 이시윤, "신민사집행법" 박영사 2014
21 강현중, "신민사소송법강의" 박영사 2015
22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6
23 나천수, "불법집행으로 인한 배상책임" 법원도서관 35 : 1987
24 권혁재, "부당판결의 집행에 대한 청구이의의 소" 한국사법행정학회 1 : 2005
25 최두진, "부당판결의 집행에 대한 구제방법" 한국민사법학회 (38) : 647-681, 2007
26 김재환, "부당판결의 집행에 대한 구제방법" 충북법률실무연구회 1 : 2000
27 홍기문, "민사재판의 제문제(하)(송천 이시윤 박사 화갑 기념논문집)" 1995
28 강현중, "민사재판의 제문제(하)(송천 이시윤 박사 화갑 기념논문집)" 1995
29 이재성, "민사재판의 이론과 실제 제3권" 법조문화사 1978
30 정동윤, "민사소송법 제4판" 법문사 2014
31 김용진, "민사소송법" 피앤씨미디어 2016
32 김홍엽, "민사소송법" 주식회사 박영사 2014
33 호문혁, "민사소송법" 법문사 2014
34 홍기문, "민사소송법" 대명출판사 2014
35 송상현, "민사소송법" 박영사 2014
36 강봉수, "민사법의 제문제(온산 방순원 선생 고희 기념논문집)" 1984
37 김진기, "공동소송인간의 증거공통의 원칙" 법원도서관 25 : 1985
38 김상균, "공동소송에서 합일확정의 의미" 청주대학교학술연구소 4 : 2004
반려동물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의 인정 및 산정–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EU의 2016년 일반정보보호규칙(GDPR)의 제정과 그 시사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6-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
2009-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 ![]() |
2009-03-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75 | 0.805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