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 발전 교육을 위해 개발된 게임 ‘FUTURE WORLDS’을 30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활용하고, 게임 기반 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게임 플레이가 참여자의 지속 가능 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 발전 교육을 위해 개발된 게임 ‘FUTURE WORLDS’을 30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활용하고, 게임 기반 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게임 플레이가 참여자의 지속 가능 발...
이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 발전 교육을 위해 개발된 게임 ‘FUTURE WORLDS’을 30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활용하고, 게임 기반 학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게임 플레이가 참여자의 지속 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검사 도구 개발 시, 지속 가능 발전과 시스템사고의 밀접한 관련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사고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개념도(Concept Map)에 착안하였다. 지속 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 대부분 참여자는 게임에 등장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개념을 활용하여 단순한 인과관계 모델을 만들었다. t 검정과 인식 네트워크 분석(Epistemic Network Analysis: ENA) 방법을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는 게임 전에 비해 더 다양한 개념을 활용하여 답안을 제시하였으며, 일부 개념의 활용 횟수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사전 검사 시 참여자들의 지속 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은 환경적 측면에 제한된 경향이 있었으나, 게임 플레이 후 인류와 시스템이 공존할 수 있는 발전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연구결과는 FUTURE WORLDS의 참여자가 지속 가능 발전에 대한 균형적이고 통합적인 인식을 갖도록 촉진하는 교육 도구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초⋅중등 학생의 행동실천 우선순위 비교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활용 -
한국과 몽골의 과학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에너지와 기후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
새로운 시민교육 패러다임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 - 홀리스틱 교육을 중심으로 -
기후변화에 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식 수준 및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