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초등학교 1,2학년을 담당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 A Survey of the U se and Con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cused on Teacher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3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emphasized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curriculum is currently applied to all grad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full implications and apply them to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eachers employ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their instruction and how they perceived i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ad lack of understanding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y also did not use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discussion-based activities as expect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was reported by teachers as a main barrier to promote mathematical communication, but it did not make substantial differences in practice. Building on the results, this paper includ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emphasized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curriculum is currently applied to all grad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full i...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emphasized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curriculum is currently applied to all grad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full implications and apply them to instruc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eachers employ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their instruction and how they perceived i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ad lack of understanding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ey also did not use various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discussion-based activities as expect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 was reported by teachers as a main barrier to promote mathematical communication, but it did not make substantial differences in practice. Building on the results, this paper includ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호,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생들의 수업에의 몰입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2008 (2008): 41-52, 2008

      2 방정숙,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4 김상화,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와 성취요소 설정 - D.R.O.C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385-413, 2010

      5 조영준,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 (14): 681-700, 2010

      6 홍우주,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1 (11): 201-219, 2008

      7 이해영, "초등학교 5,6학년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송경화,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정확한 수학적 언어 사용 문화의 형성"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181-196, 2007

      9 안병곤,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161-178, 2011

      10 방정숙,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283-304, 2004

      1 김진호,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생들의 수업에의 몰입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2008 (2008): 41-52, 2008

      2 방정숙,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4 김상화,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와 성취요소 설정 - D.R.O.C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385-413, 2010

      5 조영준,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 (14): 681-700, 2010

      6 홍우주,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1 (11): 201-219, 2008

      7 이해영, "초등학교 5,6학년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송경화, "초등학교 4학년 교실에서 정확한 수학적 언어 사용 문화의 형성" 대한수학교육학회 9 (9): 181-196, 2007

      9 안병곤,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161-178, 2011

      10 방정숙,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283-304, 2004

      11 교육과학기술부, "수학 지도서 6-1" 두산동아(주) 2011

      12 신준식, "수학 수업에서 의사소통 분석:언어상호작용을 중심으로" 10 (10): 15-28, 2007

      13 김진호,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12 (12): 9-115, 2009

      14 정미진,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127-153, 2011

      15 김상화,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 (14): 523-545, 2010

      16 박미혜, "개정 교육과정의 실험 적용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 초등 1․2학년 탐구 활동과 이야기 마당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163-183, 2009

      17 Sfard,A, "There is mores to discourse than meets the ears: Looking at thinking as communicating to learn more about mathematical learning, In Learning discourse. discurs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Kluwer 13-57, 2003

      1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 "Mathematics assessment: Cases and discussion questions for grades K-5" Author 2001

      19 Hufferd-Ackles, K, "Describing levels and components of a math-talk learning community" 35 (35): 81-116, 2004

      20 Lerman, S, "Cultural, discursive psycholo- gy: A sociocultural approach to stud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Learning discourse. discurs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Kluwer 87-1113, 2003

      21 Cobb, P,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research" 31 (31): 175-190, 1996

      22 Chapin, S. H, "Classroom discussions: Using mathe- matics talk to help students learn" Math Solutions 2003

      23 박영숙, "2020년 위기와 기회의 미래 유엔미래보고서 2" 교보문고(주) 2009

      24 O'Connor,M.C, ""Can any fraction be turned into a decimal?" A case study of a mathematical group discussion, In Learning discourse discursive approaches to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Kluwer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5 1.28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