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재활원에서 운전인지평가(CPAD: Cognitive Percpetual Assessment for Driving)를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현재 운전실태를 조사하고 CPAD와 안전운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80343
2013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7-124(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재활원에서 운전인지평가(CPAD: Cognitive Percpetual Assessment for Driving)를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현재 운전실태를 조사하고 CPAD와 안전운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재활원에서 운전인지평가(CPAD: Cognitive Percpetual Assessment for Driving)를 받은 뇌졸중 환자들의 현재 운전실태를 조사하고 CPAD와 안전운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국립재활원에서 CPAD평가를 받은 뒤 전화인터뷰에 응한 48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자료를 통해 기본적인 정보와 CPAD점수, KMMSE점수 등을 취득하였으며 전화설문을 통해 운전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48명의 응답자 중 12명이 현재 운전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36명은 운전을 하지 않고 있었다. 운전을 하고 있는 사람의 CPAD 평균 점수는 하지 않는 사람의 CPAD 평균 점수에 비해 더 높았다(평균=54.13 vs 47.80, p<0.05). CPAD의 합격군이 불합격군보다 현재 운전을 하고 있을 확률이 더 높았다(OR=8.3, 95%CI=1.9331-35.558). 결론 : CPAD의 합격군에 속하는 사람이 불합격군에 속한 사람보다 현재 운전을 하고 있을 확률이 더 높았으며, 사고를 경험할 확률이 더 낮았다. 따라서 CPAD는 운전과 관련이 있는 시지각 및 기타 인지기능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actual driving state of the stroke patients who had assessed CPAD. Methods : We conducted a follow-up survey with 48 stroke patients who had assessed CPAD. First, we reviewed the medical chart and then carried out the telephone surv...
To investigate the actual driving state of the stroke patients who had assessed CPAD. Methods : We conducted a follow-up survey with 48 stroke patients who had assessed CPAD. First, we reviewed the medical chart and then carried out the telephone survey. Results : Of the 48 subjects, 12 were driving and 36 were not driving. Current drivers" CPAD score, it was 54.13, was higher than non-drivers" CPAD score(p<0.05). Those who passed the CPAD were driving more than who failed(OR=8.3, 95%CI=1.931-35.558). Conclusion : The pass group of CPAD have higher chance of driving than fail group and have lower chance of car accidence than fail group. Thus we can apply the CPAD for driving cognitive evaluation tes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0
2 최수원, "뇌손상 환자의 운전을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 도구의 적용-예비연구-" 대한재활의학회 32 (32): 273-279, 2008
3 장순자,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을 위한 인지지각 능력 평가도구" 대한재활의학회 30 (30): 128-134, 2006
4 이준욱,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을 위한 인지-지각능력 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운전자 인지행동검사'와의 비교" 대한재활의학회 28 (28): 523-531, 2004
5 신오수,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자동차운전훈련 프로그램 적용 결과분석" 24 (24): 2000
6 Ball, K., "Visual attention problems as a predictor of vehicle crashes in older drivers" 34 (34): 3110-3123, 1993
7 Bouillon, L., "Validity of the cognitive behavioral driver's inventory in predicting driving outcome" 60 (60): 420-427, 2006
8 Mazer, B. L., "Use of the UFOV to evaluate and retrain visual attention skills in cl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55 (55): 552-557, 2001
9 Dobbs, A. R,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ally based driving assessment and standardization procedures for evaluating medically at-risk drivers" 2005
10 Korner-Bitensky, N., "The DriveABLE Competence Screen as a predictor of on-road driving in a clinical sample" 56 (56): 200-205, 2009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0
2 최수원, "뇌손상 환자의 운전을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 도구의 적용-예비연구-" 대한재활의학회 32 (32): 273-279, 2008
3 장순자,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을 위한 인지지각 능력 평가도구" 대한재활의학회 30 (30): 128-134, 2006
4 이준욱,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을 위한 인지-지각능력 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운전자 인지행동검사'와의 비교" 대한재활의학회 28 (28): 523-531, 2004
5 신오수,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자동차운전훈련 프로그램 적용 결과분석" 24 (24): 2000
6 Ball, K., "Visual attention problems as a predictor of vehicle crashes in older drivers" 34 (34): 3110-3123, 1993
7 Bouillon, L., "Validity of the cognitive behavioral driver's inventory in predicting driving outcome" 60 (60): 420-427, 2006
8 Mazer, B. L., "Use of the UFOV to evaluate and retrain visual attention skills in cl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55 (55): 552-557, 2001
9 Dobbs, A. R,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ally based driving assessment and standardization procedures for evaluating medically at-risk drivers" 2005
10 Korner-Bitensky, N., "The DriveABLE Competence Screen as a predictor of on-road driving in a clinical sample" 56 (56): 200-205, 2009
11 Duncan, P. W, "Stroke disability" 74 (74): 399-407, 1994
12 Innes, C. R., "Sensory-motor and cognitive tests predict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disorders. [Research Support, Non-U.S. Gov't]" 260 (260): 188-198, 2007
13 Nouri, F. M., "Predicting driving performance after stroke. [Clinical Trial Comparative Stud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07 (307): 482-483, 1993
14 NZ Transport Agency, "Medical aspects of fitness to drive A guide for medical practitioners"
15 Sarti, C., "International trends in mortality from stroke, 1968 to 1994" 31 (31): 1588-1601, 2000
16 Driver and Vehicle Licensing Agency, "For Medical Practitioners At a glance Guide to the current Medical Standards of Fitness to Drive"
17 Schanke, A. K., "Driving behaviour after brain injury: a follow-up of accident rate and driving patterns 6-9 years post-injury. [Research Support, Non-U.S. Gov't]" 40 (40): 733-736, 2008
18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Determining Medical Fitness to Operate Motor Vehicles DMA Driver's Guide"
19 Akinwuntan, A. E., "Determinants of driving after stroke" 83 (83): 334-341, 2002
20 Kay, L. G., "Contribution of off-road tests to predicting on-road performance: A critical review of tests" 59 (59): 89-97, 2012
21 Engum, E. S., "Cognitive behavioral driver's inventory" 6 (6): 34-50, 1988
22 Austroads, "Assessing Fitness to Drive"
23 질병관리본부, "2011 국민건강통계" 2011
저주파 전기자극이 복부 중심근육 활성도 및 두께에 미치는 영향
로잉운동 시 상지 운동궤적에 따른 근육활성 전략에 관한 연구
횡축 4정점 체중부하 감소기법 이용한 하지 근력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6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