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 기업들이 녹색인증제도에서 인정하는 녹색기술을 공식적으로 개발하면서도 해당 기술을 실제로 활용하지 않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7766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기업들이 녹색인증제도에서 인정하는 녹색기술을 공식적으로 개발하면서도 해당 기술을 실제로 활용하지 않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
이 연구는 한국 기업들이 녹색인증제도에서 인정하는 녹색기술을 공식적으로 개발하면서도 해당 기술을 실제로 활용하지 않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기업조직이 특정기술을 채택 및 실행하는 현상에 대한 기존 이론들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접근법으로 대별된다. 첫째, 기술의 채택 및 실행에 대한 조직의 의사결정이 사회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는 조직이론적 관점에서는, 기술자체의 속성보다는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기술의 가시성, 특정 기술이 다른 기술과 비교 및 구분되는 인식의 기반을 제공하는 분류체계, 인증의 평가주체와 피평가자, 의사결정의 사회적 규준이 되는 다른 기업조직들의 행위 등 사회적 규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둘째, 기술 채택과 실행과 관련된 기능적 측면과 합리적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춘 산업조직 및 경영전략적 관점에서는, 기술 자체의 경제적 편익과 기술 특성, 조직내부의 개발 및 관리역량, 경쟁시장의 환경적 특징 등 기술적, 기능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분리 현상에 대한 여러 이론적 관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인증기술 개발과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체계적으로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즉, 제도화된 기술을 채택하여 개발하는 조직의 의사결정은 일반화된 사회적 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면, 기술의 실행에 관한 의사결정은 조직 고유의 특성화된 기능적 필요성에 달려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인증기술 개발 및 실질적 실행을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두 가지 요인들을 연구모형에 같이 포함시키고, 그 요인들이 채택 및 실질적 실행의 분리 정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 미치는 복합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술/조직/환경 등 분석수준에 따라 구분된 다층적 인과모형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녹색기술을 개발하고 인증을 받는 행위가 사회적 유인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이미 인증을 받은 기술을 실제로 활용할 것인지 여부는 해당 기술의 경제적 편익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한 녹색기술을 이용하여 지적재산권, 소유권, 실시권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경우와, 유사 경쟁기술들이 이미 존재하여 제품화 또는 사업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익이 적은 경우에 기업들이 인증받은 녹색기술을 실행하는 정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조직수준 및 환경수준의 분석도 이와 유사한 예측이 가능하다. 즉, 외부에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인증 자체는 기업 또는 조직환경의 사회 맥락적 특징에 의해 설명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인증받은 기술의 실질적 활용은 기업 내부의 역량 또는 경쟁환경 등 기능적 특징에 의해 설명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의 자료는 녹색인증의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하 녹색인증 사무국에서 발행하는 녹색기술인증, 녹색기술제품확인, 녹색사업인증, 녹색전문기업확인 현황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 자료로부터 본 연구에 사용될 대부분의 변수들에 관한 패널 분석자료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실증분석에 포함되는 분석대상은 녹색기술을 개발하여 인증을 받은 기업들로서, 이들은 녹색기술을 이용한 제품개발, 사업시행, 매출획득 등 세 가지 실질적 실행의 측면에서 상당한 변이를 보이고 있다. 이 기업들이 개발한 녹색기술이 실질적으로 활용되는 시장은 기술의 상품화 및 사업화가 일어나는 시장의 분류와 동일하며, 이는 기술 분류체계상 85개 분야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85개 분야를 분석단위로 하고, 녹색인증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해당 기술을 활용한 기업의 수가 각 분야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이가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따라서 종속변수는 각 분야에서 녹색인증기술을 실행에 옮긴 기업의 수이며, 이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패널자료를 이용해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