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포스트아방가르드 연극의 대표적인 연출가 카스텔루치의 공연 구성 방식과 미학에 대한 논의를 의도한다. 특히 관객의 각성을 촉발하는 그의 공연 구성 방법론에 논의의 초점을 맞...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20681
최영주 (청주대학교)
2024
Korean
지각 ; 드라마투르기 ; 로메오 카스텔루치 ; 몸 ; 관객 ; perception ; dramaturgy ; Romeo Castellucci ; body ; spectator
KCI등재
학술저널
221-25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포스트아방가르드 연극의 대표적인 연출가 카스텔루치의 공연 구성 방식과 미학에 대한 논의를 의도한다. 특히 관객의 각성을 촉발하는 그의 공연 구성 방법론에 논의의 초점을 맞...
본고는 포스트아방가르드 연극의 대표적인 연출가 카스텔루치의 공연 구성 방식과 미학에 대한 논의를 의도한다. 특히 관객의 각성을 촉발하는 그의 공연 구성 방법론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이 맥락에서 그의 드라마투르기 방식이 아이디어 찾기와 구상하기, 상연 텍스트 구성하기, 관객 소통 방식의 세 겹의 구성 단위를 명확하게 인식하며 실행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한다. 특히 배우의 몸은 위기의 상황 속에서 관객의 응시를 불편하게 도발하며 문제적 상황을 항변한다. 그의 공연에서 배우의 몸은 다중의 공연 요소를 연계하는 주체로 카스텔루치는 몸을 중심으로 지각을 구성하는 것을 핵심적인 연출 전략으로 삼고 있다. 본고는 그와 같은 공연 구성 방식을 지각 드라마투르기로 조명한다. 지각 드라마투르기란 공연의 내용이나 의도와 함께 무대의 현존 경험을 증대시켜 의미를 발화시키는 공연 전략과 맥을 같이 한다. 이를 기반으로 2013년 국내에 소개된 <신의 아들을 바라보는 얼굴의 컨셉에 대하여>에서 활성화된 지각 드라마투르기의 방식을 탐색한다. 특히 미장센의 초점이 되는 지각 주체로서 배우의 몸이 담론 구성에 참여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또한 관객의 관심사에 따른 지각 반응의 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공연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에는 지각 대상에 대한 경험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Romeo Castellucci's perceptual dramaturgy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composition metho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Body as a perceptual subject. Activating perceptual dramaturgy would re-route communication ...
This study explores Romeo Castellucci's perceptual dramaturgy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composition metho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Body as a perceptual subject. Activating perceptual dramaturgy would re-route communication as an experience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As a director of Societas Raffaello Sanzio, he started his artistic career with performance art and transferred it to the theatre stage. Here, he constructed meaning by activ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ace and the performer's body and between the stage and the spectator without words or minimizing them. In this dramaturgical method, he induces the audience to "gaze" and share the experience perceived through the body in the pre-expressive stage before language. He intended to show rather than talking the situation and set up a situation for them to contact the world. Notably, an audience's perception evoked by the actor’s body directs to the critique of the human condition.
With the theoretical basi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nalyzes his On the Concept of the Face, Regarding the Son of God, which he introduced to the Korean audience in 2013.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two different ways the audiences responded to the performance. One showed enthusiastic praise, while the others showed complex responses to their religious identity. Two kinds of spectator’s responses proves the interventions that resulted in a specific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m. The religious audiences focused on Jesus’ portrait in the mise-en-scene and closed the possibility of reading it as a sign. The others momentarily experienced the situation of the perceptual blank and connected the components. In this process, ideas and perceptions developed into intuitional imagination and esteemed him as a visionary director.
협업과 미장센, 연극(Theatre) 양식으로서의 뮤지컬 -연출가 박소영의 뮤지컬을 중심으로
일제 말기 국민연극의 무대 연구 : 국민연극경연대회 참가작을 중심으로
말과 고현학* : 성기웅의 연극연출 연구(2004~2023)
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몸, 숨, 맘 요가 (YBBM : Yoga for Body, Breath and Mind)
K-MOOC 춘해보건대학교 곽미자, 이수진, 오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