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AI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뉴스기사와 트위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using Big Data: Based on News articles and Twit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2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ublic needs for AI education actively promoted and suppor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In doing so, 11 metropolitan news articles and Twitter posts regarding AI education that have been posted from Jan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ublic needs for AI education actively promoted and suppor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In doing so, 11 metropolitan news articles and Twitter posts regarding AI education that have been posted from January 1, 2018 to December 31, 2019 were collected. Then, word frequency analysis using TF(Term Frequency) method and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method of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he topics of the news articles turn out to be a macroscopic policy support such as ‘training female manpower in the AI field’ and ‘curriculum reform of university and K-12’, whereas the topics of twitter delineate more detailed social perception on future society, such as future competencies and pedagogical methods, including ‘coexistence with intelligent robots’, ‘coding education’, and ‘humane education competence development’.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AI curriculum as well as the basic framework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future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ㆍ지원하는 AI교육에 관한 대중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까지 AI교육에 대한 11개의 중앙지 뉴스...

      본 연구는 현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ㆍ지원하는 AI교육에 관한 대중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까지 AI교육에 대한 11개의 중앙지 뉴스기사와 트위터 게시글을 수집하여 단어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어빈도 분석은 TF(Term Frequency)기법을, 토픽모델링분석은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뉴스기사는 AI분야의 여성인재 육성, 대학교육과정의 변화, K-12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교육과정 변화 등 거시적인 정책 지원에 대한 토픽이, 트위터에서는 지능형로봇과의 공존시대와 같은 보다 구체적인 미래시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코딩교육, 인간의 고유역량개발 등과 같은 미래역량과 교육방법론 등에 대한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I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안과 미래 산업 인재 양성 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갑수,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37-147, 2017

      2 김진수, "초등과정 인공지능 학습 원리 이해를 위한 보드게임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교육 실증"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229-235, 2019

      3 류미영,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317-324, 2018

      4 김양은, "지능형 로봇과의 공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35-45, 2019

      5 송선영, "인간과 인공지능형 로봇 간의 관계에서 도덕과 인성교육 과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91-115, 2019

      6 김자미,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59-69, 2014

      7 유정아,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의 방향탐색: IPA를 활용하여"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675-687, 2019

      8 이은경, "국내외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과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37-44, 2020

      9 최현도, "과학기술이슈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원자력발전 사례" 기술경영경제학회 23 (23): 151-176, 2015

      10 신세인, "고등학생들의 인공지능(AI)에 대한 개념인식과 정서 구조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9-312, 2017

      1 김갑수,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137-147, 2017

      2 김진수, "초등과정 인공지능 학습 원리 이해를 위한 보드게임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교육 실증"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229-235, 2019

      3 류미영,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317-324, 2018

      4 김양은, "지능형 로봇과의 공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35-45, 2019

      5 송선영, "인간과 인공지능형 로봇 간의 관계에서 도덕과 인성교육 과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91-115, 2019

      6 김자미,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59-69, 2014

      7 유정아, "대학원 인공지능교육의 방향탐색: IPA를 활용하여"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675-687, 2019

      8 이은경, "국내외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과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37-44, 2020

      9 최현도, "과학기술이슈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원자력발전 사례" 기술경영경제학회 23 (23): 151-176, 2015

      10 신세인, "고등학생들의 인공지능(AI)에 대한 개념인식과 정서 구조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9-312, 2017

      11 H. S. Bae., "Theory-drive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Wonmisa 2008

      12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The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ic Plan" NSTC 2016

      13 G. Salton, "Term-weighting approaches in automatic text retrieval" 24 (24): 513-523, 1988

      14 MoE., "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cs Curriculum" MoE 2015

      15 Head, B, "Strengthening Evidence Based Policy in the Australian Federation , Volume 1: Proceedings, Roundtable Proceedings, Productivity Commission" 13-26, 2010

      16 C. Jacobi, "Quantitative analysis of large amounts of journalistic texts using topic modelling" 4 (4): 89-106, 2016

      17 Blei, D. M., "Probabilistic topic models" 55 (55): 77-84, 2012

      18 Do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Framework For Key Stages 1 to 4" DoE 2014

      19 "KoNLPy(Korean NLP in Python)"

      20 ACAR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ility learning continuum" ACARA 2008

      21 Griffiths, T. L., "Finding scientific topics" 101 (101): 5228-5235, 2004

      22 M. Röder, "Exploring the space of topic coherence measures" ACM 399-408, 2015

      23 S. Baek, "Educational Evaluation of Knowledge-Convergence Era in 21st Century" 69-74, 2009

      24 CBSE, "Department of Skill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for class VIII(Inspire module)" CBSE 2019

      25 CSTA.,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STA 2017

      26 C. Adrian, "Big data analytics implementation for value discover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93 (93): 385-393, 2016

      27 OECD.,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ety" OECD 2019

      28 K. Kwon, "Agenda Development Using Education Big Data : Focusing on Social Network Analysis" KERIS 2014

      29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 leader in AI beyond a leader in IT" MSIC 2019

      30 W. Kim,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Educational Information Policy : Focusing on an application of Social Media Data" KERIS 2015

      31 U. C. Jeon.,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Each Country" 18 (18): 1-, 2017

      32 김자미, "2022년 개정을 위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 제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3 (23): 1-28, 2020

      33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9 AI Convergence Education Policy Data Collec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