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항복선해석 전용한계 = Application limit of Yield Line Analysis on 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HS Se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0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지관에 압축력을 받는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용접접합부의항복선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 중 냉간성형 정방형 각형강관 T형 용접 접합부만을 포함하는 실험결과와 Kato, Packer, Zhao, CIDECT 및 본 연구진들의 제안식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항복선 모델의 적용한계치를 제안하기 위하여, 항복선 해석에 기초하여 이전 논문에서 제안된 항복선모델을 재검토하였다. 제안된 항복선 모델은 냉간성형 각형강관 곡률부와 용접크기를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상의 실체 파괴모드와 해석상의 비교결과를 참조하여, 항복선 해석의 적용범위를 ${\beta}^{\prime}{\leq}0.8$로 제안하였다. 여기서, ${\beta}^{\prime}=0.8$, ${\beta}^{\prime}=b_1^{\prime}/b_0^{\prime}$, $b_1{^{\prime}}=b_1+t_0$, $b_0{^{\prime}}=b_0-t_0$.
      번역하기

      본 논문은 지관에 압축력을 받는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용접접합부의항복선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 중 냉간성형 정방형 각형강관 T형 용접 접합부만을 포함하는 실험결과와 Kato, ...

      본 논문은 지관에 압축력을 받는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용접접합부의항복선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 중 냉간성형 정방형 각형강관 T형 용접 접합부만을 포함하는 실험결과와 Kato, Packer, Zhao, CIDECT 및 본 연구진들의 제안식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항복선 모델의 적용한계치를 제안하기 위하여, 항복선 해석에 기초하여 이전 논문에서 제안된 항복선모델을 재검토하였다. 제안된 항복선 모델은 냉간성형 각형강관 곡률부와 용접크기를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상의 실체 파괴모드와 해석상의 비교결과를 참조하여, 항복선 해석의 적용범위를 ${\beta}^{\prime}{\leq}0.8$로 제안하였다. 여기서, ${\beta}^{\prime}=0.8$, ${\beta}^{\prime}=b_1^{\prime}/b_0^{\prime}$, $b_1{^{\prime}}=b_1+t_0$, $b_0{^{\prime}}=b_0-t_0$.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performs a yield line analysis of 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SHS) with the branch in axial compression. The existing yield line models proposed by Koto, Packer, Zhao, and CIDECT and the proposed yield line model of the previous study are compared, using the existing test results of 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HS. The yield line model suggested in the previous paper, which is based on the simplified yield line analysis, is reviewed to evaluate its application limit on cold-formed SHS T-joints. In the proposed model, the round corner of the cold-formed SHS section and weld size are taken into account. Finally, the validity range of yield line analysis is determined by observing the actual failure modes and comparing the test value with the analysis value, set as ${\beta}^{\prime}{\leq}0.8$ where ${\beta}^{\prime}=0.8$, ${\beta}^{\prime}=b_1^{\prime}/b_0^{\prime}$, $b_1{^{\prime}}=b_1+t_0$ and $b_0{^{\prime}}=b_0-t_0$.
      번역하기

      This study performs a yield line analysis of 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SHS) with the branch in axial compression. The existing yield line models proposed by Koto, Packer, Zhao, and CIDECT and the proposed yield line model ...

      This study performs a yield line analysis of 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SHS) with the branch in axial compression. The existing yield line models proposed by Koto, Packer, Zhao, and CIDECT and the proposed yield line model of the previous study are compared, using the existing test results of 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HS. The yield line model suggested in the previous paper, which is based on the simplified yield line analysis, is reviewed to evaluate its application limit on cold-formed SHS T-joints. In the proposed model, the round corner of the cold-formed SHS section and weld size are taken into account. Finally, the validity range of yield line analysis is determined by observing the actual failure modes and comparing the test value with the analysis value, set as ${\beta}^{\prime}{\leq}0.8$ where ${\beta}^{\prime}=0.8$, ${\beta}^{\prime}=b_1^{\prime}/b_0^{\prime}$, $b_1{^{\prime}}=b_1+t_0$ and $b_0{^{\prime}}=b_0-t_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