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석 객석의자 등의 흡음특성 시 활용될 수 있는 표준더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착의량에 따른 인체의 흡음특성을 잔향실법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방법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22080
김용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이성찬 (영산대학교) ; Kim, Yong-Hee ; Lee, Sung-Chan
2017
Korean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254-260(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석 객석의자 등의 흡음특성 시 활용될 수 있는 표준더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착의량에 따른 인체의 흡음특성을 잔향실법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방법은 ...
본 연구는 만석 객석의자 등의 흡음특성 시 활용될 수 있는 표준더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착의량에 따른 인체의 흡음특성을 잔향실법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방법은 기존 연구(Conti et al., 2004)에 따라 잔향실 중앙에 1인의 피험자가 서 있는 조건에서, 다양한 소재의 의복착용에 따른 주파수 대역별 흡음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겉옷을 제외한 상하의를 착용하였을 때 전주파수대역 평균 흡음면적은 피험자에 따라 $0.25m^2-0.48m^2$의 분포를 보였고, 외투 착용에 따라 $0.38m^2-0.98m^2$의 분포를 보였다. 섬유소재에 따라 폴리에스터 류의 겉옷은 800 Hz - 1 kHz 대역에서 피크 특성을 보였고, 모나 면 소재의 겉옷은 고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흡음면적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착의량에 따른 흡음면적의 변화는 착용한 의복의 열저항(clo)과 체표면적당 무게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려, "실내장식용 섬유소재의 흡음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20 (20): 475-484, 2012
2 U. Kath, "The influence of clothes on the sound absorption of single persons" 17 : 234-237, 1966
3 S. G. Conti, "Measurement of the scattering and absorption cross sections of the human body" 84 : 819-821, 2004
4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in a Reverberation Room"
5 F. Martellotta, "Laboratory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of occupied pews and standing audiences" 72 : 341-349, 2011
6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Estimation of Thermal Insulation and Water Vapour Resistance of a Clothing Ensemble"
7 M. Barron, "Auditoriumn Acoustics and Architectural Design" Spon Press 32-34, 2010
8 L. L. Beranek, "Audience and seat absorption in large halls" 32 : 661-670, 1960
9 "Acoustics-Drmination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Impedance in Impedance Tubes – Part 2: Transfer-Function Mmethod"
10 H. D. Harwood, "Acoustic scaling : An evaluation of the proving experiment" BBC 1972
1 최인려, "실내장식용 섬유소재의 흡음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20 (20): 475-484, 2012
2 U. Kath, "The influence of clothes on the sound absorption of single persons" 17 : 234-237, 1966
3 S. G. Conti, "Measurement of the scattering and absorption cross sections of the human body" 84 : 819-821, 2004
4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in a Reverberation Room"
5 F. Martellotta, "Laboratory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of occupied pews and standing audiences" 72 : 341-349, 2011
6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Estimation of Thermal Insulation and Water Vapour Resistance of a Clothing Ensemble"
7 M. Barron, "Auditoriumn Acoustics and Architectural Design" Spon Press 32-34, 2010
8 L. L. Beranek, "Audience and seat absorption in large halls" 32 : 661-670, 1960
9 "Acoustics-Drmination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Impedance in Impedance Tubes – Part 2: Transfer-Function Mmethod"
10 H. D. Harwood, "Acoustic scaling : An evaluation of the proving experiment" BBC 1972
11 E. Ackerman, "Acoustic absorption coefficients of human body surface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64
12 H. S. Jang, "Absorption of orchestra platform measured for the acoustical design of concert halls" 1-4, 2010
13 D. Du Bois, "A formula to estimate the approximate surface area if height and weight be known" 17 : 863-871, 1916
Basis pursuit denoising을 사용한 두 수신기 간 시간 지연 추정 알고리즘
Estimation of the thickness of refractory ceramics using the impact-echo method
고주파수 초음파 영상을 위한 저잡음·광대역 수신 시스템 구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8 | 0.398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