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통 패류 104건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및 패류독소(설사성 패류독소, 기억상실성 패류독소) 실태조사를 하였다. 중금속 분석 결과, 납의 검출범위는 0.0177-0.5709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84038
김정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부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황선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이성봉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신상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권혜정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안전성검사소) ; 이지연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안전성검사소) ; 이병훈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모아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안전성검사팀) ; 최옥경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안전성검사소) ; Kim, Jeong-Eun ; Hwang, Seon-Il ; Lee, Seong-Bong ; Shin, Sang-Woon ; Kwon, Hye-Jung ; Lee, Ji-Yeon ; Lee, Byoung-Hoon ; Mo, A-Ra ; Choi, Ok-Kyung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9-165(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통 패류 104건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및 패류독소(설사성 패류독소, 기억상실성 패류독소) 실태조사를 하였다. 중금속 분석 결과, 납의 검출범위는 0.0177-0.5709 ...
본 연구에서는 유통 패류 104건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수은) 및 패류독소(설사성 패류독소, 기억상실성 패류독소) 실태조사를 하였다. 중금속 분석 결과, 납의 검출범위는 0.0177-0.5709 mg/kg, 카드뮴의 검출범위는 0.0226-1.4602 mg/kg, 수은의 검출범위는 0.0015-0.0327 mg/kg이었으며, 모두 국내 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설사성 패류독소 모니터링을 위해 okadaic acid와 dinophysistoxin-1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104건 모두 불검출이었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소인 domoic acid를 분석한 결과, domoic acid가 검출된 것은 5건으로 4.8%의 검출률을 보였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소가 검출된 시기는 각각 1월 1건, 2월 1건, 5월 1건, 9월 2건이 검출되어 패류독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패류 내 중금속은 기준 규격 이내로 안전한 수준이라 하더라도 중금속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하고, 향후 수산물 중금속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fs LA-ICP-MS를 이용한 메주의 유해중금속(Cd, Pb) 신속 분석법 개발
천연물 추출물이 대식세포 및 호염구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