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형 심초음파상 이완기 승모판엽의 이동과 도플러 심초음파상 경승모판 유입형류속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ursion of Mitral Valve Leaflets Recorded by M-Mode Echocardiography and the Transmitral Inflow Measured by Doppler Echocardi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7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Movement of mitral valve during diastole and blood flow velocity through the valve can be accurately measured using M-mode and pulsed wave Doppler technique, respective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excursion and flow phenomenon at the same cardiac cycle has not been seriously investigated. Method: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wenty cases with normal mitral flow pattern in Doppler echocardiography (Group I, mean age:44±20.8years, mean ejection fraction (EF):52±20.9%), twenty three cases with relaxation abnormality (Group Ⅱ, mean age:59±11.4years, mean EF:43±18.2%) and seventeen cases with restrictive physiology (Group Ⅲ, mean age:47±15.9years, mean EF:24±11.0%). We measured excursion of mitral leaflets at early (DE) and late (DA) diastole, area of mitral valvular opening using two dimensional calibration on M mode images, and transmitral inflow velocity (E (early ventricular filling)-, A (atrial contraction)-velocity), TVI (time velocity integral) on Doppler echocardiography. Results:DE excursions (mm) in group Ⅰ, Ⅱ, Ⅲ were 16.8±4.7, 14.2 3.5, 15.3±4.1, DA-excursions (mm) were 9.8±3.2, 10.7±3.0, 8.3±2.7, E-areas (cm2) were 2.8±1.3, 2.6±0.8, 2.5±1.0, A-areas (cm2) were 1.7±0.8, 1.7±0.7, 2.0±0.6, respectively. In E-, A velocity, deceleration time, E-TVI and A-TV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However, in DE-, DA excursion, E-, A-are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Between DE excursion and E velocity, DA excursion and A velocity, and total opening area and total TVI in total subjec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bsent. Conclusion:The mitral excursions and mitral opening areas on Mmode imag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mitral inflow velocities and TVI by pulsed Doppler, which suggests that the excursion of mitral leaflets is independent of transmitral inflow.
      번역하기

      Background and Objectives:Movement of mitral valve during diastole and blood flow velocity through the valve can be accurately measured using M-mode and pulsed wave Doppler technique, respective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excurs...

      Background and Objectives:Movement of mitral valve during diastole and blood flow velocity through the valve can be accurately measured using M-mode and pulsed wave Doppler technique, respectivel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excursion and flow phenomenon at the same cardiac cycle has not been seriously investigated. Method: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twenty cases with normal mitral flow pattern in Doppler echocardiography (Group I, mean age:44±20.8years, mean ejection fraction (EF):52±20.9%), twenty three cases with relaxation abnormality (Group Ⅱ, mean age:59±11.4years, mean EF:43±18.2%) and seventeen cases with restrictive physiology (Group Ⅲ, mean age:47±15.9years, mean EF:24±11.0%). We measured excursion of mitral leaflets at early (DE) and late (DA) diastole, area of mitral valvular opening using two dimensional calibration on M mode images, and transmitral inflow velocity (E (early ventricular filling)-, A (atrial contraction)-velocity), TVI (time velocity integral) on Doppler echocardiography. Results:DE excursions (mm) in group Ⅰ, Ⅱ, Ⅲ were 16.8±4.7, 14.2 3.5, 15.3±4.1, DA-excursions (mm) were 9.8±3.2, 10.7±3.0, 8.3±2.7, E-areas (cm2) were 2.8±1.3, 2.6±0.8, 2.5±1.0, A-areas (cm2) were 1.7±0.8, 1.7±0.7, 2.0±0.6, respectively. In E-, A velocity, deceleration time, E-TVI and A-TV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However, in DE-, DA excursion, E-, A-are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Between DE excursion and E velocity, DA excursion and A velocity, and total opening area and total TVI in total subjec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bsent. Conclusion:The mitral excursions and mitral opening areas on Mmode imag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mitral inflow velocities and TVI by pulsed Doppler, which suggests that the excursion of mitral leaflets is independent of transmitral infl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확장기 동안의 승모판의 운동과 혈류 속도는 각각 M형 심초음파 및 간헐파형 도플러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심주기에서의 승모판엽의 운동과 판구를 통한 혈류현상간의 관계에 대하여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
      방 법: 간헐파형 도플러 심초음파상 정상 경승모판 유입혈류양상을 보이는 20예(Ⅰ군, 평균연령:4±20.8세, 평균 좌심실구혈율:52±20.9%), 비정상 심실이완양상을 보이는 23예(Ⅱ군, 평균 연령:59±1.4세, 평균 좌심실구혈율:43±18.2%), 제한적 생리양상을 보이는 17예(Ⅲ군, 평균 연령:47±15.9세, 평균 좌심실구혈율:24±1.0%)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M형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이완초기 승모판엽의 DE이동거리(excursion, m) 및 심방수축기 승모판엽의 DA이동거리(m)를 구하였으며, M형 심초음파도에서 그려진 승모판 개구연을 two dimensional calibr-ation하에서 trace하여 E면적(좌심실 이완초기 승모판 개구면적, cm2)과 A면적(심방수축기 승모판 개구면적, cm2), 총 승모판 개구면적(E면적과 A면적의 합)을 구하였다. 또한 간헐파형 도플러 심초음파상 좌심실 이완초기 경승모판 최대 유입혈류속도(E속도, cm/sec), 심방수축기 경승모판 최대 유입혈류속도(A속도)를 구하였고, 각각에서 TVI(time velocity integral, cm)를 구하였다.
      결 과:Ⅰ군, Ⅱ군, Ⅲ군에서 평균 DE이동(mm)은 각각 16.8±4.7, 14.2±3.5, 15.3±4.1, DA이동(mm)은 각각 9.8 ±3.2, 10.7±3.0, 8.3±2.7이었고, 평균 E면적(cm2)은 각각 2.8±1.3, 2.6±0.8, 2.5±1.0, A면적(cm2)은 각각1.7±0.8, 1.7±0.7, 2.0±0.6이었으며, E 및 A속도, E및 A-TVI에 있어서는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DE 및 DA이동, E 및 A면적에 있어서는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대상군에서 DE이동과 E속도, DA이동과 A속도, 총 승모판개구면적과 총 TVI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M형 심초음파상 기록되는 승모판엽의 이동은 좌심실 이완기 경승모판 혈류속도 및 혈류량을 반영하는 간헐파형 도플러 지수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이완기시 승모판엽의 이동은 경승모판 혈류량과 무관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확장기 동안의 승모판의 운동과 혈류 속도는 각각 M형 심초음파 및 간헐파형 도플러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심주기에서의 승모판엽의 운동과 판구를 통한 혈...

      연구배경: 확장기 동안의 승모판의 운동과 혈류 속도는 각각 M형 심초음파 및 간헐파형 도플러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심주기에서의 승모판엽의 운동과 판구를 통한 혈류현상간의 관계에 대하여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
      방 법: 간헐파형 도플러 심초음파상 정상 경승모판 유입혈류양상을 보이는 20예(Ⅰ군, 평균연령:4±20.8세, 평균 좌심실구혈율:52±20.9%), 비정상 심실이완양상을 보이는 23예(Ⅱ군, 평균 연령:59±1.4세, 평균 좌심실구혈율:43±18.2%), 제한적 생리양상을 보이는 17예(Ⅲ군, 평균 연령:47±15.9세, 평균 좌심실구혈율:24±1.0%)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M형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이완초기 승모판엽의 DE이동거리(excursion, m) 및 심방수축기 승모판엽의 DA이동거리(m)를 구하였으며, M형 심초음파도에서 그려진 승모판 개구연을 two dimensional calibr-ation하에서 trace하여 E면적(좌심실 이완초기 승모판 개구면적, cm2)과 A면적(심방수축기 승모판 개구면적, cm2), 총 승모판 개구면적(E면적과 A면적의 합)을 구하였다. 또한 간헐파형 도플러 심초음파상 좌심실 이완초기 경승모판 최대 유입혈류속도(E속도, cm/sec), 심방수축기 경승모판 최대 유입혈류속도(A속도)를 구하였고, 각각에서 TVI(time velocity integral, cm)를 구하였다.
      결 과:Ⅰ군, Ⅱ군, Ⅲ군에서 평균 DE이동(mm)은 각각 16.8±4.7, 14.2±3.5, 15.3±4.1, DA이동(mm)은 각각 9.8 ±3.2, 10.7±3.0, 8.3±2.7이었고, 평균 E면적(cm2)은 각각 2.8±1.3, 2.6±0.8, 2.5±1.0, A면적(cm2)은 각각1.7±0.8, 1.7±0.7, 2.0±0.6이었으며, E 및 A속도, E및 A-TVI에 있어서는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DE 및 DA이동, E 및 A면적에 있어서는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대상군에서 DE이동과 E속도, DA이동과 A속도, 총 승모판개구면적과 총 TVI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M형 심초음파상 기록되는 승모판엽의 이동은 좌심실 이완기 경승모판 혈류속도 및 혈류량을 반영하는 간헐파형 도플러 지수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이완기시 승모판엽의 이동은 경승모판 혈류량과 무관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8-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외국어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4 0.2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