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계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시적)이다/(유명)하다의 정체 = Identity of ida and hada from the perspective of copula typ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80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gainst the traditional position that `hada` of `yumyeong-hada` is a derivational suffix, arguing that it should be analyzed as a support verb like support verb `ida`. My argumentation is grounded on their similarity on the syntactico-semantic level. It means that the lexemes X`s in the construction `X-hada` and lexemes Y`s in the construction `Y-ida` behave the same syntactico-semantically. For this, I compared `yumyeong-hada` with `gyeongjejeok-ida`. Both `yumyeong(=famous)` and `gyeongjejeok(=economic)` do not function as a argument of predicates, and show the same adjectival properties, so that `ida` and `hada`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 define this kind of lexemes as `nouny adjectives`, including `adnominals` in contrast with verby adjectives such as `keuda(=be big)`, `nopta(=be high)`, etc.

      번역하기

      This paper is against the traditional position that `hada` of `yumyeong-hada` is a derivational suffix, arguing that it should be analyzed as a support verb like support verb `ida`. My argumentation is grounded on their similarity on the syntactico-se...

      This paper is against the traditional position that `hada` of `yumyeong-hada` is a derivational suffix, arguing that it should be analyzed as a support verb like support verb `ida`. My argumentation is grounded on their similarity on the syntactico-semantic level. It means that the lexemes X`s in the construction `X-hada` and lexemes Y`s in the construction `Y-ida` behave the same syntactico-semantically. For this, I compared `yumyeong-hada` with `gyeongjejeok-ida`. Both `yumyeong(=famous)` and `gyeongjejeok(=economic)` do not function as a argument of predicates, and show the same adjectival properties, so that `ida` and `hada`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 define this kind of lexemes as `nouny adjectives`, including `adnominals` in contrast with verby adjectives such as `keuda(=be big)`, `nopta(=be high)`, et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정수, "형태론과 통사론 사이에: 통사론적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7 : 127-147, 2007

      2 송정근,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2007

      3 목정수, "한국어, 문법 그리고 사유" 태학사 2009c

      4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2003

      5 목정수, "한국어 명사성 형용사의 설정 문제 -유형론적 접근과 국어교육적 활용-" 한국어교육학회 (128) : 387-418, 2009

      6 목정수, "일본어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유형론적 함의:한국어 형용사 어근 등의 품사 분류와 관련하여" 언어정보연구소 25 (25): 23-37, 2008

      7 박정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형용사의 품사적 지위" 2010

      8 목정수, "수상한 수식 구조에 대하여-부사의 境界에서-" 중앙어문학회 (40) : 5-38, 2009

      9 박진호, "분포에 의한 단어 분류와 기능에 의한 단어 분류" 2010

      10 이종인, "번역은 글쓰기다" 즐거운상상 2009

      1 목정수, "형태론과 통사론 사이에: 통사론적 단위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7 : 127-147, 2007

      2 송정근,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2007

      3 목정수, "한국어, 문법 그리고 사유" 태학사 2009c

      4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2003

      5 목정수, "한국어 명사성 형용사의 설정 문제 -유형론적 접근과 국어교육적 활용-" 한국어교육학회 (128) : 387-418, 2009

      6 목정수, "일본어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유형론적 함의:한국어 형용사 어근 등의 품사 분류와 관련하여" 언어정보연구소 25 (25): 23-37, 2008

      7 박정구,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형용사의 품사적 지위" 2010

      8 목정수, "수상한 수식 구조에 대하여-부사의 境界에서-" 중앙어문학회 (40) : 5-38, 2009

      9 박진호, "분포에 의한 단어 분류와 기능에 의한 단어 분류" 2010

      10 이종인, "번역은 글쓰기다" 즐거운상상 2009

      11 쓰지 유미, "번역사 오디세이" 끌레마 2008

      12 목정수, "기능동사 ‘이다’ 구성의 쟁점" 한국언어학회 22 : 245-290, 1998

      13 허철구, "국어의 어기분리 현상과 경계 인식" 배달말학회 28 : 57-91, 2001

      14 김상대, "국어문법의 대안적 접근" 국학자료원 2001

      15 목정수(睦正洙), "韓國語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正體性 - 기능동사 擁護論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55-82, 2006

      16 (목정수)睦正洙, "‘이다’를 機能動詞로 分析해야 하는 이유 몇 가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7-28, 2007

      17 Heine, Bernd, "The changing languages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8 Wetzer,H, "The Typology of Adjectival Predication" Mouton de Gruyter 1996

      19 Bhat, D.N.S, "The Adjectival Category. Criteria for differentiation and identification" John Benjamins 1999

      20 Croft, W, "Radical Construction Grammar. Syntactic theory in Typological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1 Schachter, P, "Parts-of-speech systems in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22 Anward, J, "Parts of speech in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An International Handbook" Walter de Gruyter 2001

      23 Hengeveld, H, "Non-verbal predication" Mouton de Gruyter 1992

      24 Li, C.N, "Mechanisms of syntactic chang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7

      25 Feuillet, J, "Introduction à la typologie linguistique" Honoré Champion 2006

      26 Stassen, L, "Intransitive predication" Clarendon 1997

      27 Pustet,R, "Copulas: Universals in the Categorization of the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8 Dixon, R. M. W, "Basic Linguistic Theory Vo1. 2, Grammatical Topics" Oxford Univ. Press 2010

      29 Vogel, P, "Approaches to the typology of word classes" Mouton de Gruyter 2000

      30 Dixon, R.M.W, "Adjective Classes: A Cross-Linguistic Typ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1 Li, "A mechanism for the development of copula morphemes, in Li"

      32 목정수, "A Continuity of Adjectives in Korean -from a prototypical perspective-"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5 (45): 87-111, 2006

      33 허 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eity of Poetics & Linguistics -> The Society of Poetics & Linguistics KCI등재후보
      2007-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Poetics & Linguistics -> The Soceity of Poetics & Linguistic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