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 기획논문: "한국영화 7선" 2015년 한국영화를 말하다 : "지식,권력,존재"의 역사적비화(悲話): 영화 < 사도 > = Tragic Historic Story of "Knowledge, Power and Being": Film "The Thr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1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영화 < 사도 >를 ‘지식-권력-존재’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영화 < 사도 >는 사도 세자의 죽음을 중심 서사로 놓고 그의 삶과 죽음에 얽힌비화를 재현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영조와 사도의 관계에서 갈등과 긴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왕의 권력과 그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제시된 지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사도의 죽음이 권력과 지식에 대한 저항과 거부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한다. 우선, 영조의 지식과 권력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매개체임을 제시한다. 사도는 이러한 왕가의 법도와 윤리를 거부하는 방법으로서 죽음의 과저에서 자신의 ‘몸’으로 존재를 드러낸다. ‘권력-지식’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몸’이 사도의 ‘죽음’ 과정에서 표현되는 것이다. 한편, 영화에서 재현되는 현재와 과거의 시간 교차는 왕가의 오랜 역사에 균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제시되며, 뒤주는 왕가의 권력과 권위에 균열을 가하는 죽음의 존재로서 등장한다. 마지막으로 영조와 정조, 사도는 ‘죽음’과 ‘권력-지식’ 사이에서 부유하는 존재들로서 이러한 ‘영원한 죽음’을 간직한 존재들의 형상화가 영화의 비극성을 한층 고양시킨다. 요컨대 영화 < 사도 >는 권력과 지식 그리고 존재의 관계를 사극의 형식을 빌어 세밀하게 구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영화 < 사도 >를 ‘지식-권력-존재’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영화 < 사도 >는 사도 세자의 죽음을 중심 서사로 놓고 그의 삶과 죽음에 얽힌비화를 재현한다. 따라서 이 ...

      이 글에서는 영화 < 사도 >를 ‘지식-권력-존재’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영화 < 사도 >는 사도 세자의 죽음을 중심 서사로 놓고 그의 삶과 죽음에 얽힌비화를 재현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영조와 사도의 관계에서 갈등과 긴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왕의 권력과 그 권력 유지의 수단으로 제시된 지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사도의 죽음이 권력과 지식에 대한 저항과 거부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한다. 우선, 영조의 지식과 권력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매개체임을 제시한다. 사도는 이러한 왕가의 법도와 윤리를 거부하는 방법으로서 죽음의 과저에서 자신의 ‘몸’으로 존재를 드러낸다. ‘권력-지식’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몸’이 사도의 ‘죽음’ 과정에서 표현되는 것이다. 한편, 영화에서 재현되는 현재와 과거의 시간 교차는 왕가의 오랜 역사에 균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제시되며, 뒤주는 왕가의 권력과 권위에 균열을 가하는 죽음의 존재로서 등장한다. 마지막으로 영조와 정조, 사도는 ‘죽음’과 ‘권력-지식’ 사이에서 부유하는 존재들로서 이러한 ‘영원한 죽음’을 간직한 존재들의 형상화가 영화의 비극성을 한층 고양시킨다. 요컨대 영화 < 사도 >는 권력과 지식 그리고 존재의 관계를 사극의 형식을 빌어 세밀하게 구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film The Throne in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power and existence.’ With the Crown Prince Sado (思悼世子) as its central narrative, the film The Throne reproduces tragic stories surrounding his life and death. Thus, focusing on the problem of King’s power which was the core of conflict and t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Youngjo (英 祖) and Crown Prince Sado and on the problem of knowledge suggested as the means to maintain the power, this study analyzes that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was caused by his resistance and refusal of power and knowledge.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King Youngjo’s knowledge and power was the important media which cros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As a means to refuse the custom and ethics of the Royal Family, Crown Prince Sado exposes his existence with his own’body’ in the process of his death. That is,’body’ as the resistance against’power and knowledge’ i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Sado’s’death.’ Meanwhile, crossing of the past and the present reproduced in the film is presented in the manner to impose fissure on the long history of Royal Family while the wooden grain chest appears as symbol of death which imposes fissure on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Lastly, King Youngjo, King Jungjo (正祖) and Crown Prince Sado are all existences floating among’death’,’power’ and’knowledge’ and embodiment of these existences who kept such’eternal death’ further boosts the tragic nature of the film. In sum, film’The Throne’ is a work which meticulously reproduces the relationship among power, knowledge and existence in the form of historical drama.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film The Throne in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power and existence.’ With the Crown Prince Sado (思悼世子) as its central narrative, the film The Throne reproduces tragic stories surrounding his life and death. T...

      This study explores the film The Throne in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power and existence.’ With the Crown Prince Sado (思悼世子) as its central narrative, the film The Throne reproduces tragic stories surrounding his life and death. Thus, focusing on the problem of King’s power which was the core of conflict and t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Youngjo (英 祖) and Crown Prince Sado and on the problem of knowledge suggested as the means to maintain the power, this study analyzes that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was caused by his resistance and refusal of power and knowledge.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King Youngjo’s knowledge and power was the important media which cross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As a means to refuse the custom and ethics of the Royal Family, Crown Prince Sado exposes his existence with his own’body’ in the process of his death. That is,’body’ as the resistance against’power and knowledge’ i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Sado’s’death.’ Meanwhile, crossing of the past and the present reproduced in the film is presented in the manner to impose fissure on the long history of Royal Family while the wooden grain chest appears as symbol of death which imposes fissure on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Lastly, King Youngjo, King Jungjo (正祖) and Crown Prince Sado are all existences floating among’death’,’power’ and’knowledge’ and embodiment of these existences who kept such’eternal death’ further boosts the tragic nature of the film. In sum, film’The Throne’ is a work which meticulously reproduces the relationship among power, knowledge and existence in the form of historical dram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 뤽 낭시, "코르푸스" 문학과지성사 2013

      2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2

      3 이준익, "영화 <사도>"

      4 "씨네21"

      5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나남출판 2001

      6 미셸 푸코, "비정상인들" 동문선 2001

      1 장 뤽 낭시, "코르푸스" 문학과지성사 2013

      2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2

      3 이준익, "영화 <사도>"

      4 "씨네21"

      5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나남출판 2001

      6 미셸 푸코, "비정상인들" 동문선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2-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Contemporary Film Research Institute -> Contemporary Cinema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ntemporary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9 0.7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