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人工知能型 韓國語 말하기 코스웨어 開發 硏究 = Study on Design of A.I Courseware for Korean Spea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6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ign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urseware to exercise speaking Korean. Task presentation in a class and grammar exercise cannot satisfy learner's need to improve speaking ability in authenticity and easiness. To improve speaking ability, this paper suggests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as (1) to organize and sophisticate tasks by meta-language ability, (2) to increase authenticity in tasks and discourse and (3) to improve speaking easiness through accuracy and property of discourse. Also, artificial intelligence Korean language speaking courseware was designed based on these principles. This coursware is expected to enable individualized instruction considering learner's need and preference and to provide various interface encouraging learner's motivation and promoting leaner's achievement.
      번역하기

      This paper design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urseware to exercise speaking Korean. Task presentation in a class and grammar exercise cannot satisfy learner's need to improve speaking ability in authenticity and easiness. To improve speaking ability...

      This paper design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urseware to exercise speaking Korean. Task presentation in a class and grammar exercise cannot satisfy learner's need to improve speaking ability in authenticity and easiness. To improve speaking ability, this paper suggests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as (1) to organize and sophisticate tasks by meta-language ability, (2) to increase authenticity in tasks and discourse and (3) to improve speaking easiness through accuracy and property of discourse. Also, artificial intelligence Korean language speaking courseware was designed based on these principles. This coursware is expected to enable individualized instruction considering learner's need and preference and to provide various interface encouraging learner's motivation and promoting leaner's achie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論文은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敎育에서 말하기 能力을 신장시키기 위한 인공지능형 코스웨어를 開發하기 위한 것이다. 敎室 授業에서의 課題 제시 방식이나 문법을 활용한 연습 문제 등의 활동은 實際性이나 수월성의 측면에서 말하기 능력 신장에 대한 학습자의 要求에 부응하지 못하는 短點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로서 첫째, 메타 언어적 능력의 活性化를 통한 내용의 組織化 및 精巧化, 둘째, 課題와 담화의 실제성 확대, 셋째, 담화 구성의 正確性과 適切性을 통한 말하기 수월성 增進을 제시하고 이러한 原理에 따라 인공지능형 한국어 말하기 코스웨어를 설계하였다. 本稿에서 제시하는 코스웨어는 학습자의 段階와 기호를 考慮하여 個別化된 말하기 연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높이고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論文은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敎育에서 말하기 能力을 신장시키기 위한 인공지능형 코스웨어를 開發하기 위한 것이다. 敎室 授業에서의 課題 제시 방식이나 문법을 활용한 연습 문제 등...

      본 論文은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敎育에서 말하기 能力을 신장시키기 위한 인공지능형 코스웨어를 開發하기 위한 것이다. 敎室 授業에서의 課題 제시 방식이나 문법을 활용한 연습 문제 등의 활동은 實際性이나 수월성의 측면에서 말하기 능력 신장에 대한 학습자의 要求에 부응하지 못하는 短點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로서 첫째, 메타 언어적 능력의 活性化를 통한 내용의 組織化 및 精巧化, 둘째, 課題와 담화의 실제성 확대, 셋째, 담화 구성의 正確性과 適切性을 통한 말하기 수월성 增進을 제시하고 이러한 原理에 따라 인공지능형 한국어 말하기 코스웨어를 설계하였다. 本稿에서 제시하는 코스웨어는 학습자의 段階와 기호를 考慮하여 個別化된 말하기 연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높이고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 손동작의 의미와 화용" 이중언어학회 제18호 : 2000

      2 "한국어에 있어서 몸짓과 발화의 관계" 이중언어학회 제18호 : 296-326, 2000

      3 "한국어 능력평가 방안 연구: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1) : 49-60, 1998

      4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국제한국어학회 (11-1) : 67-83, 2000

      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1999

      6 "신교재 개발 연구 조사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문화체육부 국어정책과 硏究 課題 1997

      7 "설문 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1) : 49-60, 1999

      8 "비언어적 의사소통체계의 유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제41집 : 59-75, 2002

      9 "반성적 평가를 활용한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2002

      10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에 관여하는 의미 정보의 역할과 관련된 대뇌 활성화" 한국실험심리학회 117-123, 2004

      1 "한국인 손동작의 의미와 화용" 이중언어학회 제18호 : 2000

      2 "한국어에 있어서 몸짓과 발화의 관계" 이중언어학회 제18호 : 296-326, 2000

      3 "한국어 능력평가 방안 연구: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1) : 49-60, 1998

      4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국제한국어학회 (11-1) : 67-83, 2000

      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1999

      6 "신교재 개발 연구 조사에 관한 최종 연구 보고서" 문화체육부 국어정책과 硏究 課題 1997

      7 "설문 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들의 인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1) : 49-60, 1999

      8 "비언어적 의사소통체계의 유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제41집 : 59-75, 2002

      9 "반성적 평가를 활용한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2002

      10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에 관여하는 의미 정보의 역할과 관련된 대뇌 활성화" 한국실험심리학회 117-123, 2004

      11 "and Repair in the Interlanguage" 1980

      12 "Reflective teaching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3 "From Intention to Articulation" 1989

      14 "An empirical study of linguistic generalization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produced by the University of South Africa" 19931996

      15 "A Modulebased Software Framework for ELearning over Internet Environment"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