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산 증언을 통해 본)백호유격부대의 빛나는 전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9275894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한국 유격군 백호부대 전우회, 2004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92.1911911.0723 판사항(4)

      • DDC

        355.0330519951.9042 판사항(21)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인천

      • 서명/저자사항

        (산 증언을 통해 본)백호유격부대의 빛나는 전투 / 朴斗鎬 著

      • 형태사항

        534p.: 삽도; 25cm

      • 총서사항

        백호부대 유격전사; 제3집 - 백호의 秘話

      • 일반주기명

        판권기잡정보: 한국전쟁 중 적진에서 종횡무진 활약한 秘話
        잡정보: 한국전쟁시 북한지역에서 수행된 알려지지 않은 전쟁이야기
        감수자: 조성훈 ; 최용호
        참고문헌: p.524-528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공군사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발간사
      • 발간을 축하하며
      • 추천사 Ⅰ, Ⅱ
      • 권두언 Ⅰ, Ⅱ
      • 목차
      • 발간사
      • 발간을 축하하며
      • 추천사 Ⅰ, Ⅱ
      • 권두언 Ⅰ, Ⅱ
      • 백호부대 작전지역 상황도
      • 제1장 UN군 통제하 유격부대 지휘체제
      • 제1절 UN군의 유격부대 창설배경 및 임무 = 37
      • 1. 창설 배경 = 37
      • 2. 임무 및 작전형태 = 40
      • 제2절 UN군의 유격대 지휘통제 = 42
      • 1. 통제기구 및 작전수준급 부대편성 = 42
      • 2. 지도목표 및 운용 = 50
      • 3. 군수지원 = 55
      • 제3절 UN군의 유격대 통제기구 편성 = 62
      • 1. 베이커 기지(BAKER SECTION) = 62
      • 2. 윌리암 에이블(WILLIAM ABLE) 기지 = 62
      • 3. 표(豹 : LEOPARD) 유격기지 = 63
      • 4. 커크랜드(동해안) 유격기지 = 66
      • 5. 울프팩(강화) 유격기지 = 67
      • 제4절 제8240부대 및 동키부대 작전지역 = 68
      • 1. 8240부대 작전지역 = 68
      • 2. 백호부대 작전지역도 = 69
      • 제2장 유격군 「백호부대」의 작전활동 및 성과
      • 제1절 부대창설(Donkey-4연대) = 73
      • 1. 자생적 반공무장대로 출발(1950.10.16) = 73
      • 2. 동키 4연대를 백호부대로 명명(1951.3.6) = 75
      • 3. 부대편성 및 작전지역 = 77
      • 4. 백호부대의 저술간 행동지침 = 78
      • 제2절 서해 5도서 동키부대가 유격전으로 지켜냈다(백호부대 제4연대 작전) = 80
      • 1. 소련제 소총에 인민군복 입고, 장연 해안 첫상륙(1951.3.7) = 80
      • 가. 환송나온 난민들을 뒤로하며 = 80
      • 나. 장연군 대구면 선대리 해안가 첫 상륙, 반공청년들 속속 합류 = 81
      • 다. 관련증언 = 84
      • 아주머니 복장으로 위장하여 인민군 토벌대를 피해 탈출(증언 : 강덕보)
      • 유격군 도움으로 월남하여 나이가 어려 전령으로 근무(증언 : 정문섭)
      • 장연에서 후퇴당시의 고통(증언 : 전춘하)
      • 적지탈출, 백호부대 입대, 가족구출(증언 : 김성신)
      • 학살당한 부친의 원수를 갚기 위해 백호부대 입대(증언 : 백봉기)
      • 백호부대 입대 경위(증언 : 여인춘)
      • 치안대 당시 인민군 패잔병 기습(증언 : 김한근)
      • 무장대원 조직 인민군 토벌중 피난 후 백호부대 입대, 연락병 임무(증언 : 박원곤)
      • 2. 여인들의 재치로 전멸위기를 모면하고 인민군 2개 대대까지 속인 허수아비 작전(1951.3.7~25) = 95
      • 가. 예기치 못한 동굴막사 화재로 적에게 위치 노출 = 95
      • 나. 인민군 2개 대대병력을 속인 「허수아비 작전」 = 97
      • 다. 코앞의 인민군과 피말리는 「녹촌부락」 1박 = 98
      • 라. 인민군 복장에 인민군가를 부르며 남대천을 도하, 학림사까지 행군으로 = 100
      • 마. 관련증언 = 102
      • 유격대원을 안심시킨 후 인민군에 신고한 빨갱이집에서 죽을 고비를 넘기다(증언 : 하용의)
      • 3. 오동골에서 박석산으로 기지 이동(1951.3.27~4.10) = 104
      • 가. 부대 분산과 지대편성 = 105
      • 나. 부대의 증편(本部) = 105
      • 다. 신화면 화랑리 접시골 支隊의 적지탈출 = 106
      • 라. 관련증언 = 110
      • 불타산 오동골 은신중인 반공 피난민 구출작전(증언 : 김윤홍)
      • 2차 불타산 작전, 김재도 영감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다(증언 : 김성순)
      • 박석산 전우 구출(증언 : 선대규)
      • 주민 구출을 목표로 한 적지 침투(증언 : 민병운)
      • 4. 박석산 기지의 1ㆍ2차 전투(1951.4.10~13) = 118
      • 가. 박석산 제1차 전투(1951. 4. 10) = 120
      • 나. 박석산 제2차 전투(1951. 4. 13) = 121
      • 다. 관련증언 = 122
      • 인민군 혼성부대를 혼비백산시킨 7시간의 대박석산 혈전(증언 :김순학)
      • 5. 박석산 第 1支隊 특공대의 봉변(4.15)과 적 토벌대 포위망을 뚫다 = 126
      • 가. 관련증언 = 128
      • 중공군과 인민군이 서로를 유격군으로 착각, 교전함에 따라 포위망을 뚫고 기지로 귀환(증언 : 강성봉)
      • 6. 송화온천 分駐所(파출소) 기습작전(1951.4.20) = 130
      • 7. 순택면 分駐所 기습작전후 박석산 기지 3연대 인계후 철수(1951.5.17) = 132
      • 가. 관련증언 = 133
      • 순택면 분주소 기습(증언 : 주재련)
      • 박석산 기지 3연대 인계 후 불타산으로 철수(증언 : 오종국)
      • 8. 목숨걸고 악착같이 덤벼 "더펄이" 부대로 인민군에 소문난 배나무골 금두동 전투(1951.6.18) = 146
      • 가. 관련증언 = 147
      • 박석산에서 총상 입은 동료 김태성을 간호후 동반복귀(증언 : 민병열)
      • 9. 반공인사 35名 석방시킨 후남면 "남창 분주소" 기습작전 (일명 제1차 후남작전, 1951.6.20) = 149
      • 가. 관련증언 = 151
      • 후남 남창분주소 습격작전 중 수류탄 파편을 맞아 후송(증언 : 김순겸)
      • 후남작전 참가기(증언 : 김영언)
      • 10. 인민군의 매복에 역매복으로 적 1개 소대를 섬멸시킨 "몽금포 개성촌" 전투(1951.7.5) = 152
      • 11. 용연면 分駐所 기습작전(1951.7.15) = 155
      • 가. 관련증언 = 156
      • 분주소 습격 후 지하감옥에 있는 반공청년과 가족들 구출(증언 : 김시운)
      • 석교리 분주소 기습(증언 : 김인수)
      • 12. 빨지굴 소대의 치열했던 "창암동 포구 암석고지" 전투(1951.7.20) = 157
      • 가. 관련증언 = 158
      • 고향인 빨지굴 인근 정보수색 임무, 그리고 적 육도 침공시 부상으로 제대(증언 : 김관섭)
      • 빨지굴 첩보작전(증언 : 강정환)
      • 빨지굴 배치 휴적직전까지 정보활동(증언 : 김순권)
      • 빨지굴에서 식량구입활동(증언 : 김용운)
      • 빨지굴 기지 식량보급 작전간 오가천에서 적매복에 기습당하다(증언 : 임순섭)
      • 현물세 창고파괴(증언 : 이용진)
      • 용반리 첩보작전(증언 : 김진권)
      • 13. 인민군 소대장 김두만을 귀순시킨 "아야동" 전투(1951.8.2) = 165
      • 14. 마합도 進駐와 작전구역의 확대(1951.8.2) = 166
      • 15. 송천 인민군 통신소 폭파(1951.8.2) = 167
      • 16. 오봉고개 군차량 및 中坪里 인민학교 인민군 기습작전(1951.8.3~8.5) = 168
      • 가. 오봉고개 인민군 차량 기습작전(1951.8.3) = 168
      • 나. 중평리 인민학교 인민군 기습작전(1951.8.5) = 170
      • 17. 長山기지 당고개 매복작전과 포로압송작전(1951.8.10) = 172
      • 가. 관련증언 = 174
      • 치열했던 당고개 전투에서 소대장, 부소대장까지 잃다(증언 : 여성순)
      • 인민군 숫자암호와 표식입수 포로압송 성공(증언 : 이병흔)
      • 18. 옹진반도의 "제작리" 전투(1951.8.10) = 175
      • 가. 관련증언 = 177
      • 제작리 작전 참가 후 극락산에서 교전, 인민군 시체를 확인해 보니 친형님이라 의식을 잃다(증언 : 곽성인)
      • 제작리 고지전투 지원작전(증언 : 박현준)
      • 제작리 전투에서 인민군 투항(증언 : 이정남)
      • 갖은 고문 끝에 허위로 진술한 접선장소에서 동료의 도움으로 구조(증언 : 백연탄)
      • 19. 옹진 육마합(陸麻蛤)에서의 중공군과 육박전(1951.8.18) = 183
      • 가. 관련증언 = 185
      • 옹진반도 전투와 마합도의 병력지원(증언 : 강일균)
      • 육마합에 중공군 출현(증언 : 허반)
      • 20. 영국군 조종사 구출(1951.9.4) = 191
      • 21. 樂道面 농민군 기습작전 및 선전실장 생포작전(1951.9.21) = 192
      • 가. 관련증언 = 193
      • 선전실장 생포작전(증언 : 김시종)
      • 악질당원 압송작전(증언 : 홍순철)
      • 22. 불땅골에서 인민군 생포 및 두산리 악질당원 생포(1951.10.17) = 195
      • 가. 관련증언 = 200
      • 가장 처절했던 불당골 전투(증언 : 정규호)
      • 악질 공산당원 면당위원장 압송작전(증언 : 한충렬)
      • 23. 적 식량창고를 습격 양곡 300가마, 농우 130두를 노획한 제2차 후남 탈환작전(1951.10.29) = 206
      • 가. 관련증언 = 209
      • 후남 1ㆍ2차 작전 참가기(증언 : 김윤호)
      • 후남면 전투 양곡과 소를 챙겨오다(증언 : 김정수)
      • 후남전투가 가장 기억에 남아(증언 : 박중삼)
      • 후남작전간 공산당이 아니라고 애원하는 고향친구 구출(증언 : 백성옥)
      • 후남 2차 작전참가(증언 : 손운언)
      • 24. 적 1개 대대와의 전투에서 동료 19명을 잃은 옹진 북교정 전투(1951.11.23) = 212
      • 25. 장연읍 화굴 전투(1951.12.6) = 214
      • 26. 연초 결의다짐의 자리에서 장석린 부대장의 어이없는 피살사건(1952.1.1) = 216
      • 27. 마합도의 적 상륙부대를 섬멸하다(1952.1.25) = 217
      • 가. 관련증언 = 218
      • 마합도 작전(증언 : 김기주)
      • 마합도에서 중공군과 치열한 육박전(증언 : 김재희)
      • 28. 육도기지 수비대의 최후, 육도가 적에게 넘어가다(1952.2.4) = 219
      • 가. 관련증언 = 221
      • 육도 기습상황(증언 : 박용길)
      • 인민군의 육도 기습으로 월내도로 후퇴(증언 : 이호진)
      • 무전불통으로 육도가 적에게 떨어지는 장면을 보고 있는 통신병의 애타는 마음(증언 : 한인석)
      • 29. 납치대원을 구출한 불땅골 전투(1952.2.20) = 230
      • 30. 후남면 신다리꼴의 인민군 기습작전을 마치고 복귀 중 적 매복조에 작전참모를 잃다(1952.4.6) = 234
      • 31. 연대본부 월내도에 진주하며 오작도(까마귀섬)에 전초기지를 두다(1952.5.3) = 235
      • 가. 관련증언 = 236
      • 월내도 주둔간 오발사고로 전부대 비상(증언 : 홍세인)
      • 32. 목감 분주소(파출소) 기습작전(1952.5.20) = 237
      • 가. 관련증언 = 238
      • 수류탄 파편에 옆구리 관통상 입고도 대원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귀환(증언 : 강대순)
      • 목감 분주소 습격 참가(증언 : 강성령)
      • 목감 분주소 내무서 직원 전원사살(증언 : 정규호, 김봉연, 백운봉)
      • 33. 대원들의 휴식처인 마당바위에서 인민군 정찰대와의 백병전(1952.6.20) = 243
      • 가. 관련증언 = 245
      • 엄호해 주던 김광수 대원을 적진에 남겨두고 복귀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증언 : 민정남)
      • 저작포 정보작전(증언 : 박응래)
      • 34. 장연읍 부호인 화교에게 적화(북한화폐) 노획작전(1952.7.10) = 252
      • 가. 관련증언 = 254
      • 적화 노획작전(증언 : 박신운)
      • 35. 적에게 매수된 변절자 처단을 위한 송천주둔 인민군 정찰대 기습작전(1952.7.15) = 257
      • 가. 관련증언 = 258
      • 대구면 당위원장 생포작전(증언 : 문영춘)
      • 36. 덕동포의 적 해안포 완파(1952.7.14) = 259
      • 가. 관련증언 = 260
      • 해안가 중기소대에 대한 정보수집(증언 : 김영신)
      • 덕동포 대원호송작전(증언 : 문인학)
      • 덕동포작전 참가(증언 : 최원형)
      • 덕동포작전(증언 : 최한철)
      • 37. 해삼잡이 배 "머구리선"의 침몰 = 267
      • 가. 관련증언 = 268
      • 선박대원으로 작전팀 호송ㆍ호환(증언 : 김석범, 강영규)
      • 유격군 호송임무(증언 : 김언영, 김왕수, 김종섭, 최재연)
      • 작전선 선원(증언 : 김진환)
      • 선박대 선박수리(증언 : 최한옥)
      • 첩보공작선 선원임무(증언 : 박응화)
      • 38. 모선 대영호의 참변(1952.8.5) = 273
      • 39. 미국 고문관도 감탄한 무파동(茂波洞) 전투(1952.8.29) = 275
      • 가. 관련증언 = 276
      • 무파동 인민군 기습작전(증언 : 박창훈)
      • 무파동 친투 참가(증언 : 김규형)
      • 무파동 대승으로 괴생하던 설사도 멈추었다(증언 : 안원국)
      • 40. 장산 복숭아골 전투(1952.9.3) = 280
      • 가. 관련증언 = 281
      • 정보원으로 활동중 공산당 요새 고채굴 기습(증언 : 최경준)
      • 41. 보물금괴 노획작전(1953.3.20) = 283
      • 가. 관련증언 = 290
      • 오채금괴작전(증언 : 김병호)
      • 42. 여자 유격대원들 종횡무진 활약, 정보와 위생, 통신대원으로 死線을 넘나들며 유격전 성공적 수행 = 291
      • 가. 박흥선 대원 인민군 장교식당까지 드나들어 = 292
      • 나. 여고생도 남하 거부하고 백호유격대 자진입대, 활약 = 293
      • 다. 관련증언 = 294
      • 여성대원 정보작전(증언 : 노준희)
      • 여성 첩보원 활동(증언 : 이순옥)
      • 여성 정보원 활동(증언 : 조형옥)
      • 유격군 식량보급 및 정보제공(증언 : 지금용)
      • 불타산 정보활동(증언 : 김선애)
      • 남편 조원재 대원의 활약상 회상(증언 : 강여녀)
      • 통신대장의 아내로 통신대 근무(증언 : 김상진)
      • 유격군 내조(증언 : 김신애, 김철화, 나정녀, 박순옥, 백인선, 오현영)
      • 43. 유격전의 교두보 「장산 기지, 빨치굴」 2년 만에 내어주다(1953.6.8~12) = 301
      • 가. 관련증언 = 302
      • 빨지굴 정보작전 지원(증언 : 김하용)
      • 빨지굴 활동(증언 : 김칠보)
      • 빨지굴 사건(증언 : 김광수)
      • 인민군 빨지굴 기습(증언 : 한대섭)
      • 빨지굴 대원 구출작전(증언 : 이성하)
      • 44. 강압에 의한 철수 후에도 육도, 오작도를 재탈환하다(1953.7.1) = 309
      • 가. 관련증언 = 311
      • 육도 재탈환 작전(증언 : 김성보)
      • 육도 탈환작전의 기억(증언 : 오창훈)
      • 오작도 2차 탈환작전(증언 : 조학성, 정명룡, 이현구, 원삼도, 김보현)
      • 까치섬 바츄카포 사수임무(증언 : 김시근)
      • 까치섬 무반동포 사수임무(증언 : 김양권)
      • 오작도 탈환작전중 장연출신 전우 이광기 구출(증언 : 김영조)
      • 오작도 재탈환작전(증언 : 하성도, 이기태)
      • 순이도 재복귀 명령받고 주둔간 기습받다(증언 : 원경노)
      • 제3절 서해 5도서 동키부대가 유격전으로 지켜냈다(백호부대 제3연대 작전) = 332
      • 1. 제3연대 창설(1951.5.27) = 332
      • 가. 간부진 인적사항 = 333
      • 나. 작전지역(요도) = 333
      • 2. 연정면 조령리 "새재고개 매복작전"으로 첫 전투 개가(1951.6.3) = 334
      • 가. 관련증언 = 335
      • 연대본부 작전과 근무(증언 : 이두형)
      • 3연대 입대경위(증언 : 백봉옥)
      • 초도 입대경위(증언 : 김복인, 김윤상)
      • 3연대 적지 침투작전(증언 : 김성신)
      • 3. 장연읍 최북단 "칠북리" 전투(1951.6.8) = 338
      • 가. 관련증언 = 339
      • 내무서장 숙소에서 중요서류 찾아 미군에 인계(증언 : 오경만)
      • 종평리 파출소장집 기습타가 발각되어 죽을 고비 넘기다(증언 : 김천일)
      • 대구면 면사무소 기습작전(증언 : 손정종)
      • 4. 박석산 남쪽 "여산리" 전투와 敵의 반격(1951.6.19) = 345
      • 5. 박석산 철수 신화면 군산리 "어두니골"로(1951.6.20) = 348
      • 가. 관련증언 = 350
      • 신화면 작전(증언 : 주신직)
      • 6. 세진리 인민군 기습작전(1951.6.25) = 350
      • 7. 신화면 쌍월리 인민군 기습작전(1951.7.4) = 351
      • 가. 관련증언 = 351
      • 작전 중 함포지원 사격으로 생환하다(증언 : 강주현)
      • 금산리 작전(증언 : 김유성)
      • 8. 송화온천 기습작전(1951.8.20) = 352
      • 가. 관련증언 = 353
      • 인민군 복장으로 위장행동(증언 : 허환)
      • 9. 송화군 사기리 전투(1951.9.3) = 354
      • 10. 장연읍 말등바위 적차량 기습(1951.9.10)과 칠북리 전투(1951.9.14) = 354
      • 11. 송화군 운유면 "사기리" 작전(1951.10.4) = 355
      • 가. 관련증언 = 356
      • 인민군 군수물자 수송용 농우 탈취(증언 : 최복홍)
      • 12. 적지 첩보기지의 재건(1951.10.14) = 358
      • 13. 효제리 농경대 기습작전(1951.10.26) = 359
      • 14. 서의리 작전과 칠봉산 첩보대 활동(1951.11.8) = 359
      • 15. 지경리 작전(1951.11.19) = 361
      • 16. 효제리 작전(1952.4.3) = 362
      • 가. 관련증언 = 363
      • 오로지 피난민 구출작전(증언 : 이기성)
      • 17. 오응리 포위작전(1952.4.15) = 363
      • 18. 중은동 산중 휴동리에서 인민군 17명 사살(1952.4.22) = 364
      • 가. 관련증언 = 365
      • 배멀미가 전투보다 더 힘들었다(증언 : 최찬영)
      • 몽금포 분주소 기습작전 선발대 투입하다 고전(증언 : 김두순)
      • 19. 신화면 쌍월리 전투와 양곡수송대 기습작전(1952.7.3) = 367
      • 20. 풍천작전으로 반공인사 300여명 구출(1952.7.20) = 368
      • 가. 관련증언 = 370
      • 송화군 풍천읍 인민군 기습작전(증언 : 이철영)
      • 풍천작전 참가(증언 : 김경남)
      • 21. 칠봉산 율사리 매복작전(1952.8.30) = 371
      • 22. 신화면 대두리 부락주둔 중공군 1개 소대 섬멸(1952.9.5) = 372
      • 가. 관련증언 = 373
      • 인민군 경비대 기습작전(증언 : 김종익)
      • 23. 해안면 부성리에서 적의 완강한 저항 속에서 6시간의 사투(1952.9.8) = 373
      • 24. 군산리 어두니골의 매복기습작전(1952.9.18) = 374
      • 가. 관련증언 = 375
      • 두마산 인근 적지 작전중에 생긴 일(증언 : 전윤광, 허규삼)
      • 25. 대촌리 부락 포위작전(1952.9.19) = 377
      • 26. 휴서리 해안 괴암포 상륙 인민군 18명 사살(1952.9.22) = 377
      • 27. 금산리 봉화재에서 인민군 해안경비대 격파(1952.10.8) = 378
      • 28. 용연면 석교리 분주소 기습작전(1952.10.12) = 378
      • 가. 관련증언 = 379
      • 약속시간 접선 배를 못만나 3일간 추위와 굶주림(증언 : 김정환)
      • 전투중 낙오로 두문산에서 두달간 고생(증언 : 전재우)
      • 29. 농우 30두, 양곡 300가마, 반공인사 500여명 등 서의리 주민 대규모 구출작전(1952.10.22) = 380
      • 가. 관련증거 = 381
      • 중공군 집결지 정보수집활동(증언 : 강석련)
      • 30. 삼은리 부락 완전점령 작전(1952.10.29) = 385
      • 31. 춘계 순택면 교전과 삼은리 춘계작전에서 최동하 연대장을 잃다(1953.5.23~28) = 386
      • 가. 관련증언 = 388
      • 순택면 교전(증언 : 김선한)
      • 인민군, 중공군 혼성부대의 적탄에 연대장 산화(증언 : 이정수)
      • 32. 최동하 연대장 복수작전(1953.5.30) = 389
      • 제4절 기타 증언 = 391
      • 1. 백령도 8240부대 사령부 근무(증언 : 송효식 ) = 391
      • 2. 미국 군사고문단 멜콤 중위 휘하에서 작전병 근무(증언 : 이익호) = 393
      • 3. 유격군 백호부대 전령근무(증언 : 김광려, 최광식) = 395
      • 4. 원산앞 무이도 유격군 활동(증언 : 김인범) = 396
      • 5. 당시 백령도 언론생활(증언 : 김종규) = 396
      • 6. 이발병 임무(증언 : 문용기) = 397
      • 7. 종군기자 활동상(증언 : 송종명) = 398
      • 8. 요리사 근무(증언 : 윤군겸) = 399
      • 9. 연락책 활동 후 백호부대 여자 유격대원 김영희와 결혼(증언 : 윤옥순) = 400
      • 10. 대인지뢰를 밟은 동료 구출 및 인민군에 포로가 되어 사형집행 전 극적 탈출(증언 : 이철한) = 400
      • 11. 인민군 포로 미군에게 인계하다가 미군의 착오로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포로 아닌 포로생활 후 석방(증언 : 장기영) = 403
      • 12. 중공군 인해전술로 연백벌 봉화산을 내어주다(증언 : 차영길) = 406
      • 13. 백령도 주민생활상(증언 : 최진헌 ) = 409
      • 14. 진도로 피난 와 있던 중 백호부대 입대, 혹독한 교육 후 대원이 되다(증언 : 강영철) = 411
      • 15. 고생 끝에 강제이주 당한 그리운 가족 구출(증언 : 김광옥) = 411
      • 16. 백령도 주둔 인민군 퇴각시 석교리에서 양민학살(증언 : 김세하) = 415
      • 17. 육도에서 백호부대 입대(증언 : 고순근) = 417
      • 18. 대청도에서 백호부대 입대(증언 : 심용빈) = 417
      • 19. 해구동 치안대 연락부서 임무 후 대청도에서 백호부대 입대(증언 : 김봉협) = 417
      • 20. 총상 당시의 아픔(증언 : 김치두) = 419
      • 21. 억울한 인민의 죽음(증언 : 윤광일) = 420
      • 22. 의무병으로 근무하면서 각종 전투에서 의료구호활동(증언 : 이종은) = 420
      • 제5절 휴전회담과 유격군의 해체, 그리고 국군에 편입 = 424
      • 1. 全 유격군 부대의 재편(1953.4.6) = 424
      • 2. 서해안 지역 인민군 및 중공군의 증강(1951.10~1953.6) = 424
      • 3. 월내도 기지의 철수 명령(1953.6.10) = 425
      • 4. 월내도로부터 대청도로(1953.6.12) = 426
      • 5. 7. 27 휴전과 8250부대 창설(1953.8.16) = 427
      • 6. 대한민국 육군 편입 (1954.2.24) = 428
      • 제6절 전적비 내용 및 전투당시 진중수필(시), 그리고 관련사진 = 431
      • 1. 국립 현충원에 위치한 한국유격군 전적 위령비 = 431
      • 가. 관련사진 = 431
      • 나. 위령비 내용 = 432
      • 2. 대청도에 세워진 「백호부대 주둔지 현판문」 = 433
      • 가. 관련사진 = 433
      • 나. 현판문 내용 = 434
      • 3. 진중 수필 "옴마이" 1952년 어느 진중 일기 속에서 = 436
      • 4. 진중 수필 "고도에 꽃이 핀다" 1953. 5월 0. 종국 = 439
      • 5. 유격대 활동 및 전우회 활동사진 = 440
      • 가. 유격대 활동(4연대) = 440
      • 나. 유격대 활동(3연대) = 444
      • 다. 전우회 활동 = 445
      • 제3장 유격군 백호부대 주요작전 및 전과, 전사자(위패봉안) 현황, 전우회원명부
      • 제1절 백호유격부대의 주요작전 및 전과 = 451
      • 1. 백호 본연대(Donkey-4연대) 주요작전 및 전과 = 451
      • 2. 백호(동키 3연대) 전과 주요작전 및 전과 = 461
      • 3. 백호부대 연혁 및 전우회 결성과 그 활약 = 469
      • 제2절 백호부대 전사자(348명) = 475
      • 1. 위패 봉안자(336위) = 475
      • 2. 위패 미봉안자(12위) = 498
      • 제3절 백호부대 전우회원(430명) = 499
      • 1. 2004년 2월 현재 = 499
      • 참고문헌 = 525
      • 전우회장 제언 = 529
      • 편집후기 / 박두호[육군 대령] = 5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