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태일, "한국지역문학의 논리" 청동거울 2004
2 박태일, "한국근대문학의 실증과 방법" 소명출판 2004
3 프레드릭 제임슨, "지정학적 미학" 현대미학사 2007
4 콜린 플린트,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길 2007
5 구모룡, "지역문학운동의 과제와 방향 in : 앓는 세대의 문학" 시로 1986
6 이현식, "지역문학과 지역문예지" (상반기) : 2003
7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5
8 최원식, "지방을 보는 눈 in : 생산적 대화를 위하여" 창작과비평사 1997
9 구모룡, "주변부 지역문학의 위상― 20세기 후반 부산지역문학론" (가을) : 2003
10 김병택, "제주현대문학사" 제주대출판부 2005
1 박태일, "한국지역문학의 논리" 청동거울 2004
2 박태일, "한국근대문학의 실증과 방법" 소명출판 2004
3 프레드릭 제임슨, "지정학적 미학" 현대미학사 2007
4 콜린 플린트,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길 2007
5 구모룡, "지역문학운동의 과제와 방향 in : 앓는 세대의 문학" 시로 1986
6 이현식, "지역문학과 지역문예지" (상반기) : 2003
7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5
8 최원식, "지방을 보는 눈 in : 생산적 대화를 위하여" 창작과비평사 1997
9 구모룡, "주변부 지역문학의 위상― 20세기 후반 부산지역문학론" (가을) : 2003
10 김병택, "제주현대문학사" 제주대출판부 2005
11 김동윤, "제주문학론" 제주대출판부 2008
12 아리프 딜릭,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눈뜨기" 창작과비평사 1998
13 C. 노르베르크 슐츠,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14 장석주, "장소의 탄생―우리시의 문학지리학" 작가정신 2006
15 장인성, "장소의 국제정치사상" 서울대출판부 2002
16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 상실" 논형 2005
17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18 악셀 호네트, "인정투쟁" 동녘 1996
19 박태일, "인문학과 지역문학의 발견" 현대문학이론학회 (21) : 113-137, 2004
20 오르한 파묵, "이스탄불" 민음사 2008
21 강상중, "세계화의 원근법" 이산 2004
22 김용규, "세계체제하의 비평적 모색들" (봄) : 2001
23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24 이매뉴얼 월러스틴, "반체제운동" 창작과비평사 1994
25 주디 자일스, "문화학습" 동문선 2003
26 쟝 피에르 바르니에, "문화의 세계화" 한울 2000
27 심승희, "문학지리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13 (13): 2001
28 박현수, "문학의 공간: 공간과 장소의 시적 변증법" (겨울) : 2006
29 이강언, "대구 경북 근대문인연구" 태학사 1999
30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운 1995
31 박태일, "경남부산 지역문학연구 1" 청동거울 2004
32 강희근, "경남문학의 흐름" 보고사 2001
33 남기택, "경계와 소통, 지역문학의 현장" 국학자료원 2007
34 심승희, "‘장소 기억하기’와 장소 만들기‘로서의 문학" (겨울) : 2006
35 Yi-Fu Tuan, "Topophilia-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Prentice-Hall Inc 1974
36 A. Dirlik, "The Postcolonial Aura" Westview Press 1997
37 P. J. Stewart, "Landscape, Memory and History" Pluto Press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