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 = 소통과 공존을 노래한 시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인문학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한 갈등극복과 공존을 위해서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에 부합하면서도 보편적으로 소통 가능한 다문화이론으로서 다문화 시대에 즈음하여 나타나는 사회?문화?정치?경제 등의 제 현상을 인간의 본질과 관련시켜 해명하는 이론적 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문화가 대체로 현상이나 실천의 차원에서 접근해야할 대상이라면, 인문학은 인간의 근원과 본질을 논하는 학문영역이다. 따라서 양자가 결속되는 지점에서 다문화인문학의 가치와 필요성이 자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다문화인문학은 이론과 실천, 본질과 현상이 융합되는 곳이며, 본고는 그 문학적 실천의 방안으로 시조문학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소통과 공존’이 놓여 있다.
      시조는 유학자들의 성리학적 이념의 결과물로서 이것은 조화를 지향하는 의미구조에 반영되어 있고, 이는 다문화(연구)에서 지향하는 공존의 패러다임과 같은 맥락에서 논할 수 있다. 그리고 시조가 갖는 창작 및 연행의 환경은 소통과 맥이 닿아 있기에, 부분적으로나마 시조문학을 ‘소통과 공존’의 문학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시조(연구자)는 시대를 달리하면서 그 시대에 걸맞는 담론을 형성해 왔으며,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가 바로 시조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과 다문화를 직접적으로 시조에 얹어 풀어내고자 한 (현대)시조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조가 갖는 2단의 의미구조, 서로의 뜻을 주고받는 것과 관련을 맺는 시조의 창작 및 연행의 환경을 통해서 상호 소통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문학양식으로서의 시조의 가치와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시조의 가치와 가능성이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살폈다.
      번역하기

      다문화인문학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한 갈등극복과 공존을 위해서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에 부합하면서도 보편적으로 소통 가능한 다문화이론으로서 다...

      다문화인문학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한 갈등극복과 공존을 위해서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에 부합하면서도 보편적으로 소통 가능한 다문화이론으로서 다문화 시대에 즈음하여 나타나는 사회?문화?정치?경제 등의 제 현상을 인간의 본질과 관련시켜 해명하는 이론적 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문화가 대체로 현상이나 실천의 차원에서 접근해야할 대상이라면, 인문학은 인간의 근원과 본질을 논하는 학문영역이다. 따라서 양자가 결속되는 지점에서 다문화인문학의 가치와 필요성이 자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다문화인문학은 이론과 실천, 본질과 현상이 융합되는 곳이며, 본고는 그 문학적 실천의 방안으로 시조문학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소통과 공존’이 놓여 있다.
      시조는 유학자들의 성리학적 이념의 결과물로서 이것은 조화를 지향하는 의미구조에 반영되어 있고, 이는 다문화(연구)에서 지향하는 공존의 패러다임과 같은 맥락에서 논할 수 있다. 그리고 시조가 갖는 창작 및 연행의 환경은 소통과 맥이 닿아 있기에, 부분적으로나마 시조문학을 ‘소통과 공존’의 문학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시조(연구자)는 시대를 달리하면서 그 시대에 걸맞는 담론을 형성해 왔으며,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가 바로 시조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과 다문화를 직접적으로 시조에 얹어 풀어내고자 한 (현대)시조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조가 갖는 2단의 의미구조, 서로의 뜻을 주고받는 것과 관련을 맺는 시조의 창작 및 연행의 환경을 통해서 상호 소통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문학양식으로서의 시조의 가치와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시조의 가치와 가능성이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살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소통과 공존의 시조문학
      • Ⅲ.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으로서의 시조문학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소통과 공존의 시조문학
      • Ⅲ.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으로서의 시조문학
      • Ⅳ. 결론
      • Bibliography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수열, "화응형 시조를 통해 본 반응적 글쓰기의 가능성" 한국언어문학회 (54) : 135-156, 2005

      2 김성문, "시조문학의 가치와 위상, 그리고 세계화 방안 모색" 한국시조학회 (41) : 31-62, 2014

      3 강진구, "다문화 시대와 한국문학 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4 : 7-28, 2010

      4 김성문, "妓女時調의 話者와 作品의 性格 硏究" 중앙어문학회 54 : 257-274, 2013

      5 Lee, C. W.,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Kyungjin 2012

      6 CAU Cultur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nderstanding Multi-Culture-The existential methodology of the subjects and the others, and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Kyungjin 2009

      7 Choi, S. H., "Understanding Multi-Culture-The existential methodology of the subjects and the others, and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Kyungjin 10-28, 2009

      8 Kwon, G. H., "They are both beautiful" Altoran 2011

      9 Park, E. S., "The literary theory of Sijo" Geulengneundeul 2005

      10 Lee, S. H., "Sijosihak" Goyoachim 2010

      1 류수열, "화응형 시조를 통해 본 반응적 글쓰기의 가능성" 한국언어문학회 (54) : 135-156, 2005

      2 김성문, "시조문학의 가치와 위상, 그리고 세계화 방안 모색" 한국시조학회 (41) : 31-62, 2014

      3 강진구, "다문화 시대와 한국문학 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4 : 7-28, 2010

      4 김성문, "妓女時調의 話者와 作品의 性格 硏究" 중앙어문학회 54 : 257-274, 2013

      5 Lee, C. W.,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Kyungjin 2012

      6 CAU Culture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Understanding Multi-Culture-The existential methodology of the subjects and the others, and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Kyungjin 2009

      7 Choi, S. H., "Understanding Multi-Culture-The existential methodology of the subjects and the others, and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Kyungjin 10-28, 2009

      8 Kwon, G. H., "They are both beautiful" Altoran 2011

      9 Park, E. S., "The literary theory of Sijo" Geulengneundeul 2005

      10 Lee, S. H., "Sijosihak" Goyoachim 2010

      11 Kim, S. M., "A Study on style of Sijo" Chung-Ang University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