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샤와르(Peshawar)는 현재 파키스탄 西北邊境州(North West Frontier Province)의 州都이다. 이곳의 옛 지명은 푸루샤푸라(Puruṣapura)로 간다라국(健馱邏國)의 수도였다. 일반적으로 ‘ç간다라(Gandhār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4849
2003년
Korean
간다라 ; 페샤와르 ; 사리바롤 ; 탁티바히 ; 간다라불상 ; 간다라보살상 ; 불전부조 ; Peshawar ; Sahri-Bahlol ; Takht-i-Bh ; Gandh ; ran Buddha Sculpture ; Gandhran Bodhisattva Sculpture ; Relief of Jtaka(Story of the Buddha)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페샤와르(Peshawar)는 현재 파키스탄 西北邊境州(North West Frontier Province)의 州都이다. 이곳의 옛 지명은 푸루샤푸라(Puruṣapura)로 간다라국(健馱邏國)의 수도였다. 일반적으로 ‘ç간다라(Gandhāra)...
페샤와르(Peshawar)는 현재 파키스탄 西北邊境州(North West Frontier Province)의 州都이다. 이곳의 옛 지명은 푸루샤푸라(Puruṣapura)로 간다라국(健馱邏國)의 수도였다. 일반적으로 ‘ç간다라(Gandhāra)’ç라 하면 페샤와르를 중심으로 동서 100킬로미터, 남북 70킬로미터에 걸친 거대한 삼각형 분지의 평야지대를 말하는데, 동쪽으로는 앙베라언덕에서 인더스강, 북쪽으로는 모라, 챠코트, 말라칸드, 서쪽으로는 알렉산더대왕의 루트였던 카이버고개(Khyber Pass)에 이르는 곳이다. 현재의 페샤와르지방, 마르단(Mardan), 스와트(Swat), 디르(Dir) 그리고 파키스탄 북서국경지방에 있는 인더스강 서쪽 기슭의 말라칸드(Malakand) 등을 포함한다. 이 지역은 기후도 좋고 산과 계곡, 강이 어울어진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한다. 간다라는 페샤와르가 중심이지만, 미술사에서 일컫는 간다라지방은 간다라미술양식을 보여주는 탁실라(Taxila), 스와트(Swat), 그리고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의 잘랄라바드(Jalalabad) 등을 포함하는 너른 지역을 일컫는다. 기원후 1세기에 쿠샨왕조의 카드피세스(Kujula Kadphises)왕은 샤카족과 파르티아인들을 격파하고 페샤와르에 도읍을 정했다. 이어서 기원후 2세기초 인도로 진출하였고 카니쉬카 (Kaniṣka) 북인도, 서역을 비롯한 중앙아시아까지 지배하는 거대한 제국으로 등장하였다. 이들 쿠샨인들에 의해 불교가 발전하고, 많은 불탑과 사찰이 건립되고 불상이 탄생하여 불교미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간다라가 최로로 언급된 기록은 기원전 2천년전 아리안의 가장 오래된 책인 리그베다(Ṛgveda)이다. 이 책에 의하면 간다라사람들은 질 좋은 울을 생산하였다고 한다. 서사시대(Epic Age)에 마하바라타(Mahabharata)전쟁에서 싸웠던 쿠루스(Kurus)의 어머니인 간다리(Gandhāri)가 이 지방 출신이다. 아케메니아, 그리스, 로마의 자료들은 간다라가 현재의 북서지방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한편 중국 구법승들의 기록에서도 간다라가 언급되어 있다. 그중 法顯傳의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인데, 간다라를 ‘Ì犍陀衛國’Ì이라 부르며, ‘Ì금은으로 꾸며진 큰 탑이 있고 사람들은 대부분 소승을 배우고 있었다’Ì고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페샤와르(弗樓沙國)에 대해서는 700여명의 승려가 있으며 카니슈카탑과 佛鉢등 간다라국 보다도 상세히 언급하고 있어2) 법현이 이곳을 방문한 402년에 불교의 성행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7세기초 이곳을 방문한 玄奘Ï은 간다라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고 확실하게 언급한다. 大唐西域記에는 ‘Ì健馱邏國은 동서가 1천여리, 남북 8백여리이며, 동은 인더스강을 바라보고 있다. 나라의 대도성은 푸루샤푸라라 하며, 주위가 40여리이다. 왕족은 후사가 끊겨 카피시국에 예속되어 있다. 촌락은 황폐하여 주민은 드물고 궁성의 한 귀통이에 1천 여호가 있을 뿐이다.…… 승가람은 1천여 군데 있으나 부서져 황량하게 내팽개쳐진 채이며 많은 스투파도 파괴되었다.’Ì3)라고 개관하여 한때 천여곳의 가람이 번성하던 간다라는 이때 이미 황폐화되었음을 증명해준다. 페샤와르라는 이름은 페르시아어 Pesh awardan에서 유래되었는데 pesh는 나라(國), awar는 境을 의미하여 ‘½국경의 마을’½이라는 의미이다. 이곳은 파키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에 걸쳐사는 최대 부족인 파탄인의 본거지로, 성곽으로 둘러싸인 舊市街의 바자르에는 파탄인의 찻집과 식당이 있으며 집들도 많은 조각을 붙인 베란다가 있는 파탄풍의 목조건축이 많다. 아직도 좁은 옛길이 남아있는 舊市街의 바자르에는 마차와 자동차가 공존하며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preprint 자료로써 학술지 게재 논문과 페이지 수의 차이가 있습니다. 학술논문발행처와 학술논문정보원은 본 프리프린트에 대한 학술논문의 정보를 입력한 것입니다. 주초록은 본 학술논문...
preprint 자료로써 학술지 게재 논문과 페이지 수의 차이가 있습니다.
학술논문발행처와 학술논문정보원은 본 프리프린트에 대한 학술논문의 정보를 입력한 것입니다.
주초록은 본 학술논문 머리말의 내용을 입력한 것입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간다라의 중심, 페샤와르 Ⅱ. 페샤와르박물관 소장 간다라 조각의 현황과 특징 Ⅲ. 페샤와르박물관 소장 간다라 조각의 형식과 도상 Ⅳ. 페샤와르박물관 소장 간다라 조각의 양식의 ...
Ⅰ. 간다라의 중심, 페샤와르
Ⅱ. 페샤와르박물관 소장 간다라 조각의 현황과 특징
Ⅲ. 페샤와르박물관 소장 간다라 조각의 형식과 도상
Ⅳ. 페샤와르박물관 소장 간다라 조각의 양식의 특징과 변천
Ⅴ. 페샤와르박물관 소장품을 통해 본 간다라 조각 연구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