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어 재귀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8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서의 재귀표현을 바탕으로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재귀구문을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유형론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재귀구문의 발달 정도에 따라 개별언어를 재귀적 언어와 비재귀적 언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러시아어는 재귀구문이 매우 다양하게 발달한 재귀적 언어이다. 러시아어의 재귀표현 수단으로는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 재귀 소유대명사, 재귀 강조대명사,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부사어(구), 상호대명사, “접두사+동사+재귀후치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가 러시아어 재귀표현의 주요 실현수단인데, 특히 재귀대명사에서 기원/파생하여 재귀, 수동, 중간태, 자기사역, 탈대격, 기동, 탈사역, 사역, 상호작용, 총칭적 행위 등의 다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귀후치사 -sja는 러시아어 재귀실현의 핵심수단이다. 그리고 러시아어 재귀후치사 -sja는 주로 타동사와 결합하여 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타동사를 자동사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자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영역의 한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밖에 러시아어 재귀 소유대명사가 남성, 여성, 중성 명사 모두와 고유의 형태로 결합하고, 재귀 대명사가 격변화 패러다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모든 인칭과 수에 동일한 한 가지 형태로 관계하고 여격의 형태로 ‘수혜’ 등의 의미를 실현하며, 강조 재귀사가 별도의 어휘로 따로 존재하고, 재귀후치사 -sja가 그대로 상호성의 표지로 사용되는 점 등도 유형론의 관점에서 볼 때 특이할만하다.
      또한 러시아어는 재귀사와 선행명사와의 결속범위에 있어서 단문의 경우 주어만이 선행사가 될 수 있는 주어 선행형 언어이며, 하나의 단문 안에 공지시 관계가 나타날 경우 반드시 재귀사를 사용해야하는 단문제약과 재귀사와 그 선행사가 동일 절 안에 있어야 하는 동일 절 결속제약을 엄격히 받는 언어이다.
      문법화의 관점에서 볼 때 러시아어의 재귀표지도 대부분의 인도유럽어 재귀표지와 마찬가지로 몸이나 신체부위를 지시하는 명사에서 기원하여 재귀대명사, 접어, 접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 걸쳐서 나타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서의 재귀표현을 바탕으로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재귀구문을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유형론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서의 재귀표현을 바탕으로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재귀구문을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유형론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재귀구문의 발달 정도에 따라 개별언어를 재귀적 언어와 비재귀적 언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러시아어는 재귀구문이 매우 다양하게 발달한 재귀적 언어이다. 러시아어의 재귀표현 수단으로는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 재귀 소유대명사, 재귀 강조대명사,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부사어(구), 상호대명사, “접두사+동사+재귀후치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가 러시아어 재귀표현의 주요 실현수단인데, 특히 재귀대명사에서 기원/파생하여 재귀, 수동, 중간태, 자기사역, 탈대격, 기동, 탈사역, 사역, 상호작용, 총칭적 행위 등의 다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귀후치사 -sja는 러시아어 재귀실현의 핵심수단이다. 그리고 러시아어 재귀후치사 -sja는 주로 타동사와 결합하여 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타동사를 자동사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자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영역의 한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밖에 러시아어 재귀 소유대명사가 남성, 여성, 중성 명사 모두와 고유의 형태로 결합하고, 재귀 대명사가 격변화 패러다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모든 인칭과 수에 동일한 한 가지 형태로 관계하고 여격의 형태로 ‘수혜’ 등의 의미를 실현하며, 강조 재귀사가 별도의 어휘로 따로 존재하고, 재귀후치사 -sja가 그대로 상호성의 표지로 사용되는 점 등도 유형론의 관점에서 볼 때 특이할만하다.
      또한 러시아어는 재귀사와 선행명사와의 결속범위에 있어서 단문의 경우 주어만이 선행사가 될 수 있는 주어 선행형 언어이며, 하나의 단문 안에 공지시 관계가 나타날 경우 반드시 재귀사를 사용해야하는 단문제약과 재귀사와 그 선행사가 동일 절 안에 있어야 하는 동일 절 결속제약을 엄격히 받는 언어이다.
      문법화의 관점에서 볼 때 러시아어의 재귀표지도 대부분의 인도유럽어 재귀표지와 마찬가지로 몸이나 신체부위를 지시하는 명사에서 기원하여 재귀대명사, 접어, 접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 걸쳐서 나타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eflexive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reflexive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reflexive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in Russia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reflexives' development, languag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reflexive and non-reflexive languages. Between them, Russian is a reflexive language in which reflexive construction varies. There are reflexive expression means in Russian: reflexive pronoun, reflexive postfix,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reflexive intensifier, personal and possessive pronoun, adverb, reciprocal, and “prefix+verb+postfix” and the like. The reflexive pronoun and the reflexive postfix “-sja” are main realization means of reflexive construction among them. In particular, the reflexive postfix “-sja”, which derived from the reflexive pronoun “sebja”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imary reflexives, middles, auto-causative, de-accusative, inchoative, de-causative reciprocal, and generic activity, is the core of Russian reflexive realization. And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mostly changes a transitive verb into intransitive in conjunction with a transitive verb. Besides,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also emphasizes the limit of action area if it is combined with an intransitive verb. And in Russian, a subject precedes a reflexive. So Russian is called a Subject-Antecedence language when a subject and a reflexive are coindexed in a sentence. At the same time, Russian is a language that strictly keeps Clause Condition and Clause-Mate Condition.
      Besides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so some characteristics in the view of typology: an inflection of a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in gender, declension of the reflexive pronoun “sebja”, benefactive meaning by the dative form, the existence of separate intensifier, and reciprocal meaning of the reflexive postfix “-sja”.
      In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 Russian reflexive marker has developed step by step from a noun, which derived from body parts, to a reflexive pronoun, clitic, and affix.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eflexive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reflexive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reflexive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eflexive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reflexive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reflexive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in Russia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reflexives' development, languag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reflexive and non-reflexive languages. Between them, Russian is a reflexive language in which reflexive construction varies. There are reflexive expression means in Russian: reflexive pronoun, reflexive postfix,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reflexive intensifier, personal and possessive pronoun, adverb, reciprocal, and “prefix+verb+postfix” and the like. The reflexive pronoun and the reflexive postfix “-sja” are main realization means of reflexive construction among them. In particular, the reflexive postfix “-sja”, which derived from the reflexive pronoun “sebja”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imary reflexives, middles, auto-causative, de-accusative, inchoative, de-causative reciprocal, and generic activity, is the core of Russian reflexive realization. And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mostly changes a transitive verb into intransitive in conjunction with a transitive verb. Besides,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also emphasizes the limit of action area if it is combined with an intransitive verb. And in Russian, a subject precedes a reflexive. So Russian is called a Subject-Antecedence language when a subject and a reflexive are coindexed in a sentence. At the same time, Russian is a language that strictly keeps Clause Condition and Clause-Mate Condition.
      Besides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so some characteristics in the view of typology: an inflection of a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in gender, declension of the reflexive pronoun “sebja”, benefactive meaning by the dative form, the existence of separate intensifier, and reciprocal meaning of the reflexive postfix “-sja”.
      In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 Russian reflexive marker has developed step by step from a noun, which derived from body parts, to a reflexive pronoun, clitic, and affi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기
      • 2. 재귀적 언어와 비재귀적 언어
      • 3. 재귀의 실현형식
      • 4. 러시아어 재귀표현의 실현 양상
      • 국문요약
      • 1. 들어가기
      • 2. 재귀적 언어와 비재귀적 언어
      • 3. 재귀의 실현형식
      • 4. 러시아어 재귀표현의 실현 양상
      • 5. 재귀구문의 용법
      • 6. 재구구문에 대한 그 밖의 연구 주제
      • 7. 마무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Курс общей морфологии" Том II. Москва-Вена 1998

      2 "a Study in Universal Syntax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shed by Garland Publishin Co" 1977/1985

      3 "Verbal reflexives and the middle voice" 916-927, 2001

      4 "The intersection between reflexives and reciprocals: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1-44, 2004

      5 "The Typology of Reflexives" 1987

      6 "The Typology and grammaticalization of reflexives" 103-124, 2000

      7 "Reflexives: Forms and Functions"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0a

      8 "Reflexives Verbs in Swedish" 1970

      9 "Reflexive constructions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2004

      10 "Reciprocals: Forms and Functions"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0b

      1 "Курс общей морфологии" Том II. Москва-Вена 1998

      2 "a Study in Universal Syntax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shed by Garland Publishin Co" 1977/1985

      3 "Verbal reflexives and the middle voice" 916-927, 2001

      4 "The intersection between reflexives and reciprocals: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1-44, 2004

      5 "The Typology of Reflexives" 1987

      6 "The Typology and grammaticalization of reflexives" 103-124, 2000

      7 "Reflexives: Forms and Functions"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0a

      8 "Reflexives Verbs in Swedish" 1970

      9 "Reflexive constructions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2004

      10 "Reciprocals: Forms and Functions"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0b

      11 "Polysemy involving reflexive and reciprocal markers in African languages" 1-30, 2000

      12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Berlin: Walter de Gruyter 20 (20): 2001a

      13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Berlin: Walter de Gruyter 20 (20): 2001b

      14 "Intensifiers and reflexive pronouns" 747-759, 2001

      15 "Intensifier and reflexives: A typological perspective" 41-74, 2000

      16 "Deutsche Grammatik: Ein Handbuch f?r den Ausl?nderunterricht. Eleventh edition" Leipzig: VEB Verlag Enzyklop?die 1996

      17 "Coding of the reciprocal function: Two solutions" 179-194, 2000

      18 "A Student's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1990

      19 "A Grammar of Yagaria"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5

      20 "A Grammar of Supyire"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