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학년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유형 = Characteristics of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of 1st and 2nd Graders with Comorbidities of Reading and Writing Disabilit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1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2학년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유형을 탐색하여 이들의 진단과 중재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2학년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유형을 탐색하여 이들의 진단과 중재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군, 쓰기장애위험군,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집단 간 점수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유형 및 빈도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1학년 256명, 2학년 386명이며 읽기 검사와 쓰기 검사 백분위에 따라 일반군, 쓰기장애위험군,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방법은 일원분산분석(ANOVA)을 활용하여 철자 검사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유형을 하위유형별로 빈도 분석을 활용하여 오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1, 2학년 모두 세 집단의 철자 검사 평균 점수결과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철자 검사의 하위유형별 평균 점수가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유형 분석 결과 1. 2학년 모두 표기처리 오류와 대치 오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쓰기공존장애위험군의 철자오류 특성과 지도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of 1<sup>st</sup> and 2<sup>nd</sup> graders with comorbidities of reading disabilities (RD) and writing disabilities (WD) in order to suggest resources of 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of 1<sup>st</sup> and 2<sup>nd</sup> graders with comorbidities of reading disabilities (RD) and writing disabilities (WD) in order to suggest resources of the spell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1st and 2nd graders with comorbidities of RD-WD. Research questions were 1) to compare the spelling accuracy among the normal group, the group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nd the group at risk for comorbidities of RD-WD; and 2) to compare spelling error patterns of the group at risk for comorbidities of RD-WD. Method: Participants were first graders (n=256) and second graders (n=386). Research methods wer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Results: The spelling accuracy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lling test and the writing test. while the spelling error pattern results showed that the orthographic processing errors and substitution errors had the highest frequenc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of lower graders with comorbidities of RD-WD and spelling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경덕, "후천성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 읽기, 명명, 쓰기 장애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1-20, 2002

      2 이대식, "행복한 교육(2020년 02월 호)"

      3 교육부, "행복한 교육 (2019년 11월 호)"

      4 김애화, "한글의 특성을 반영한 철자 교수가 쓰기장애학생의 겹받침 단어 철자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43-67, 2015

      5 양민화, "한글 철자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의 타당도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61-176, 2016

      6 배소영, "한국 발달성 난독 학생의 해독 및 읽기유창성 발달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272-283, 2017

      7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DSM-5에 기반한)" 학지사 2016

      8 김동일, "학습장애 아동의 진단과 지도를 위한 쓰기 오류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0

      9 김동일, "학습부진아동의 진단과 중재를 위한 쓰기 검사 체제 개발과 타당화" 교육연구소 4 (4): 43-67, 2003

      10 양민화, "학령기 초기 아동의 철자 기술에 미치는 언어학적 인식 능력의 영향력 변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3 (13): 67-90, 2016

      1 조경덕, "후천성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 읽기, 명명, 쓰기 장애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1-20, 2002

      2 이대식, "행복한 교육(2020년 02월 호)"

      3 교육부, "행복한 교육 (2019년 11월 호)"

      4 김애화, "한글의 특성을 반영한 철자 교수가 쓰기장애학생의 겹받침 단어 철자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43-67, 2015

      5 양민화, "한글 철자 발달검사(Korean Developmental Spelling Assessment: KDSA)의 타당도 검증"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61-176, 2016

      6 배소영, "한국 발달성 난독 학생의 해독 및 읽기유창성 발달 특성"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272-283, 2017

      7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DSM-5에 기반한)" 학지사 2016

      8 김동일, "학습장애 아동의 진단과 지도를 위한 쓰기 오류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0

      9 김동일, "학습부진아동의 진단과 중재를 위한 쓰기 검사 체제 개발과 타당화" 교육연구소 4 (4): 43-67, 2003

      10 양민화, "학령기 초기 아동의 철자 기술에 미치는 언어학적 인식 능력의 영향력 변화" 한국학습장애학회 13 (13): 67-90, 2016

      11 신가영, "초등학생의 철자 발달과 오류 패턴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61-72, 2015

      12 김동일, "초등학생 쓰기 능력 진단과 지도를 위한 쓰기 평가와 쓰기 오류 분석" 교육연구소 3 (3): 43-62, 2002

      13 김애화, "초등학교 학생의 철자 특성 연구: 철자 발달 패턴 및 오류 유형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85-113, 2009

      14 김애화, "초등학교 철자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특성 비교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203-223, 2010

      15 김애화,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쓰기장애학생의 철자와 작문 성취도에 대한 예측변인" 한국특수교육학회 52 (52): 263-286, 2018

      16 안성우, "초등학교 1-2학년 받아쓰기 부진 아동의 특성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75-193, 2006

      17 송엽, "초등학교 1, 2학년 언어·읽기부진아동과 정상아동의 해독 및 철자 특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5 (25): 97-107, 2016

      18 김동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학습장애의 공존장애(comorbidity): 현황과 연구전망" 교육연구소 9 (9): 111-147, 2008

      19 김보배, "저학년 난독증 아동의 단어인지와 철자 능력에 대한 자모지식과 음운처리 능력의 영향력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67-85, 2018

      20 김용욱,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단어인지와 철자법 특성 비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63-386, 2015

      21 김애화,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지식, 단기기억, 작동기억과 한글 단어인지 능력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읽기장애 조기선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247-267, 2010

      22 양민화, "음운론적 유형과 형태론적 유형의 초기 철자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 (19): 120-131, 2014

      23 김미배, "유치원, 초등 2·4학년의 낱말재인 및 음운인식 능력"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89-107, 2007

      24 서주영,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99-119, 2015

      25 최승숙, "쓰기부진 학생의 철자쓰기 특성과 중재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7-66, 2010

      26 이재국, "쓰기부진 초등생의 형태소 및 철자지식을 활용한 문장쓰기 중재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39-156, 2015

      27 신성웅, "쓰기 장애 환자와 정상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 특성 비교" 12 (12): 51-70, 2001

      28 김동일,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아동, 읽기ㆍ수학공존학습장애 위험군아동, 일반아동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비교 -수학 인지변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21, 2013

      29 양민화, "문자발달과정을 설명하는 범언어적인 이론과 문자간 철자발달의 비교연구 Review"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63-186, 2006

      30 신수정, "명시적 교수에 기반한 통합파닉스 훈련이 난독증위험학생의 단어재인,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103-134, 2018

      31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32 김동일, "기초학습기능수행평가체제 읽기검사" 학지사 인싸이트 2012

      33 김동일, "기초학습기능수행평가체제 쓰기검사" 학지사 인싸이트 2013

      34 Apel, K, "What is orthographic knowledge?" 42 (42): 592-603, 2011

      35 Castles, A, "The dual route model and the developmental dyslexias" 4 (4): 49-61, 2006

      36 Garcia, N. P, "Predicting poor, average, and superior spellers in grades 1 to 6 from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spelling, or reading composites" 13 (13): 61-98, 2010

      37 Abbott, R. D, "Longitudinal relationships of levels of language in writing and between writing and reading in grades 1 to 7" 102 (102): 281-, 2010

      38 Rapcsak, S. Z, "Do dual-route models accurately predict reading and spelling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acquired alexia and agraphia?" 45 (45): 2519-2524, 2007

      39 Pennington, B. F, "Diagnosing learning disorders:From science to practice" Guilford Publications 2019

      40 Moll, K, "Cognitive risk factors for specific learning disorder : Processing speed, temporal processing, and working memory" 49 (49): 272-281, 2016

      41 Hoy, C, "Assessment : The special educator’s role. pacific grove" Brooks/Cole Publishing Co 1994

      42 Bruck, M, "An analysis of the spelling errors of children who differ in their reading and spelling skills" 9 (9): 77-92, 1988

      43 Berninger, V. W, "A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understanding developmental dyslexia within working-memory architecture : Genotypes, phenotypes, brain, and instruction" 33 (33): 707-744, 2008

      44 김은향, "ADHD 위험군 아동의 쓰기 수행 수준과 오류유형:ADHD와 쓰기학습장애의 공존성 탐색" 한국아동학회 34 (34): 71-86, 2013

      45 McGrath, L. M, "A multiple deficit model of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Searching for shared cognitive deficits" 52 (52): 547-557, 2011

      46 Henderson, E. H,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f formal spelling instruction through alphabet, pattern, and meaning" 86 (86): 305-316,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