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에 관한 연구 -조형성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Humor of Korean Traditional Stone Sculpture - Focusing on the Plastic Natur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5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n the stone sculptures is not carried out while the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are carried out actively for continuous period.
      This is the topics to be discussed that priority of the discussion on aesthetics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beauty o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nalysis of formative meaning shall be based on the humor. In this study¸ the formative meaning of stone sculptures based on the Korean humor. Based on the discussion of beauty and humor, the three meanings on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re derived from as follows:1) Formative meaning 2) expressive meaning and 3) spiritual meaning.
      In this conclusion, the humor appears i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can be understood to be the formative essence. In this regard, un-technical simplicity out of free spirits and indifference out of Korean’s traditional freedom from bondage and emotional natural beauty as well as observation is known to be the basis of formative essence.
      Our original unique cultures maintains its continuous value on the basis of our cultural spirits that is consistent with beauty of emptiness and space, pursuit of direct truth and the spirit of non-technicality. By formatively analyzing the humor of stone sculptures which shows most significantly the humor of Korean culture, reanalysis on the traditional Korean humor and the unique meaning of beauty that has different scale and standard of the beauty of other cultures, we can derive high standard value of beauty to express. This study has the meaning as described above.
      번역하기

      The study on the stone sculptures is not carried out while the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are carried out actively for continuous period. This is the topics to be discussed that priority of the discussion on aesthetics standard. Fo...

      The study on the stone sculptures is not carried out while the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are carried out actively for continuous period.
      This is the topics to be discussed that priority of the discussion on aesthetics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beauty o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nalysis of formative meaning shall be based on the humor. In this study¸ the formative meaning of stone sculptures based on the Korean humor. Based on the discussion of beauty and humor, the three meanings on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re derived from as follows:1) Formative meaning 2) expressive meaning and 3) spiritual meaning.
      In this conclusion, the humor appears i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can be understood to be the formative essence. In this regard, un-technical simplicity out of free spirits and indifference out of Korean’s traditional freedom from bondage and emotional natural beauty as well as observation is known to be the basis of formative essence.
      Our original unique cultures maintains its continuous value on the basis of our cultural spirits that is consistent with beauty of emptiness and space, pursuit of direct truth and the spirit of non-technicality. By formatively analyzing the humor of stone sculptures which shows most significantly the humor of Korean culture, reanalysis on the traditional Korean humor and the unique meaning of beauty that has different scale and standard of the beauty of other cultures, we can derive high standard value of beauty to express. This study has the meaning as described abo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전통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석조 조형물에 대한 조형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미적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우선되어야 할 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미적 해석은 해학성을 그 기준으로 할 때 조형적인 의미 해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해학성을 기조로 하여 석조 조형물의 조형적 의미를 분석 하였다. 한국의 미와 해학성에 대한 논의를 근거로 하여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에 대한 형태적 의미와 표현적 의미, 그리고 정신적 의미 등 세 가지 개념을 추출하여 해학성에 대한 조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한국의 전통 석조 조형물에 나타나는 해학성이 우리 민족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과 원칙으로부터의 무관심으로 일관되는 무기교, 또한 표현의 소박함에서 오는 정감어린 자연미와 관조성이 해학성을 형성시키는 조형적 요소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움과 여백의 미학, 직관적 진리의 추구, 탈기교의 정신으로 일관되는 우리의 예술 정신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우리 민족예술의 독특한 문화의 원형적 요소로서 그 지속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해학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을 조형적으로 해석해 봄으로써 우리의 전통 해학에 대한 재조명과 타민족과 미학적 척도와 기준이 다른 우리민족 만의 특별한 미학적 의미를 찾아내어 조형물 안에 내재된 한국의 해학성에 대한 높은 수준의 미학적 가치를 이끌어내어 시사함에 본 연구의 의미를 부여하겠다.
      번역하기

      한국 전통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석조 조형물에 대한 조형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미적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

      한국 전통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석조 조형물에 대한 조형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미적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우선되어야 할 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미적 해석은 해학성을 그 기준으로 할 때 조형적인 의미 해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해학성을 기조로 하여 석조 조형물의 조형적 의미를 분석 하였다. 한국의 미와 해학성에 대한 논의를 근거로 하여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에 대한 형태적 의미와 표현적 의미, 그리고 정신적 의미 등 세 가지 개념을 추출하여 해학성에 대한 조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한국의 전통 석조 조형물에 나타나는 해학성이 우리 민족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과 원칙으로부터의 무관심으로 일관되는 무기교, 또한 표현의 소박함에서 오는 정감어린 자연미와 관조성이 해학성을 형성시키는 조형적 요소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움과 여백의 미학, 직관적 진리의 추구, 탈기교의 정신으로 일관되는 우리의 예술 정신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우리 민족예술의 독특한 문화의 원형적 요소로서 그 지속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해학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을 조형적으로 해석해 봄으로써 우리의 전통 해학에 대한 재조명과 타민족과 미학적 척도와 기준이 다른 우리민족 만의 특별한 미학적 의미를 찾아내어 조형물 안에 내재된 한국의 해학성에 대한 높은 수준의 미학적 가치를 이끌어내어 시사함에 본 연구의 의미를 부여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권, "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해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101-116, 2006

      2 이명주, "현대 한국건축에 나타나는 전통적 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정아, "해학이 담긴 열린 공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 한국문화교류연구회, "해학과 우리" 시공사 1998

      5 김영기, "한국인의 조형의식" 창지사 1991

      6 김영기, "한국미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7 김민정, "한국 전통성 표현의 현대적 접근방법과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3

      8 교수신문, "우리시대의 미를 논한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9 권영필,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미술사관" 5 (5): 1992

      10 류명걸, "서양과 한국의 미와 예술" 형설출판사 2000

      1 오세권, "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해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101-116, 2006

      2 이명주, "현대 한국건축에 나타나는 전통적 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정아, "해학이 담긴 열린 공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 한국문화교류연구회, "해학과 우리" 시공사 1998

      5 김영기, "한국인의 조형의식" 창지사 1991

      6 김영기, "한국미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7 김민정, "한국 전통성 표현의 현대적 접근방법과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3

      8 교수신문, "우리시대의 미를 논한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9 권영필,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미술사관" 5 (5): 1992

      10 류명걸, "서양과 한국의 미와 예술" 형설출판사 2000

      11 박성재, "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주거의 공간 연계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19-126, 2006

      12 T. W. Adorn, "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4

      13 이상모색, "동양사상과 환경문제" 한국불교환경교육원 1996

      14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6

      15 "http://blog.naver.com"

      16 Gye-BogAhan, "Reading the Humor in Korea Traditional Space"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