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의 회계적 이슈 = Accounting Issues on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69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in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and to analyze the important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plan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pursuit of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t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criteria for different classes and same classes of securities, conversion criteria for price and quantity of securities other than stock, application of first-in/first-out method to transactions within different securities classes, calculation criteria for the same date short-swing profits, settlement of remaining securities after matching, and excluding of loss in short-swing profits calcul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application plans which are relevant to these issues respectively.
      This study might have contributions to accounting research which are to review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from the accounting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the reasonable application plans to accounting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s which are not to analyze the conflicts between law and accounting standards and not to test an empirical analysis of real ca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in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and to analyze the important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B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in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and to analyze the important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plan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pursuit of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t accounting issues related to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criteria for different classes and same classes of securities, conversion criteria for price and quantity of securities other than stock, application of first-in/first-out method to transactions within different securities classes, calculation criteria for the same date short-swing profits, settlement of remaining securities after matching, and excluding of loss in short-swing profits calcul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application plans which are relevant to these issues respectively.
      This study might have contributions to accounting research which are to review the disgorgement of short-swing profits from the accounting point of view and to suggest the reasonable application plans to accounting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s which are not to analyze the conflicts between law and accounting standards and not to test an empirical analysis of real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 증권거래법에서 1934년에 도입되고, 우리나라 증권거래법에서 1976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 2009년에 도입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는 내부자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안전장치이다.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는 징벌적 성격을 지닌 적극적 규제이기 때문에, 이 제도 유지의 타당성과 규제방안 설계에 관한 법리적 연구는 많이 존재하나, 이 제도의 규제방안 설계에서 발생하는 재무․회계적인 이슈들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내부자거래로 인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를 살펴보고 이 제도와 관련된 중요한 회계적 이슈들을 분석하여 실무 적용에 타당한 방안을 강구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서 생기는 이슈들 중 이종종목 및 이종증권의 구분기준, 주식외 특정증권의 수량과 가격 환산기준, 이종증권 거래에 대한 선입선출법의 적용, 동일한 날짜 거래의 매매차익 산정기준, 매매대응 후 발생한 특정증권의 잔량 처리방법, 차익 산정시 손실액 반영 여부 등을 재무․회계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각각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실무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회계 영역외의 분야라고 여겨지던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를 기존의 법리적인 측면이 아닌 회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하여 회계 실무, 회계 정책에 적용하는 데 타당한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법률과 회계기준과 상충되는 부분에 대하여 접근하지 못하였고, 실제 사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지 못하여 연구의 강건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한계점들은 후속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극복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미국 증권거래법에서 1934년에 도입되고, 우리나라 증권거래법에서 1976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 2009년에 도입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는 내부자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도...

      미국 증권거래법에서 1934년에 도입되고, 우리나라 증권거래법에서 1976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서 2009년에 도입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는 내부자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안전장치이다.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는 징벌적 성격을 지닌 적극적 규제이기 때문에, 이 제도 유지의 타당성과 규제방안 설계에 관한 법리적 연구는 많이 존재하나, 이 제도의 규제방안 설계에서 발생하는 재무․회계적인 이슈들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내부자거래로 인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를 살펴보고 이 제도와 관련된 중요한 회계적 이슈들을 분석하여 실무 적용에 타당한 방안을 강구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서 생기는 이슈들 중 이종종목 및 이종증권의 구분기준, 주식외 특정증권의 수량과 가격 환산기준, 이종증권 거래에 대한 선입선출법의 적용, 동일한 날짜 거래의 매매차익 산정기준, 매매대응 후 발생한 특정증권의 잔량 처리방법, 차익 산정시 손실액 반영 여부 등을 재무․회계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각각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실무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회계 영역외의 분야라고 여겨지던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를 기존의 법리적인 측면이 아닌 회계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하여 회계 실무, 회계 정책에 적용하는 데 타당한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법률과 회계기준과 상충되는 부분에 대하여 접근하지 못하였고, 실제 사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지 못하여 연구의 강건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한계점들은 후속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극복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영, "포괄손익의 보고방식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손익을 중심으로" 대한회계학회 18 (18): 101-118, 2013

      2 성희활, "증권거래법상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서적용제외사유의 문제" 법조협회 56 (56): 180-222, 2007

      3 성희활, "자본시장법상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 관한 고찰 -체계 변화에 대한 평가와 향후 개선방향 고찰-" 한국증권법학회 12 (12): 285-312, 2011

      4 김홍기, "자본시장법상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와 향후 운용방향에 대한 검토 - 대법원 2010.8.19. 선고 2007다66002 판결의 평석을 겸하여 -" 한국상사법학회 30 (30): 185-222, 2012

      5 이철송, "유가증권의 단기매매차익 반환과 정보이용의 중요성" 한국증권법학회 5 (5): 171-194, 2004

      6 김길훈, "유가증권 회계처리와 이익조정" 대한회계학회 11 (11): 229-246, 2006

      7 김상철, "유가증권 평가손익과 처분손익의 주가관련성" 한국회계학회 27 (27): 117-138, 2002

      8 송인만, "유가증권 시가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회계학회 25 (25): 1-27, 2000

      9 임종옥,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이용한 이익관리의 증거" 한국국제회계학회 (51) : 265-288, 2013

      10 성희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서 이종증권간 차익산정의 문제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업법학회 25 (25): 9-35, 2011

      1 장지영, "포괄손익의 보고방식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손익을 중심으로" 대한회계학회 18 (18): 101-118, 2013

      2 성희활, "증권거래법상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서적용제외사유의 문제" 법조협회 56 (56): 180-222, 2007

      3 성희활, "자본시장법상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 관한 고찰 -체계 변화에 대한 평가와 향후 개선방향 고찰-" 한국증권법학회 12 (12): 285-312, 2011

      4 김홍기, "자본시장법상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와 향후 운용방향에 대한 검토 - 대법원 2010.8.19. 선고 2007다66002 판결의 평석을 겸하여 -" 한국상사법학회 30 (30): 185-222, 2012

      5 이철송, "유가증권의 단기매매차익 반환과 정보이용의 중요성" 한국증권법학회 5 (5): 171-194, 2004

      6 김길훈, "유가증권 회계처리와 이익조정" 대한회계학회 11 (11): 229-246, 2006

      7 김상철, "유가증권 평가손익과 처분손익의 주가관련성" 한국회계학회 27 (27): 117-138, 2002

      8 송인만, "유가증권 시가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회계학회 25 (25): 1-27, 2000

      9 임종옥,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이용한 이익관리의 증거" 한국국제회계학회 (51) : 265-288, 2013

      10 성희활,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에서 이종증권간 차익산정의 문제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업법학회 25 (25): 9-35, 2011

      11 김길훈, "금융업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회계처리의 타당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 23 (23): 2465-2482, 2010

      12 문현주, "국내은행들의 유가증권처분을 이용한 이익재량성 활용여부" 대한경영학회 18 (18): 739-75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1-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회계학회 -> 한국회계정책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ACCOUNTING -> Korean Association for Accounting and Policy
      KCI등재
      2018-11-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회계연구 -> 회계와 정책연구
      외국어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Accounting -> Review of Accounting and Polic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3 2.03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