茶山은 性은 마음의 嗜好하는 바이다는 性嗜好說을 주장하면서 인간이 태생적으로 가지게 되는 하나의 ‘性向’을 ‘嗜好’라고 하여 人性을 動態的인 可變性의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茶山은 性은 마음의 嗜好하는 바이다는 性嗜好說을 주장하면서 인간이 태생적으로 가지게 되는 하나의 ‘性向’을 ‘嗜好’라고 하여 人性을 動態的인 可變性의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즉,...
茶山은 性은 마음의 嗜好하는 바이다는 性嗜好說을 주장하면서 인간이 태생적으로 가지게 되는 하나의 ‘性向’을 ‘嗜好’라고 하여 人性을 動態的인 可變性의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즉, 人性이 善惡을 띠는 것은 하나의 嗜好, 즉 傾向性일 뿐 人性 자체가 仁義禮智의 작용을 반드시 수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茶山의 性嗜好說은 기존의 人性論과는 근본적으로 그 대상과 관점을 달리하는 독창적인 人性論이다. 특히 그의 人性論은 인간이 自主的 選擇權을 가진 존재이므로 마음을 어떻게 가지느냐에 따라 善할 수도 있고 惡할 수도 있다고 人性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茶山도 역시 孟子가 대상으로 한 當爲的․社會的 존재로서의 인간이 性善이다는 논리와 그 궤를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性善이 아니라고 하면서 性善이 내재한다는 논리에 귀착되기 때문에 이를 ‘性善的 矛盾’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an argued the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Favorite(嗜好); Seong(性) is Favorite of mind, and said that inherent ‘propensity’ is ‘favorite’ in human, he get at the human nature which is the presence of the variability and dynamics. I...
Dasan argued the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Favorite(嗜好); Seong(性) is Favorite of mind, and said that inherent ‘propensity’ is ‘favorite’ in human, he get at the human nature which is the presence of the variability and dynamics. In other words, the human nature is only a sort of Favorite or propensity with a good and evil, it is not necessarily entail human nature itself to action of generosity(仁) Justice(義) Courtesy(禮) wisdom(智). Therefore, hi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avorite is fundamentally unique human nature theory that distinguished between its theory in the target and the point of view. In particular, as his human nature theory is human get at with independently options, his human nature theory get at which humans can be done a good or evil by the mind. However, said that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avorite in Dasan is no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because it resulted to be logic that it implied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it can be described as contradiction of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환,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9-40, 2012
2 양근석, "한국사상과 민본정치이념"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7-, 2007
3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125-166, 2009
4 정천구, "제2장 불교와 한국의 국가"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47-86, 2009
5 정경환,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4 (4): 9-44, 2010
6 백민정, "정약용의 철학" (주)이학사 2008
7 김진윤,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 경북의 整體性과 새마을정신의 연관성 맥락에서 -"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107-137, 2012
8 장복동, "다산의 실학적 인간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02
9 조찬래, "고대정치철학에서 인간본성의 이해"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175-192, 2011
10 安秉萬, "韓國의 政治文化, In 韓國政府論" 茶山出版社 1993
1 정경환, "한국사상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9-40, 2012
2 양근석, "한국사상과 민본정치이념" 한국민족사상학회 (창간) : 27-, 2007
3 김강녕, "제4장 유학사상의 전래와 변천"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125-166, 2009
4 정천구, "제2장 불교와 한국의 국가" 한국민족사상학회 3 (3): 47-86, 2009
5 정경환,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4 (4): 9-44, 2010
6 백민정, "정약용의 철학" (주)이학사 2008
7 김진윤,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 경북의 整體性과 새마을정신의 연관성 맥락에서 -"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107-137, 2012
8 장복동, "다산의 실학적 인간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02
9 조찬래, "고대정치철학에서 인간본성의 이해" 한국정치정보학회 14 (14): 175-192, 2011
10 安秉萬, "韓國의 政治文化, In 韓國政府論" 茶山出版社 1993
11 朴忠錫, "韓國政治思想史" 三英社 2002
12 김진윤, "韓國思想의 源流와 그 正體性"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41-64, 2012
13 劉明鍾, "韓國古代儒學의 性格, In 韓國儒學硏究" 以文出版社 1988
14 尹絲淳, "韓國儒學思想論" 열음사 1986
15 "論語"
16 "荀子"
17 李乙浩, "茶山經學思想硏究" 乙酉文化社 1985
18 金相洪, "茶山學硏究" 啓明出版社 1990
19 장승희, "茶山 倫理思想 硏究" 경인문화사 2005
20 "與猶堂全書 全21冊" 驪江出版社 1986
21 "與猶堂全書 1-6" 景仁文化社 1982
22 김진윤, "孟子의 當爲的 性善과 告子의 存在的 無性善" 대한정치학회 9 (9): 2001
23 "孟子"
24 "大學"
25 崔根德, "儒敎와 敎育, In 韓國儒學思想硏究" 철학과현실사 1992
26 方浩范, "儒學과 丁若鏞의 哲學思想" 한국학술정보 2004
27 陳立夫, "人理學, In 中國哲學의 人間學的 理解" 民知社 1983
28 "中庸"
29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11&docId=383406&qb=7JWE66as7Iqk7Yag7YWU66CI7IqkIOygleyLo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
제4장 茶山 丁若鏞의 정치사상- 균민(均民)적 개혁정치의 현대적 함의-
제6장 남명 조식의 선비정신과 출처관-현대 지식인에 주는 교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