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성변이형의 어휘표상: 한국어 동화현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7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음운현상과 수의적으로 적용되는 음운현상에서 발생하는 음성변이형이 심성어휘집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저장되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음운론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된다고 기술하고 있는 ‘비음(동)화’ 현상과 수의적인 음운현상으로 알려진 ‘조음위치동화’ 현상을 대상으로 장기 반복점화 (long-term repetition priming)와 따라하기 (shadowing) 과제를 결합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인 원어민 화자들은 3가지 점화 조건에 따라 제시된 단어들을 동화가 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따라하였으며, 반응시간이 측정되었다. 실험결과를 보면, 비음화와 조음위치동화 모두 동화가 일어난 토큰보다 동화가 일어나지 않은 토큰을 따라할 때 반응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의적인 음운현상의 경우에도 동화가 일어난 경우가 기저형의 경우보다 처리하기 쉽고 빠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최근 일련의 심리언어학자들 (Connine, 2004; Connine & Pinnow, 2006; Ranbom & Connine, 2007; Bürki, Ernestus, & Frauenfelder, 2010; Bürki, Alario, & Frauenfelder, 2011)이 빈도수가 높은 음성변이형은 심성어휘집에 저장이 되어서 처리가 수월해진다고 주장한 가설은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음운현상과 수의적으로 적용되는 음운현상에서 발생하는 음성변이형이 심성어휘집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저장되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음운현상과 수의적으로 적용되는 음운현상에서 발생하는 음성변이형이 심성어휘집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저장되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음운론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된다고 기술하고 있는 ‘비음(동)화’ 현상과 수의적인 음운현상으로 알려진 ‘조음위치동화’ 현상을 대상으로 장기 반복점화 (long-term repetition priming)와 따라하기 (shadowing) 과제를 결합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인 원어민 화자들은 3가지 점화 조건에 따라 제시된 단어들을 동화가 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따라하였으며, 반응시간이 측정되었다. 실험결과를 보면, 비음화와 조음위치동화 모두 동화가 일어난 토큰보다 동화가 일어나지 않은 토큰을 따라할 때 반응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길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의적인 음운현상의 경우에도 동화가 일어난 경우가 기저형의 경우보다 처리하기 쉽고 빠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최근 일련의 심리언어학자들 (Connine, 2004; Connine & Pinnow, 2006; Ranbom & Connine, 2007; Bürki, Ernestus, & Frauenfelder, 2010; Bürki, Alario, & Frauenfelder, 2011)이 빈도수가 높은 음성변이형은 심성어휘집에 저장이 되어서 처리가 수월해진다고 주장한 가설은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xical representation of phonological variants derived from optional vs. obligatory phonological processes. Given that place assimilation is optionally processed, whereas nasal assimilation is obligatory in Korean, a long-term repetition priming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hadowing task. Korean speakers shadowed words containing either assimilated or unassimilated consonants in three priming conditions and their shadow responses were evaluated. It was shown that in both place and nasal assimilations, shadowing latencies for unassimilated stimuli were longer than those for assimilated stimuli in the mismatched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in the optional assimilation, assimilated variants were processed more easily and faster than the canonical variants. The present results argue against the frequency-based account of multiple lexical representation (Connine, 2004; Connine & Pinnow, 2006; Ranbom & Connine, 2007; Bürki, Ernestus, & Frauenfelder, 2010; Bürki, Alario, & Frauenfelder, 2011).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xical representation of phonological variants derived from optional vs. obligatory phonological processes. Given that place assimilation is optionally processed, whereas nasal assimilation is obligatory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xical representation of phonological variants derived from optional vs. obligatory phonological processes. Given that place assimilation is optionally processed, whereas nasal assimilation is obligatory in Korean, a long-term repetition priming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hadowing task. Korean speakers shadowed words containing either assimilated or unassimilated consonants in three priming conditions and their shadow responses were evaluated. It was shown that in both place and nasal assimilations, shadowing latencies for unassimilated stimuli were longer than those for assimilated stimuli in the mismatched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in the optional assimilation, assimilated variants were processed more easily and faster than the canonical variants. The present results argue against the frequency-based account of multiple lexical representation (Connine, 2004; Connine & Pinnow, 2006; Ranbom & Connine, 2007; Bürki, Ernestus, & Frauenfelder, 2010; Bürki, Alario, & Frauenfelder,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