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교사상의 거버넌스에의 실제 효용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소고 =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governanc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3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환경, 재난, 복지와 같은 ‘고약한 문제(wicked problem)’와 집합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를 해결하는데 국가 주도적 방식이나 시장 주도적인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

      오늘날 환경, 재난, 복지와 같은 ‘고약한 문제(wicked problem)’와 집합행동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를 해결하는데 국가 주도적 방식이나 시장 주도적인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거버넌스적 사고와 접근방식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서구사회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과 맥락속에서 발전해온 거버넌스 이론과 접근방식이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한국사회의 맥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유교사상은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인의 가치관과 태도, 의식 구조, 행동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거버넌스의 실제 운영과 관리에 있어 유교사상의 긍정적 측면과 주의할 측면 모두를 고찰하고자 한다. 어떤 사상, 철학, 종교에서든 현실문제에 참여하고 적용하는데 어두운 면과 밝은 면, 즉 긍정적인 요소와 주의 해야할 요소 모두를 갖기 마련이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 거버넌스 체제 구축 및 운영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유교사상이 내포하고 있는 긍정적 요소들은 적극 고양하는 한편, 주의를 요하는 요소들은 미연에 예방하려는 노력이 개진되어야 할 것이다. 유교사상의 긍정적인 요소로는 유교 공동체주의, 수신론(修身論) ? 특히 성찰성(reflexivity) 및 숙의성(deliberativeness), 자발성(volunteerism) 및 공적 책임성, 공공부문 근무동 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 중용사상(中庸思想), 화이부동(和而不同), 소통(疏通) 및 소통의 정치, 공론(公論) 및 공론정치(公論政治)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교사상에 있어 차등적 인간관계론 및 세계 관, 공사관(公私觀)에서 공(公)과 사(私)의 불명확한 경계, 정명사상(正名思想) 및 예사상(禮思想) 등은 거버 넌스의 체제 구축과 실제 운영과정에서 양면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주의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both government-centered and market-centered approaches in solving “wicked” and collective actionproblems. But since the concept and system of governance has been developed i...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both government-centered and market-centered approaches in solving “wicked” and collective actionproblems. But since the concept and system of governance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there have been increasing doubts about whether the governance system can be successfull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Through its long history, Confucianism has had great influence on Koreans`` attitude and behavior. Thus it is worthwhile to more carefully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thought and governance. Confucian communitarianism possesses rich elements of both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anism. Confucian self-discipline(修身論, susinron) has such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as 1)reflexivity and deliberativeness, 2)voluntarism and public responsibility, and 3)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In addition, Confucian concepts such as 1)golden mean(中庸, jungyong), 2)respect for diversity and heterogeneity(和而不同, hwaibudong), 3)communication(疏通, sotong), and 4)public discussion(公論, gongron)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overnance system in Korean society. But some other elements in Confucian though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governance system. Examples are 1)no distinct lin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 2)human relations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value, 3)Confucian rectification of names(正名思想, jeongmyung), and 4) great emphasis on formality(禮, ye). In particular, when there is no distinct lin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heres,governance can be misused for attainingprivate goals and interests and thus lead to favoritism, corruption and nepotism. Human relations on the basis of differential value can also promote “bonding social capital” but impede“bridging social capita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 한국국정관리학회 20 (20): 23-53, 2010

      2 소명진,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정부학연구소 9 (9): 1-22, 2003

      3 백완기, "한국행정과 공공성" 서울행정학회 18 (18): 1-22, 2007

      4 박재창, "한국의 거버넌스" 아르케 2010

      5 공동성, "한국거버넌스 사례연구" 대영출판사 2015

      6 박경리, "토지(1부 4권)" ㈜나남출판 2005

      7 정문기, "지역경제개발의 협력거버넌스" 한국행정학회 43 (43): 229-259, 2009

      8 이승률, "중・일엔 없는 선비의 공론정치, 조선500년 버틴 힘인가.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한국문화대탐사" 중앙SUNDAY

      9 최상용, "중용의 정치사상" 까치글방 2012

      10 심범섭, "중용 : 공존과 소통 그리고 인성을 세우는 진리" 평단문화사 2014

      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 한국국정관리학회 20 (20): 23-53, 2010

      2 소명진, "행정학의 위기와 공공성 문제" 정부학연구소 9 (9): 1-22, 2003

      3 백완기, "한국행정과 공공성" 서울행정학회 18 (18): 1-22, 2007

      4 박재창, "한국의 거버넌스" 아르케 2010

      5 공동성, "한국거버넌스 사례연구" 대영출판사 2015

      6 박경리, "토지(1부 4권)" ㈜나남출판 2005

      7 정문기, "지역경제개발의 협력거버넌스" 한국행정학회 43 (43): 229-259, 2009

      8 이승률, "중・일엔 없는 선비의 공론정치, 조선500년 버틴 힘인가. 중앙SUNDAY-아산정책연구원 공동기획. 한국문화대탐사" 중앙SUNDAY

      9 최상용, "중용의 정치사상" 까치글방 2012

      10 심범섭, "중용 : 공존과 소통 그리고 인성을 세우는 진리" 평단문화사 2014

      11 나종석, "주희의 공(公) 개념과 유교적 공공성(公共性) 이론에 대한 연구" 국학연구원 (164) : 3-28, 2013

      12 박현모, "조선왕조의 장기지속성(Longevity) 요인 연구 1: 공론정치(公論政治)를 중심으로" 30 (30): 31-61, 2004

      13 김영주,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의 권당(捲堂)·공관(空館) 연구 : 개념과 기원, 절차와 군주의 대응, 현황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253-298, 2008

      14 배수호, "정책사례 연구" 대영문화사 2014

      15 유재원,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한국행정학회 39 (39): 41-63, 2005

      16 연합뉴스, "재벌 딸 갑질로 시작된 ‘땅콩회항’ 사건 전말 169일"

      17 나종석,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답을 줄 수 있는가" 도서출판 혜안 242-270, 2014

      18 나종석,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도서출판 혜안 156-188, 2014

      19 조경란,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 혜안 135-155, 2014

      20 김상묵, "유학사상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 경인행정학회 12 (12): 79-98, 2012

      21 배수호, "유학(儒學)의 수신론(修身論) 관점에서 바라본 생태적 의식 전환 및 실천에 관한 소고 : 행정학적 함의를 찾아서" 한국행정학회 47 (47): 1-22, 2013

      22 배수호, "유학(儒學)에서의 공공성 논의: 행정학 맥락에서 이해하기" 한국행정학회 48 (48): 75-98, 2014

      23 이승환, "유교전통에서 본 ‘소통의 정치.’" 22 : 83-100, 2011

      24 박영도, "유교적공공성과 타자" 도서출판 혜안 19-46, 2014

      25 백민정,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 도서출판 혜안 145-182, 2014

      26 배병삼, "유교의 공과 사" 14 : 95-120, 2013

      27 김영평, "유교문화의 두 모습 : 한・중 공무원 비교를 통한 아시아적 가치 탐구" 고려대학교 아시아문제연구소 아연출판부 2004

      28 이승환, "유교 담론의 지형학. 경기도" ㈜도서출판 푸른숲 2004

      29 배병삼, "우리에게 유교란 무엇인가" 녹색평론사 2012

      30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09

      31 윤무학, "순자: 통일제국을 위한 비판철학자" 성균관대출판부 2010

      32 홍성만, "숙의거버넌스와 합의형성 제도설계: 시화지역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7 (47): 21-46, 2009

      33 배수호, "수자원관리정책을 위한 물의 은유와 상징: 『맹자』의 물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329-352, 2015

      34 문태훈, "송산그린시티 시화지속협의회 활동 조사연구" 한국수자원공사 2010

      35 유권종, "생태주의와 유교 생명주의" 125-140, 2011

      36 杜維明, "문명들의 대화"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06

      37 최준식, "무교: 권력에 밀린 한국인의 근본신앙"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9

      38 황종원, "맹자의 “行其所無事” 원칙과性論에 대한 생태 철학적 접근" 동양철학연구회 (50) : 253-286, 2007

      39 이기동, "맹자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40 이기동, "대학・중용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41 김석준, "뉴 거버넌스 연구" 대영출판사 2000

      42 이기동, "논어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43 황금중, "교적 공공성과 타자" 도서출판 혜안 47-82, 2014

      44 최화인, "공직윤리와 충(忠)" 한국행정학회 49 (49): 1-24, 2015

      45 정경환, "공자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3 (3): 29-59, 2010

      46 채장수, "공공성의 한국적 현재성: 상황과 의미" 21세기정치학회 19 (19): 47-70, 2009

      47 임의영,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정부학연구소 9 (9): 2-50, 2003

      48 조승래, "공공성담론의 지적계보 : 자유주의를 넘어서" 서강대학교출판부 2014

      49 유재원, "계층제, 시장, 네트워크: 서울시 구청조직의 거버넌스 실태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42 (42): 191-213, 2008

      50 이명석, "거버넌스의개념화:‘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한국행정학회 36 (36): 321-338, 2002

      51 이승종, "거버넌스와 시민참여. 국정관리연구" 1 (1): 64-82, 2006

      52 정용덕, "거버넌스와 국가 역량. 국정관리연구" 1 (1): 9-35, 2006

      53 이명석, "거버넌스에서 정부로?: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6 (16): 195-220, 2006

      54 김용재, "東洋思想과 普遍主義 가치관 - 儒敎에서의 調和와 中庸 -" 한국유교학회 (20) : 213-250, 2004

      55 이종수, "官僚病의 梧里淸廉 스토리텔링 힐링" 퇴계연구소 (56) : 241-278, 2015

      56 최일범, "儒敎의 自我와 修養" 한국유교학회 (38) : 165-192, 2009

      57 김종균, "『맹자』에 나타난 물(水)의 상징성 연구" 한국철학사연구회 (40) : 247-272, 2014

      58 Rhodes, R. A. W., "Understanding Governance" Open University Press 1997

      59 Jessop, B.,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 Macmillan 11-32, 2000

      60 Vandenabeele, W.,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Perspective: The UK and Germany" 21 (21): 13-31, 2006

      61 Kooiman, J., "Modern Governance: New Governance Society" Sage 1993

      62 Kooiman, J., "Meta-governance: Values, Norms and Principles, and the Making of Hard Choices" 87 (87): 819-836, 2009

      63 Sørensen, E., "Making Governance Networks Effective and Democratic through Metagovernance" 87 (87): 234-258, 2009

      64 Whitehead, M., "In the Shadow of Hierarchy: Meta-governance, Policy Reform and Urban Regeneration in the West Midlands" 35 (35): 6-14, 2003

      65 Kooiman, J., "Governing as Governance" Sage 2003

      66 Pierre, J., "Governance, Politics, and the State" Macmillan Press Ltd 2000

      67 Stoker, G.,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50 (50): 17-28, 1998

      68 Granovetter, M.,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 91 (91): 481-510, 1985

      69 Prerre, J., "Debating Governance: Authority, Steering,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70 Tu Weiming., "Confucianism and Ecology: The Interrelation of Heaven, Earth, and Huma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71 Gittell, R. J., "Community Organizing: Building Social Capital as A Development Strategy" Sage 1998

      72 Beetham, D., "Bureaucracy" Open University Press 1996

      73 Kim, S., "A Strategy for Build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earch Internationally" 70 (70): 701-709,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2 1.82 1.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8 2.13 2.16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