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이 귀인과 과제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14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귀인성향과 과제 지속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G 교육대학교 학생 482명(남:192, 여:290)을 대상으로 암묵적 믿음 척도, 결과기대, 자기효능감 척도, 귀인척도 및 과제지속행동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로는 암묵적 믿음 중 고정믿음과 과제 지속행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귀인성향에는 성별 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증가믿음을 가진 학습자는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과제 지속행동이 고정믿음을 가진 학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능력에 귀인하는 경향이 높고, 낮을수록 노력에 귀인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과제지속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가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과제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과에 대한 귀인성향에 따른 과제 지속행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귀인성향과 과제 지속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G 교육대학교 학생 482명(남:192, 여:290)을 대상으로 암묵적 믿...

      이 연구는 체육수업에서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귀인성향과 과제 지속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G 교육대학교 학생 482명(남:192, 여:290)을 대상으로 암묵적 믿음 척도, 결과기대, 자기효능감 척도, 귀인척도 및 과제지속행동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별로는 암묵적 믿음 중 고정믿음과 과제 지속행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귀인성향에는 성별 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증가믿음을 가진 학습자는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과제 지속행동이 고정믿음을 가진 학습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능력에 귀인하는 경향이 높고, 낮을수록 노력에 귀인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과제지속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증가믿음,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이 과제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과에 대한 귀인성향에 따른 과제 지속행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influence of implicit beliefs, expectancy, and self-efficacy on attribution and task persistence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are 482(men: 192, women: 29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 G university.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implicit beliefs scale which is made by Biddle et al.(2003), expectancy and self-efficacy scale which is made by Pintrich et al.(1991), attribution scale which is made by Weiner(1986), and task persistence scale which is made by Park(2010). In the analysis t-test, women show higher entity beliefs and task persistence those of men, but men show higher expectancy and self-efficacy than those of women. Students who have incremental beliefs show higher expectancy, self-efficacy and task persistence than the students who have entity beliefs. I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variables, students who have higher expectancy and self-efficacy attribute as ability but students who have lower expectancy and self-efficacy attribute as effort. In the analysis of regression, incremental beliefs, expectancy and self-efficacy have effect on the task persistence but attribution has no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influence of implicit beliefs, expectancy, and self-efficacy on attribution and task persistence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are 482(men: 192, women: 29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influence of implicit beliefs, expectancy, and self-efficacy on attribution and task persistence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are 482(men: 192, women: 29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 G university.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implicit beliefs scale which is made by Biddle et al.(2003), expectancy and self-efficacy scale which is made by Pintrich et al.(1991), attribution scale which is made by Weiner(1986), and task persistence scale which is made by Park(2010). In the analysis t-test, women show higher entity beliefs and task persistence those of men, but men show higher expectancy and self-efficacy than those of women. Students who have incremental beliefs show higher expectancy, self-efficacy and task persistence than the students who have entity beliefs. I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variables, students who have higher expectancy and self-efficacy attribute as ability but students who have lower expectancy and self-efficacy attribute as effort. In the analysis of regression, incremental beliefs, expectancy and self-efficacy have effect on the task persistence but attribution has no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중길, "학생-운동선수의 스포츠 능력믿음과 성취목표 및 행동조절의 구조적 관계: 3가지 동기이론의 관점"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03-130, 2010

      2 박중길, "통제-가치 이론을 이용한 학생의 성취정서 이해: 체육수업에서 동기적 믿음의 역할"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153-169, 2011

      3 김인수, "초등학생의 운동가치인식과 동기분위기 및 운동행동조절이 운동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51-67, 2012

      4 송춘현,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가치와 유능감지각, 성취목표 및 수업몰입 간 인과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99-212, 2013

      5 박중길, "체육수업에서 학업적-사회적 성취목표가 과제 지속에 미치는 매개 및 중재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57-171, 2010

      6 박중길, "체육수업에서 과제가치, 성취목표, 정서 및 과제 지속성과의 인과적 관계: 다중매개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71-90, 2010

      7 박중길, "체육수업 과제 지속행동의 결정요인: 사회인지적 동기와 정서 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21-40, 2012

      8 이혜선, "운동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성취목표성향, 자기조절동기 및 운동몰입 간의 관계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67-185, 2013

      9 이강우, "대학생의 교양체육수업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27-137, 2014

      10 엄성호, "교사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의 체육 내적동기"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7-36, 2003

      1 박중길, "학생-운동선수의 스포츠 능력믿음과 성취목표 및 행동조절의 구조적 관계: 3가지 동기이론의 관점"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03-130, 2010

      2 박중길, "통제-가치 이론을 이용한 학생의 성취정서 이해: 체육수업에서 동기적 믿음의 역할"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153-169, 2011

      3 김인수, "초등학생의 운동가치인식과 동기분위기 및 운동행동조절이 운동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51-67, 2012

      4 송춘현,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가치와 유능감지각, 성취목표 및 수업몰입 간 인과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99-212, 2013

      5 박중길, "체육수업에서 학업적-사회적 성취목표가 과제 지속에 미치는 매개 및 중재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57-171, 2010

      6 박중길, "체육수업에서 과제가치, 성취목표, 정서 및 과제 지속성과의 인과적 관계: 다중매개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71-90, 2010

      7 박중길, "체육수업 과제 지속행동의 결정요인: 사회인지적 동기와 정서 모형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21-40, 2012

      8 이혜선, "운동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성취목표성향, 자기조절동기 및 운동몰입 간의 관계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67-185, 2013

      9 이강우, "대학생의 교양체육수업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127-137, 2014

      10 엄성호, "교사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의 체육 내적동기"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17-36, 2003

      11 Gao, Z., "Understanding students; motivation in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 From the expectancy-value model and self-efficacy theory perspectives" 60 : 236-254, 2008

      12 Wigfield, A.,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 : A theoretical analysis" 12 : 59-68, 1992

      13 Pekrun, R.,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18 : 315-341, 2006

      14 Nicaise, V.,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feedback and physical competence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Gender effects" 25 (25): 36-57, 2006

      15 Hrider, F., "Social perceptions and phenomenal causality" 51 : 358-374, 1958

      16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17 Ommundsen, Y., "Sel f-handicapping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 clesses : Theinfluence of implicity theories of the nature of abilit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2 : 139-156, 2001

      18 Williams, D. M., "Outcome expectancy and self-efficacy. Theroetical implications of an unresolved contradiction" 14 (14): 417-425, 2010

      19 Eccles, J.,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53 : 109-132, 2002

      20 Biddle, S. J. H.,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 young people" 21 : 973-989, 2003

      21 Dupyrat, C.,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 A test of Dweck's model with returning to school adults" 30 : 43-59, 2005

      22 Iso-Ahola., "Immediate attribution effects of success and failure in the field" 60 : 358-374, 1976

      23 Xiang, P., "Fourth grades' motiv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running program" 104 (104): 253-266, 2004

      24 Biddle, S. J. H., "Correlat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physical activity :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3 (3): 1-20, 2003

      25 Weiner, B., "An attribution theory of motivation and emotion" Rand McNally 1986

      26 Zhu, X., "Adolescent expectancy-value motivation and learning" 2010

      27 Weiner, B., "A theory of motivation for classroom experience" 71 : 3-25, 1979

      28 Pintrich, P. R.,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