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구려 건국연대의 재정립(再定立)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Goguryo's founding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1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eantime, many scholars insist that Goguryo era should be retraced for about 200 year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ame of 'Goguryo prefecture' had exist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an's army', King Gwanggaeto have been mentioned as 17th descendants of in the Cemetery monument of King Gwanggaeto but they are recorded as 13 years old (or 12 years old) in the history and the history of Goguryo was recorded as 705 years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Theory of 900 years nation".
      However, systematic theories have not allowed us to criticize the beginning of the Goguryo era. On the other hand, Son Jong Young -North Korean- insists that Goguryo era starts at BC 277 through the research to find the cut 5th descendant.
      However, Son Jong Young's theory has a lot of sympathy, but it has its own mistakes.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theories and analyzes the problems of Son Jong Young's theory and suggests a systematic correspondence theory that the Goguryo regime started BC 217.
      By deriving the early stage of Goguryo era, Goguryo was first established before the invasion of 'Han nation' and with the same vein 'Buyeo' it occupied a considerable area in Manchuria and proved to be a strong country of a wide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fact can put an end to colonialists who insist on the presence of 'Han's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presence of the 'Han' Army is insignificant in Manchuria and not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territorial culture of Manchuria, so it proves that Manchurian cultural sovereignty belongs to the our ances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rritorial rights of Manchuria -a potential territorial dispute area- has to be attributed to our people by the cultural Territory theory.
      번역하기

      In the meantime, many scholars insist that Goguryo era should be retraced for about 200 year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ame of 'Goguryo prefecture' had exist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an's army', King Gwanggaeto have been mentioned...

      In the meantime, many scholars insist that Goguryo era should be retraced for about 200 year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ame of 'Goguryo prefecture' had exist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an's army', King Gwanggaeto have been mentioned as 17th descendants of in the Cemetery monument of King Gwanggaeto but they are recorded as 13 years old (or 12 years old) in the history and the history of Goguryo was recorded as 705 years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Theory of 900 years nation".
      However, systematic theories have not allowed us to criticize the beginning of the Goguryo era. On the other hand, Son Jong Young -North Korean- insists that Goguryo era starts at BC 277 through the research to find the cut 5th descendant.
      However, Son Jong Young's theory has a lot of sympathy, but it has its own mistakes.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theories and analyzes the problems of Son Jong Young's theory and suggests a systematic correspondence theory that the Goguryo regime started BC 217.
      By deriving the early stage of Goguryo era, Goguryo was first established before the invasion of 'Han nation' and with the same vein 'Buyeo' it occupied a considerable area in Manchuria and proved to be a strong country of a wide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fact can put an end to colonialists who insist on the presence of 'Han's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presence of the 'Han' Army is insignificant in Manchuria and not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territorial culture of Manchuria, so it proves that Manchurian cultural sovereignty belongs to the our ances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rritorial rights of Manchuria -a potential territorial dispute area- has to be attributed to our people by the cultural Territory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여러 학자들이, 광개토경평안호태왕 능비에 추모왕의 17세손으로 표기되었으나 역사에는 13세(혹은12세)손으로 기록되었다는 것, <유국(有國) 900년 설>이 존재함에도 고구려 역사는 705년으로 기록되었다는 것, 한사군을 설치할 때 ‘고구려현(縣)’이라는 이름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고구려 건국연대를 200년 정도 소급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체계적인 이론에 의해 고구려 건국연대를 비정(批正)하지는 못했다. 반면에 북한의 손영종은 삭감된 5세손을 찾는 연구를 통해서 기원전 277년을 고구려 건국연대로 비정했다. 하지만 손영종의 이론은 상당부분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그 스스로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서 제기된 이론들을 검토하고 손영종의 이론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대응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고구려 건국연대가 기원전 217년이라는 것을 비정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고구려 초기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고구려가 기원전 108년의 한나라 침략이전에 건국되었고, 같은 맥족인 부여와 함께, 만주에서 상당한 영역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한반도 북부에서도 넓은 강역의 나라로 군림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한사군의 한반도 주둔 설을 주장하는 식민사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 또한 한사군의 존재는 만주에서 미비한 존재로 만주의 영토문화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함으로써 만주의 문화주권은 우리선조들에게 있다는 것을 증명 할 수 있다. 그것은 잠재적 영토분쟁지역인 만주의 영토권이, 문화영토론에 의해 우리민족에게 귀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명해주는 아주 중요한 문제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이다.
      번역하기

      그동안 여러 학자들이, 광개토경평안호태왕 능비에 추모왕의 17세손으로 표기되었으나 역사에는 13세(혹은12세)손으로 기록되었다는 것, <유국(有國) 900년 설>이 존재함에도 고구려 역사...

      그동안 여러 학자들이, 광개토경평안호태왕 능비에 추모왕의 17세손으로 표기되었으나 역사에는 13세(혹은12세)손으로 기록되었다는 것, <유국(有國) 900년 설>이 존재함에도 고구려 역사는 705년으로 기록되었다는 것, 한사군을 설치할 때 ‘고구려현(縣)’이라는 이름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고구려 건국연대를 200년 정도 소급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체계적인 이론에 의해 고구려 건국연대를 비정(批正)하지는 못했다. 반면에 북한의 손영종은 삭감된 5세손을 찾는 연구를 통해서 기원전 277년을 고구려 건국연대로 비정했다. 하지만 손영종의 이론은 상당부분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그 스스로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서 제기된 이론들을 검토하고 손영종의 이론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대응 이론을 제시함으로써 고구려 건국연대가 기원전 217년이라는 것을 비정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고구려 초기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고구려가 기원전 108년의 한나라 침략이전에 건국되었고, 같은 맥족인 부여와 함께, 만주에서 상당한 영역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한반도 북부에서도 넓은 강역의 나라로 군림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한사군의 한반도 주둔 설을 주장하는 식민사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 또한 한사군의 존재는 만주에서 미비한 존재로 만주의 영토문화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함으로써 만주의 문화주권은 우리선조들에게 있다는 것을 증명 할 수 있다. 그것은 잠재적 영토분쟁지역인 만주의 영토권이, 문화영토론에 의해 우리민족에게 귀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명해주는 아주 중요한 문제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고구려 건국연대 소급을 위한 대표적인 학설
      • Ⅲ. 고구려 건국연대 소급 학설에 대한 이의(異議)
      • Ⅳ. 고구려 건국연대의 비정(批正)과 초기영역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고구려 건국연대 소급을 위한 대표적인 학설
      • Ⅲ. 고구려 건국연대 소급 학설에 대한 이의(異議)
      • Ⅳ. 고구려 건국연대의 비정(批正)과 초기영역
      • Ⅴ.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