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간지원조직 활동가 직무역량모델 개발과 실증연구 = The Development of Job Capacity Model of Intermediate Organization Activists and the Empirical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16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 활동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직무역량모델을 구축하고 실증연구로 직무역량의 적합성 여부를 타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 및 전...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 활동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직무역량모델을 구축하고 실증연구로 직무역량의 적합성 여부를 타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43개 역량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전문가 11인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간지원조직 활동가의 직무역량에는 최종적으로 6개 역량군, 23개 역량, 23개 정의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중간지원조직 활동가의 직무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역량을 측정지표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기획 및 운영 역량군’, ‘사업 기획 역량군’, ‘마을운영조직 관리 및 지원 역량군’, ‘마을개발사업운영 및 지원 역량군’, ‘마을 현안·갈등 관리 및 지원 역량군’, ‘지역협력체계구축 역량군’의 순서로 역량에 대한 평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 활동가의 직무역량모델을 제시하고 세분화된 역량을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 is to develop a job capacity model through Delphi survey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termediate organization activists and to examine whether they are suitable as empirical research. The ability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w...

      This study aim is to develop a job capacity model through Delphi survey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termediate organization activists and to examine whether they are suitable as empirical research. The ability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was prepared by questionnaire for Delphi survey, an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for 11 experts. Finally, 6 competency groups, 23 sub-competencies, and 23 definitions were derived from the job capacity of the intermediate organization activists. Based on this, a job capacity model was developed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t as a measurement index. In order to identify job capacity of the intermediate organization activists,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as a measurement index of job capa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usiness planning capacity group’, ‘community management and support capability group’,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operation and support capability group’, ‘community issues, conflict management and support capacity group’, ‘capacity group for establishment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the job capacity model of the intermediate organization activists and identified the subdivided capacity.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학, "행위주체별 갈등유형 및 갈등대응인식에 관한조사연구 : 충청남도 당진ㆍ태안ㆍ보령ㆍ서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1 (1): 3-32, 2014

      2 장은규,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9 (9): 155-179, 2019

      3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4 커뮤니티비즈니스시범사업단, "커뮤니티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운영매뉴얼" 지식경제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

      5 박덕병, "커뮤니티 비즈니스로서 농촌관광마을 공동사업 운영자의 경영역량 특성 분석" 한국관광학회 40 (40): 111-126, 2016

      6 박경철, "충청남도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구축 방안" (229) : 2016

      7 조수연,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59-75, 2013

      8 임상봉, "지역사회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5 (25): 39-49, 2014

      9 백지연, "중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사)한국직업자격학회 4 (4): 85-110, 2015

      10 김보람, "중간지원조직과 행정기관 간의 협력관계 연구: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2 (12): 1-32, 2017

      1 최병학, "행위주체별 갈등유형 및 갈등대응인식에 관한조사연구 : 충청남도 당진ㆍ태안ㆍ보령ㆍ서천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1 (1): 3-32, 2014

      2 장은규,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 9 (9): 155-179, 2019

      3 "한국마을지원센터연합"

      4 커뮤니티비즈니스시범사업단, "커뮤니티비즈니스 중간지원조직 운영매뉴얼" 지식경제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

      5 박덕병, "커뮤니티 비즈니스로서 농촌관광마을 공동사업 운영자의 경영역량 특성 분석" 한국관광학회 40 (40): 111-126, 2016

      6 박경철, "충청남도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구축 방안" (229) : 2016

      7 조수연,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59-75, 2013

      8 임상봉, "지역사회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5 (25): 39-49, 2014

      9 백지연, "중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사)한국직업자격학회 4 (4): 85-110, 2015

      10 김보람, "중간지원조직과 행정기관 간의 협력관계 연구: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2 (12): 1-32, 2017

      11 권지윤, "중간지원조직 활동가 교육요구도 분석: 마을 만들기 특화 조직 근무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05-429, 2019

      12 이민우,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 추진에 있어서 참여자 간 갈등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의 적용" 대한건축학회 32 (32): 117-128, 2016

      13 김두순, "주민주도 마을 만들기를 위한 농촌현장포럼 프로세스 개선 -면담에 의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학회 26 (26): 215-235, 2018

      14 정창호, "정보화마을 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정보화마을 간 자매결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87-109, 2014

      15 이용탁,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간의 관련성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2 (12): 49-68, 2005

      16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17 박준하, "자기 완결형 성과주의의 실천: 日교세라 그룹의 아메바 조직을 중심으로" 포스코경영연구원 2016

      18 김진모,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15-138, 2007

      19 배종석,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1 (11): 133-169, 2003

      20 Swanson, R. A, "인적자원개발론" 학지사 2010

      21 고재경,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 연구"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101-135, 2014

      22 정미지, "영어교재 편집자의 역량모델링 : 델파이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3 박상우, "어촌공동체 마을공동사업의 갈등관리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85, 2014

      24 정병순, "서울시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 서울연구원 2018

      25 서정민,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의 현황과 과제. 농어촌형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의현황과 과제" 2011

      26 조대연, "사회적 자본을 통한 국가수준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9 (9): 105-122, 2007

      27 여관현, "마을만들기의 추진단계별로컬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395-422, 2017

      28 남원석, "마을만들기, 성공의 조건" 47 : 1-25, 2012

      29 박세훈, "마을만들기 참여 거버넌스의 비교분석 : 제도주의적 접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07-220, 2009

      30 김성균,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을 중심으로 한 마을거버넌스 구축방안" 1 (1): 63-79, 2012

      31 박세훈,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성 연구 : 정부-시민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75-104, 2015

      32 김종안, "마을단위 농업경영체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 도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20 (20): 777-822, 2013

      33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34 김두순, "마을 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적용 -" 한국자치행정학회 34 (34): 91-120, 2020

      35 김영, "마을 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87-108, 2008

      36 황길식, "마을 가꾸기 사업에서 주민교육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방안" 48 (48): 53-59, 2006

      37 전창진,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이 로컬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주 T/B 중간지원조직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2 (12): 297-310, 2014

      38 문학진, "델파이를 활용한 치과 중간관리자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한국치위생과학회 17 (17): 150-159, 2017

      39 강현주,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및 과제 탐색"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1-34, 2017

      40 김상민, "대성동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특성 분석: 시민참여 및 시민주도의 관점에서"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55-184, 2016

      41 양대현, "대기업 HRD 직무역량모델 개발 사례 연구 -A기업 사례 중심으로-" 한국산업교육학회 (26) : 27-49, 2013

      42 박재평, "농촌체험관광마을의 실태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 통합 청주시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17 (17): 17-26, 2015

      43 김정연,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 충청남도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27-44, 2014

      44 강평년, "농촌지역개발사업 완료지구 사후관리 효율화를 위한 연구 -현안해결 현장포럼 운영 및 사후관리 유형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21 (21): 162-179, 2019

      45 전영미, "농촌지역 유·무형 자산을 활용한 마을 가꾸기 사업의 추진현황 분석 : 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중심으로" 197-202, 2011

      46 이해진,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9 (19): 7-47, 2009

      47 김정희, "농촌정책 방향과 과제: 지역개발정책 체계 개편 및 농촌마을만들기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31, 2013

      48 김경량,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중간평가체계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65-73, 2006

      49 한경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 사례"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121-132, 2007

      50 장우환, "농촌마을공동사업의 갈등 양상과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4 (34): 17-40, 2011

      51 최영완, "농촌마을 공간특성과 어메니티자원의 입지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81-90, 2013

      52 소순열, "농촌마을 개발과 주민참여" 한국지역사회학회 18 (18): 113-131, 2010

      53 주영민, "농촌관광마을사업에 대한 관광영향 지각 및 갈등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지도학회 15 (15): 577-597, 2008

      54 박한식, "농촌관광마을 리더의 역량분석과 역량모델 개발"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239-256, 2008

      55 김정섭,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385-418, 2010

      56 김두순, "농촌 마을 역량의 축적 - 역량단계별 지원 체계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지도학회 23 (23): 431-439, 2016

      57 나승일, "농업인적자원개발 전문가로서의 농촌지도요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5 (35): 21-38, 2003

      58 조성배, "농어촌지역의 커뮤니티 갈등 유형과 해결방안 연구 - 정부의 마을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공공사회학회 6 (6): 5-54, 2016

      59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어촌개발컨설턴트 자격세분화 및 정책적 활용방안"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013

      60 박윤희, "기업현장교사 역량모델 개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67-201, 2018

      61 전영욱,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직무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11-138, 2005

      62 엄붕훈, "그린투어리즘을 위한 농산어촌 체험마을 현황 분석 - 농촌관광 인터넷 포털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125-133, 2006

      63 박성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8

      64 손성호, "교사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모델링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6

      65 고재경, "경기도 저탄소 녹색마을 중간지원조직 발전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1-241, 2012

      66 성주인, "경기도 마을만들기 지원계획 실행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67 Compass Partnership, "Working towards an infrastructure strategy for the voluntary and community sector"

      68 Howard, P., "The role of intermediaries in support of innovation. Report prepare for department of industry" Tourism and Resources 2007

      69 Brown, L. D,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evolution of the NGO sector" 31 (31): 231-258, 2002

      70 김봄이, "NCS를 활용한 공공기관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2개 공공기관의 사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71 Blank, M. J, "Local intermediary organizations: Connecting the dots for children, youth, and families"

      72 Mittilä, T. S, "Intermediary organization in a regional development network" 2006

      73 Dubois, D.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1993

      74 Spencer, L. 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2008

      75 Kretzmann, J. P, "Building communities from the inside out: A path toward finding and mobilizing a community’s assets" Center for Urban Affairs and policy research 1993

      76 이한성, "AHP를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평가기준의 설정"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3 (33): 183-197, 2006

      77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28 (28): 563-575, 1975

      78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2019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연간활동 보고서 : 농촌마을과 함께 걸어온 길, 네 번째 걸음"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2019

      79 서울특별시, "2019 서울시 마을공동체 백서 : 2018년 사업 중심으로" 장이와쟁이 2019

      80 박형철, "). “One Shot, Big Bang? 그런 건 없어요” 껍데기인 조직보다 ‘역량'이 열쇠다. 조직개편의 정석" (211) :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력개발연구 -> HRD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 2.1 2.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1 3.561 0.6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