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동향으로 본 한국기독교 사회운동 인식 - 해방 후 민주화와 인권, 그리고 통일운동을 중심으로 = Korean Christian Social Movement Perceptions through Research Tre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474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기독교는 올해로 136년이 되었다. 그동안 한국기독교는 해방이전에는 구한말 국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해방 이후 1970년대부터는 군부독재정권이 들어서자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헌신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통일운동을 전개하여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교회의 민족운동 가운데 해방 후 민주화와 인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여 한국기독교가 사회운동에 있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진행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먼저 민주화와 인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에 관한 연구사를 먼저 살펴본다. 그리고 이들 논문들을 통하여 한국기독교의 사회운동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한국기독교는 올해로 136년이 되었다. 그동안 한국기독교는 해방이전에는 구한말 국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해방 이후 1970년대부터...

      한국기독교는 올해로 136년이 되었다. 그동안 한국기독교는 해방이전에는 구한말 국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는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해방 이후 1970년대부터는 군부독재정권이 들어서자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헌신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통일운동을 전개하여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교회의 민족운동 가운데 해방 후 민주화와 인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여 한국기독교가 사회운동에 있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진행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먼저 민주화와 인권운동 그리고 통일운동에 관한 연구사를 먼저 살펴본다. 그리고 이들 논문들을 통하여 한국기독교의 사회운동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136 years when Korean Christianity was planted. Korean Christianity was developed with the national protection movement before Japanese annexation, and it deployed the sovereignty recovery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evoted to democratization and the human rights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Since the 1980s, the unification movement has been carried out by it until now.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es on democratization, human rights movement and unification movement after liberation in Korean church history.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history of democratization, the 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Also, it examines what kind of perception the soci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developed.
      번역하기

      It is 136 years when Korean Christianity was planted. Korean Christianity was developed with the national protection movement before Japanese annexation, and it deployed the sovereignty recovery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e ...

      It is 136 years when Korean Christianity was planted. Korean Christianity was developed with the national protection movement before Japanese annexation, and it deployed the sovereignty recovery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evoted to democratization and the human rights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Since the 1980s, the unification movement has been carried out by it until now.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es on democratization, human rights movement and unification movement after liberation in Korean church history.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history of democratization, the 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Also, it examines what kind of perception the soci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동향
      • 1. 기독교 사회운동의 배경과 논리에 연구
      • 2. 민주화와 인권 운동에 관한 연구
      • 3. 통일운동에 관한 연구
      • I. 들어가는 말
      • II.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동향
      • 1. 기독교 사회운동의 배경과 논리에 연구
      • 2. 민주화와 인권 운동에 관한 연구
      • 3. 통일운동에 관한 연구
      • III. 연구자들의 기독교 사회운동에 대한 인식
      • 1. 기독교 사회운동의 역사·사회적, 신학적 배경과 논리에 대한 인식
      • 2.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대한 인식
      • 3. ‘통일운동’에 대한 인식
      • IV. 나가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수일,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2 박성준,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451-476, 1980

      3 김흥수,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420-450, 1995

      4 안병무,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5 이경숙,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6 김명배, "해방 후 한국기독교사회운동" 북코리아 2009

      7 유동식, "한국신학의 광맥" 전망사 1986

      8 김용복, "한국사회와 기독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4

      9 조승혁, "한국사회발전과 민주화운동" 한국기독교산업개발원 1986

      10 김병서, "한국사회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숭실대학교 기독교사회연구소 2000

      1 채수일,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2 박성준,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451-476, 1980

      3 김흥수,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420-450, 1995

      4 안병무,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5 이경숙, "희년신학과 통일희년운동" 한국신학연구소 1995

      6 김명배, "해방 후 한국기독교사회운동" 북코리아 2009

      7 유동식, "한국신학의 광맥" 전망사 1986

      8 김용복, "한국사회와 기독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4

      9 조승혁, "한국사회발전과 민주화운동" 한국기독교산업개발원 1986

      10 김병서, "한국사회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숭실대학교 기독교사회연구소 2000

      11 변형윤, "한국사회 발전과 민주화운동" 한국기독교산업개발원 1986

      12 김흥수,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5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55-183, 1995

      13 김인수, "한국기독교사"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14 한규무, "한국기독교민족운동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2) : 75-113, 2000

      15 정성한, "한국기독교 통일운동사" 그리심 2003

      16 조배원, "한국기독교 사회참여운동 관련 문헌해제"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2003

      17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기독교 사회참여운동 관련 문헌해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3

      18 김용복, "한국교회평화통일 운동 자료집" 한국기독교장로회 2000

      19 이원규, "한국교회와 사회" 한국신학연구소 1989

      20 김명배, "한국교회 사회참여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1970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7) : 45-73, 2017

      21 김경재, "한국개신교사 한국 근현대사회의 사회, 문화적 변동에 끼친 영향 연구" 한국신학연구소 277-296, 2006

      22 김주한, "한국개신교가 한국근현대의 사회문화적 변동에 끼친 영향" 한국신학연구소 189-216, 2005

      23 김형민, "한국개신교가 한국근현대의 사회, 문화적 변동에 끼친 영향 연구" 한국신학연구소 175-182, 2005

      24 조순, "한국개신교가 한국 근현대의 사회문화적 변동에 끼친 영향연구" 한국신학연구소 217-251, 2005

      25 연규홍, "한국개신교가 한국 근현대의 사회문화적 변동에 끼친 영향연구" 한국신학연구소 151-173, 2005

      26 최길호, "한국 현대사의 사회변동 과정에서 나타난 기독교 신앙의 제 양태 연구" 監理敎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1993

      27 이영숙, "한국 진보적 개신교 지도자들의 사회변동 추진에 대한 연구-1957-1984년을 중심으로" 125-145, 1991

      28 이호대, "한국 민주화운동에서 교회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연구 : 197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29 문장식, "한국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 염광회를 중심으로" 쿰란출판사 2001

      30 元聖勳, "한국 기독교 進步歲力의 現實參與運動에 관한 연구 : 維新體制期間 反體制운동을 중심으로"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4

      31 문은배, "한국 교회 남북 통일운동의 흐름"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32 김상우, "한국 개신교에 있어서의 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 변화"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3

      33 김명배, "한국 개신교 사회참여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1960년부터 1987년까지 민주화와 인권운동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7

      34 이형기, "하나님 나라와 평화" 대한기독교서회 13-63, 2017

      35 이삼열, "평화의 철학과 통일의 실천" 햇빛출판사 1991

      36 손규태, "평화를 위한 통일의 신학" 1990

      37 안교성, "통일신학의 발전에 관한 소고" 한국기독교학회 (90) : 87-113, 2013

      38 노정선, "통일신학을 향하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88

      39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정의평화 창조질서의 보전 세계대회 자료집" 민중사 1990

      40 손승호, "유신체제와 한국기독교 인권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41 김명용, "열린신학, 바른교회론"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42 최형묵, "사회변혁운동 이념과 기독교 신학: 1980년대 한국 상황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神學大學院 1988

      43 나이영, "분단시대 민족적 선교과제로서의 한국교회 통일운동" 監理敎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1993

      44 정일오, "북한의 교회와 선교방향" 1980

      45 이동춘,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비평"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6) : 7-54, 2013

      46 김용복, "민중신학과 토착화 신학" 29-37, 1991

      47 김명배, "민주화와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4) : 66-77, 2012

      48 이유나, "문 익환의 통일운동과 통일인식: 민중과 민족 사랑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6 (36): 65-82, 2012

      49 정종훈, "독일교회에 비추어본 한국교회의 남북통일을 위한 과제" 한국기독교학회 (68) : 257-285, 2010

      50 박세길,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돌베개 1992

      51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통일위원회, "남북교회의 만남과 평화통일신학" 민중사 1990

      52 문익환, "남북교회의 만남과 평화통일신학" 민중사 1990

      53 이덕주, "김재준 목사의 편지" (가을) : 144-170, 2003

      54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기사연리포트 7- 민중의 진출과 민족민주주의운동"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1988

      55 송건호, "기독교의 사회참여-70년대를 중심으로" 40-53, 1984

      56 김명배, "기독교사회윤리 제 20집" 선학사 131-162, 2010

      57 김명배, "기독교사회윤리" 선학사 159-195, 2013

      58 金一柱, "韓國의 民衆的 基督敎勢力登場에 관한 國家論的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59 서영섭, "70년대 이후의 진보적 기독교 사회운동에 관한 고찰" 監理敎神學大學校 神學大學院 1992

      60 이형기,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의 모색"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7

      61 송기득, "1980년대 한국 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1990

      62 김상근, "1970년대의 한국 기독교운동" 31-41, 1984

      63 김진배, "1970년대 민주화운동: 기독교 인권운동을 중심으로 Ⅰ,Ⅱ,Ⅲ"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1987

      64 문유경, "1970년대 기독교 민주화운동 연구 : 발생배경과 특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7 0.48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