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김치(沈菜)’문화의 원형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7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기록문헌인 <한국문집총간>,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이상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를 활용함) 등을 대상으로 김치관련 어휘를 확보하어 용례를 검출하고 문화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김치관련 문헌자료는 일부 요리 전문서에 국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한성을 극복하고 종합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조선시대 고문헌은 주로 한문 고문으로 기록되어 가독성이 떨어지며, 자료 확보 이후에 번역 작업에 많은 시간과 공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 부분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이상의 자료들을 주제별, 문헌 출처별 분류를 시도하여 기초DB를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료들에 의거해 조선시대 김치문화의 원형을 재구성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시대 기록문헌인 <한국문집총간>,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이상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를 활용함) 등을 대상으로 김치관련 어휘를...

      본 연구는 조선시대 기록문헌인 <한국문집총간>,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이상은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를 활용함) 등을 대상으로 김치관련 어휘를 확보하어 용례를 검출하고 문화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김치관련 문헌자료는 일부 요리 전문서에 국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한성을 극복하고 종합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조선시대 고문헌은 주로 한문 고문으로 기록되어 가독성이 떨어지며, 자료 확보 이후에 번역 작업에 많은 시간과 공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 부분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이상의 자료들을 주제별, 문헌 출처별 분류를 시도하여 기초DB를 만드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료들에 의거해 조선시대 김치문화의 원형을 재구성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根據朝鮮時期的文獻如 <韓國文集叢刊>, <朝鮮王朝實錄>, <日省錄>, <承政院日記>調查有關“沉菜”的用例,並且利用這些材料分析朝鮮時期“沉菜”文化的源流和真實面貌。過去的研究在材料上沒有充分利用如上的寶貴文獻材料。所以我們相信這番研究可以滿足新的研究要求。不過古文獻在閱讀和整理上面存在著不少困難,因此在這裏注重下功夫整理和翻譯工作。其次,對以上的材料加以分類和歸納,並建立一個比較完整的分類體系,由此最後分子出朝鮮時期“沉菜”文化的源流和真實面貌。
      번역하기

      本研究根據朝鮮時期的文獻如 <韓國文集叢刊>, <朝鮮王朝實錄>, <日省錄>, <承政院日記>調查有關“沉菜”的用例,並且利用這些材料分析朝鮮時期“沉菜”文化的源流和真...

      本研究根據朝鮮時期的文獻如 <韓國文集叢刊>, <朝鮮王朝實錄>, <日省錄>, <承政院日記>調查有關“沉菜”的用例,並且利用這些材料分析朝鮮時期“沉菜”文化的源流和真實面貌。過去的研究在材料上沒有充分利用如上的寶貴文獻材料。所以我們相信這番研究可以滿足新的研究要求。不過古文獻在閱讀和整理上面存在著不少困難,因此在這裏注重下功夫整理和翻譯工作。其次,對以上的材料加以分類和歸納,並建立一個比較完整的分類體系,由此最後分子出朝鮮時期“沉菜”文化的源流和真實面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